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1.1. Kohlberg의 도덕성 이론
콜버그의 도덕성 이론
콜버그는 도덕성 발달을 단계별로 설명하는 이론을 제시하였다. 그의 이론은 주로 남성의 도덕적 발달을 기반으로 하였으며, 도덕적 판단이 어떻게 발전하는지를 설명한다.
콜버그는 도덕적 발달을 전인습적 수준, 인습적 수준, 후인습적 수준의 3수준과 각각의 수준별 2단계인 총 6단계로 나누어 설명하였다.
전인습적 수준의 1단계는 처벌과 복종의 도덕성으로, 행동의 옳고 그름을 처벌의 가능성과 상벌의 직접적인 결과로 평가한다. 2단계는 도구적 이기주의로, 개인의 욕구와 이익에 따라 행동을 결정한다.
인습적 수준의 3단계는 대인 관계의 조화로, 사회적 기대와 관계의 조화를 중요시하며 타인의 기대와 의견을 고려한다. 4단계는 사회의 법과 질서로, 사회의 법과 규칙을 준수하는 것이 도덕적 행동의 핵심이다.
후인습적 수준의 5단계는 사회 계약과 개인의 권리로, 사회의 규칙과 법을 개인의 권리와 사회적 합의에 따라 재평가한다. 6단계는 보편적 윤리 원칙으로, 보편적인 도덕 원칙을 기준으로 도덕적 판단을 하며 개인의 양심과 정의를 중요시한다.
콜버그는 도덕적 판단이 인지적 과정에 의해 이루어지며, 도덕적 사고의 발달은 단계적으로 이루어진다고 주장하였다.
1.2. Gilligan의 도덕성 이론
Gilligan은 Kohlberg의 도덕성 발달 이론이 주로 남성 중심적이라고 비판하며, 여성의 도덕적 사고방식에 주목하였다. Gilligan은 여성의 도덕성 발달이 관계와 책임에 중점을 둔다고 주장하였다.
Gilligan은 도덕성의 두 가지 윤리적 접근을 제시하였는데, 하나는 Kohlberg의 이론에서 주로 다루어진 공정성, 권리, 법 준수를 중시하는 '윤리적 관점'이고, 다른 하나는 관계, 상호 의존성, 책임을 중시하는 '윤리적 돌봄'이다. 후자는 주로 여성의 도덕적 사고방식으로 간주된다.
Gilligan은 여성의 도덕적 발달이 자아의 정체성과 관계의 중요성을 통해 이루어진다고 보았다. 그리고 도덕적 판단이 개인 간의 관계와 상호작용에 기반한다고 강조하였다. 또한 윤리적 돌봄은 인간 관계와 책임을 강조한다고 주장하였다.
Gilligan은 도덕적 발달의 과정을 자아의 발달, 관계의 중요성 등을 통해 설명하였는데, 이는 Kohlberg의 단계적이고 인지적인 도덕성 발달 이론과 차이가 있다. Gilligan은 여성의 도덕적 사고가 관계와 돌봄을 중시한다고 주장하였다.
이처럼 Gilligan의 도덕성 이론은 여성의 도덕적 발달에 초점을 맞추었으며, 도덕적 판단의 기준으로 관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