본문내용
1. 문헌고찰
1.1. 아두골반 불균형 (CPD)의 정의
아두골반 불균형 (CPD)의 정의는 태아의 머리가 분만 과정에서 모체의 골반에 진입할 때 양두정골면(biparietal plane)이 골반 입구를 통과하는데, 이때 태아의 아두와 모체의 골반 크기에 불균형이 생겨 분만이 순조롭게 진행되지 못하게 되는 상태이다. 아두골반불균형 시 자연분만을 진행하게 되면 회음부의 외상과 분만 중 제대가 태아보다 먼저 나오는 제대 탈출의 발생 확률이 높으므로 태아와 모체의 건강을 위해 제왕절개를 통해 태아를 분만하게 된다. 태아가 산부의 골반통로를 따라 움직이므로 아두골반불균형에서 선진부 이상과 태위 이상이 발생할 수 있다. 태아 측 원인으로는 태아의 머리가 크거나 태아 머리의 변형, 산류의 과다한 형성, 아두의 변형 등이 있으며, 모체 측 원인으로는 골반이 태아의 머리에 비해 좁거나 좌골극 가시의 돌출, 선천적으로 골반이 좁은 경우, 영양실조, 종양, 골반골절 등이 있다. 지나치게 큰 아두나 4kg이상의 거대아가 종종 문제가 된다고 하더라도 선진부의 위치 이상으로 인한 경우가 더 많으며 분만 중단이 흔히 일어나는 부위는 골반 입구이고 때로는 골반강이나 출구에서도 일어난다. []
1.2. 아두골반 불균형의 원인
태아의 머리가 너무 크거나, 산모의 골반이 태아의 머리에 비해 좁은 경우이다. 또한 좌골가시가 돌출되었거나 태아의 머리가 이례적으로 변형되었을 때, 또는 산류가 과도하게 형성되어 발생할 수 있다. 선천적으로 협골반, 즉 골반이 좁은 경우나 영양실조, 종양, 골반골절, 척추나 하지 이상, 구루병이나 골연화증 같은 질병들도 원인이 될 수 있다. 태아의 머리가 너무 크거나 산모 골반이 좁은 경우, 골반의 형태와 크기가 균형을 이루지 못하여 분만이 정지되고 모아에게 위험이 닥치거나 장애가 발생할 수 있다. 상황에 따라 이러한 아두골반 불균형은 절대적일 수도, 상대적일 수도 있다. 자궁수축의 효율성, 연조직의 탄력성, 태위 및 아두의 주형 가능성에 따라 질 분만의 가능성 여부가 결정된다.
1.3. 아두골반 불균형의 증상
산모는 분만 전 빈맥, 얕고 빠른 과다 호흡, 요통이나 복부의 심한 통증, 비정상적으로 강도가 높은 자궁의 수축, 자궁 경부의 개대가 2~3cm 미만에서 수 시간 동안 진통이 지속되는 등의 증상이 나타나며, 태아는 심박동 수 감소, 태동의 감소, 전자 태아 감시상의 이상소견이 나타날 수 있다. 또한 태아의 머리가 산모의 골반으로 잘 내려오지 못하며, 자연분만 진행 시 회음부 외상이 있으며 분만 중 제대탈출이 되기 쉬워 태아의 생명에 위험을 줄 수 있다.
1.4. 아두골반 불균형의 진단
아두골반 불균형을 진단하기 위해서는 산모의 자궁을 내진하여 산모 골반의 형태나 크기, 골반의 산도 좌골가시(ischial spine)의 돌출 여부 등을 확인한다. 또한 초음파 검사로 태아의 두위를 측정하여 진단한다. 임신 37주경 임부를 양 팔꿈치로 기대어 눕게 한 후 아두를 골반으로 밀어 넣어 보아 진입되는지를 확인하기도 한다. 임신 37주 이후 X선 골반계측법이나 초음파 촬영을 통해 골반의 크기와 태아 두위를 측정하여 진단할 수 있다. 산모의 과거력에서 난산, 사산, 신생아 사망 등의 경력이 있는지 확인하는 것도 중요하다. 내진 시 골반강의 심한 긴장력, 천골이 넓고 잘 굽어져 있는지, 천골갑의 돌출 정도, 좌골극이 튀어나오지 않고 완만한지, 치골궁으로 두 손가락이 쉽게 들어가는지 등을 살펴봄으로써 아두골반 불균형을 진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다양한 검사와 진찰을 통해 아두골반 불균형을 종합적으로 진단한다.
1.5. 아두골반 불균형의 치료
아두골반 불균형(cephalopelvic disproportion, CPD)이 의심되는 경우 완전 CPD라면 질식분만이 불가능하므로 제왕절개술을 적용한다. 그러나 CPD가 의심되는 경우에는 시도분만(trial of labor)을 시도하여 자연분만 가능성을 판단할 수 있다. 시도분만은 태아의 선진부나 태향에 이상이 없고 골반의 크기가 협골반을 겨우 벗어난 상태일 때 질강 분만을 시도해보는 것이다. 시도분만 동안에는 자궁수축상태, 경관의 소실 및 개대, 진행정도, 선진부 하강 및 태아상태를 지속적으로 사정한다. 한정된 시간(6~8시간) 내에 분만 진행이 되지 않으면 제왕절개 수술을 시행한다.
협골반으로 인한 CPD의 경우, 과거 제왕절개 수술을 받았던 산모, 난산 및 사산의 경력이 있는 산모, 심한 협골반이나 골반 기형이 있는 산모, 조기양막 파수 후 분만 진행이 없는 산모, 고령의 초산모, 전신질환을 동반한 산모, 골반 입구는 충분하나 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