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보건의료팀 업무조정 및 협력 보고서"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보건의료팀의 업무 갈등과 협력
1.1. 보건의료팀 간 역할 갈등 상황
1.2. 보건의료팀 구성원 및 역할
1.3. 효과적인 의사소통
1.3.1. 공식적 의사소통
1.3.2. 주장행동
1.4. 갈등관리
1.4.1. 개인 간 갈등의 해결방안
1.5. 업무조정 및 협력의 중요성
2.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보건의료팀의 업무 갈등과 협력
1.1. 보건의료팀 간 역할 갈등 상황
보건의료팀 간 역할 갈등 상황은 간호사와 간호조무사 간에 발생한 것으로, 간호사들은 간호조무사의 업무 처리 지연과 소통 거부로 인해 갈등이 생겨났다"이다.
간호사와 간호조무사 간의 갈등 상황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평소 간호조무사의 업무는 약물 전달, 검사 의뢰 및 수집, 침상 정돈 등이었는데, 그날따라 간호조무사가 약물을 지연 전달하고 검사 의뢰도 지연되면서 간호사들의 업무가 밀리기 시작했다. 또한 간호조무사에게 새로운 환자의 침상 정돈을 요청했지만 간호조무사가 대답을 하지 않고 준비실로 들어가버려 간호사들 사이에서도 불만이 쌓이게 되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간호사들은 간호조무사와의 의사소통을 적절히 하지 못하고 간호조무사에 대한 험담만 하고 있는 상황이었다.
결국 간호사와 간호조무사 간에 불만들이 점차 쌓이면서 갈등이 생겨났으나, 간호사들이 이를 직접 해결하려 하지 않고 소극적으로 대응했다는 것이 문제점으로 지적된다"이다.
1.2. 보건의료팀 구성원 및 역할
보건의료팀 구성원 및 역할은 다음과 같다.
병동 간호사는 의사의 처방이나 규정된 간호기술에 따라 치료를 행하며, 의사 부재 시에는 비상조치를 취하기도 한다. 또한 활력징후를 측정하는 방법으로 환자의 상태를 점검·기록하고 환자나 가족들에게 치료, 질병 예방에 대한 설명을 해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 외에도 간호사의 역할로는 전문가적 간호실무 제공자, 교육자, 연구자, 지도자, 자문가, 의사결정자, 옹호자, 변화촉진자, 협동자 등이 있다. 간호조무사는 간호의 기본이념인 인도주의와 박애정신을 기반으로 전인간호를 구현하고, 환자에 대한 간호 및 진료보조 업무를 수행하는 간호인력이다. 회복...
참고 자료
정면숙 외(2018). 간호학개론 (제3판). 현문사. p140-141. 270-271
장금성 외(2017). 간호윤리학과 전문직 (제3판 수정판). p187-189
장금성 외(2020). 최신 간호관리학(제5판). 현문사. p482-500, 533-535
김인숙 외(2018). 최신 간호관리학 제4판, 서울시 ; 현문사
장금성 외(2020). 최신 간호관리학 제5판, 서울시 ; 현문사 p.506~525
정면숙 외(2015). 간호학개론 제2판, 서울시 ; 현문사
정면숙 외(2017). 간호학개론 제2판수정판, 서울시 ; 현문사 p.90, 108~118, 132~136
안말숙 외(2016). 글쓰기와 의사소통 개정판, 서울시 ; 새문사 p.146~155
김인숙 외(2018). 최신 간호관리학 제4판, 서울시 ; 현문사
장금성 외(2020). 최신 간호관리학 제5판, 서울시 ; 현문사 p.506~525
정면숙 외(2015). 간호학개론 제2판, 서울시 ; 현문사
정면숙 외(2017). 간호학개론 제2판수정판, 서울시 ; 현문사 p.90, 108~118, 132~136
안말숙 외(2016). 글쓰기와 의사소통 개정판, 서울시 ; 새문사 p.146~1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