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4차 산업혁명 학교의 기능"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4차 산업혁명과 학교교육의 변화
1.2.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2. 4차 산업혁명과 사회변화
2.1. 정치·행정적 측면
2.2. 경제적 측면
2.3. 사회·문화적 측면
2.4. 사상적 측면
3. 4차 산업혁명과 사회변화에 따른 교육 쟁점
3.1. 학생과 교사
3.2. 교육내용
3.3. 학교 체제
3.4. 학교의 사회적 기능
4. 4차 산업혁명 시대 학교교육의 과제
4.1. 유연한 학교제도로의 전환
4.2. 학습자 맞춤형 교육과정 운영 도입
4.3. 교원제도 및 교육지원시스템의 혁신
5. 결론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4차 산업혁명과 학교교육의 변화
우리사회는 농경사회, 산업사회를 지나 현대사회를 지식정보사회, 지능정보기술사회, 인공지능사회 등 다양한 용어로 일컫고 있으며, 그 중 하나가 4차 산업혁명시대이다. 4차 산업혁명은 정치, 문화, 경제, 사회, 교육 전반에 걸쳐 활발한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다. 고도의 생산성과 효율성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정보기술은 유례없는 속도와 영향력으로 인간 삶의 전반에 거대한 영향을 끼칠 전망이다.
4차 산업혁명시대 학교교육에 대한 성찰과 노력은 유익한 생산적 활동이 될 것이다. 국가수준 교육과정이 학교교육을 지배해왔던 기존의 관행적 지배구조에서 벗어나, 4차 산업혁명 시대에 걸맞은 학교교육의 방향과 미래사회에 대응하는 교육과정적 노력이 요구된다. 이러한 교육에 대한 사회적 변화 요구에 발맞추어 선진외국은 물론 우리나라도 이미 2000년대 초반부터 역량 교육과정, 미래형 교육과정, 2020 교육과정, 2030 교육과정 설계 등의 연구를 활발하게 진행해 왔다. 우리는 급변하는 사회현상 속에서 교육에 대한 기존의 가치관이 해체되는 변환기를 맞고 있다.
학교교육의 변화에 대한 요구는 점점 커지고 있으며 4차 산업혁명 시대는 이를 더 가속화시키고 있다. 세계 주요 선진국 대부분의 학교교육은 국가수준 교육과정에 따라 이루어지는데, 이를 우리나라 학교교육을 지배하고 있는 국가수준 교육과정 변천사적 관점에서 보면 조선시대 이후 현대적 학교교육에서의 교육과정은 국가주도로 시대상황을 담으며 변천해 왔다. 국가는 학교교육에 대한 높은 책무성을 가지기 때문에 교육과정적 판단의 중요성이 크다.
4차 산업혁명이 우리 사회에 큰 변화를 초래할 수 있지만, 교육 분야는 다른 영역보다 변화에 대응이 빠르지 못하다는 특징이 있다. 교육분야에 심각한 위기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으나 이를 교육 시스템 개선의 기회로 활용하는 전략적 접근이 필요한 상황이다. 미래를 대비하는 학교교육시스템의 설계를 위해 당면한 문제와 예상되는 문제를 정확히 진단하고 장기적 안목에서 비전과 과제를 도출할 필요가 있다.
1.2.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4차 산업혁명 시대 학교교육의 변화는 필수적이다. 급변하는 사회 변화에 대응하고 미래 사회를 이끌어갈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학교교육의 혁신이 절실히 요구되기 때문이다. 4차 산업혁명의 핵심 기술인 인공지능, 빅데이터, 사물인터넷 등이 교육 분야에 활용되면서 기존의 교육 방식과 내용, 체제에 대한 근본적인 변화가 필요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4차 산업혁명이 사회 전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이에 따른 학교교육의 쟁점과 과제를 살펴봄으로써 미래 지향적인 학교교육의 방향을 모색하고자 한다. 특히 학생과 교사, 교육 내용, 학교 체제, 학교의 사회적 기능 등 교육의 핵심 요소들이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어떻게 변화해야 할지 구체적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4차 산업혁명 시대 학교교육의 전환을 위한 정책적·실천적 방안을 마련하는 데 기여하고자 한다.
2. 4차 산업혁명과 사회변화
2.1. 정치·행정적 측면
4차 산업혁명으로 인한 사회변화 중 정치·행정적 측면은 다음과 같다.
정부는 4차 산업혁명에 대비하기 위해 2018년 예산 편성 시 '제4차산업 혁명대응'을 4대 핵심 분야로 선정하고 투자를 확대할 의지를 밝혔다. 4차 산업혁명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정부는 대통령 직속 '제4차산업혁명위원회'를 신설하고, 과학기술 혁신, 전 산업의 지능화, 제도 개혁 등 새로운 산업과 일자리 창출을 위한 국가 발전 계획을 제시하였다.
정부는 4차 산업혁명에 신속히 대응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규칙과 관행에서 벗어나 미래를 새롭게 준비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정부의 정교한 계획 수립이나 특정 집단의 주도에 따른 방식은 4차 산업혁명의 복잡한 변화에 효과적으로 대처하기 어려우므로, 기업과 민간 부문의 경제 활력을 지원하고 촉진하는 역할이 필요하다.
그러나 정부의 4차 산업혁명 정책을 총괄하는 '제4차산업혁명위원회'는 자문·심의·조정 기능에 국한되어 실제 정책 수립과 부처 간 조정, 집행에 직접적인 영향력을 행사하기 어려운 한계가 있다. 또한 혁신 정책의 실질적 주체인 정부 부처들은 당면 이슈에 바빠 지속적으로 혁신에 몰두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이에 따라 혁신 정책의 추진 동력이 약화되고 부처 간 협력이 원활하지 않은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4차 산업혁명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는 국가 차원의 혁신 체계와 관련 부처 간 협력 체계를 개선해야 할 필요가 있다. 이를 통해 4차 산업혁명의 주도적 역할을 수행하는 정부의 역할 변화가 요구된다.
2.2. 경제적 측면
4차 산업혁명은 경제 구조와 산업 패러다임에 혁신적인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 첫째, 4차 산업혁명의 핵심 기술인 사물인터넷, 인공지능, 빅데이터, 로봇공학 등은 기존 제조업의 구조를 근본적으로 재편하고 있다. 기계의 지능화로 인해 단순 육체 노동뿐만 아니라 지식 노동까지도 대체될 수 있게 되었고, 이에 따라 제조업의 생산성이 크게 향상되고 있다. 둘째, 4차 산업혁명은 제품 생산과 서비스 제공의 혁신을 통해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창출하고 있다. 플랫폼 비즈니스, 온디맨드 경제, 공유경제 등 다양한 형태의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이 등장하고 있으며, 이는 기존 산업구조와 시장을 근본적으로 변화시키고 있다. 셋째, 4차 산업혁명은 개인과 기업, 국가 간 경쟁을 더욱 가속화시키고 있다. 기술 혁신에 따른 새로운 시장 및 기회의 선점을 위해 국가 간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으며, 개인과 기업 역시 끊임없이 새로운 기술을 습득하고 변화에 적응해야 하는 상황이다. 이와 같은 경제적 변화는 궁극적으로 실업과 소득 불평등의 증가, 기술 격차 심화, 거대 기업의 독점 심화 등 다양한 사회적 문제를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정부와 기업, 개인 모두가 4차 산업혁명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그에 따른 부작용을 최소화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2.3. 사회·문화적 측면
4차 산업혁명은 정보통신기술(ICT) ...
참고 자료
강성종(2020). 제4차 산업혁명시대에 따른 특수학교의 교육과정 대응에 관한 연구. 대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강원택(2007). “인터넷과 정치참여 정당정치에 대한 영향을 중심으로”. 한국정보화진흥원, 정보화 정책연구, 14(2), 101-114.
고영주(2018). 제4차 산업혁명의 본질. 한국기술혁신학회 학술대회, 381-417.
구본권(2018). 로봇시대, 인간의 일. 변미리 등. 2040 서울을 묻다 (pp.23-46). 서울연구원.
국가평생교육진흥원(2016). 글로벌평생교육동향. 6월호, 2호.
김두환(2017). 교육의 계층이동 사다리 역할론 비판. 사회사상과 문화, 20(4), 197-236.
김재춘(2018). 제4차 산업혁명과 교육: 학교의 미래, 미래의 학교. 서울: 미래앤.
김종길(2008). 사이버공간에서의 자아인식과 복합정체성 수행. 사회이론, 33, 201-247.
김진수, 김한별, 박상영, 이태욱(2019). 4차 산업혁명과 교육. 서울 공감북스
나미혜(2011). 참여는 대의제 민주주의를 위협하는가?. 인제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배용호, 김병우, 하태정, 장병열(2006). “성장과 고용촉진을 위한 혁신정책의 방향”.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정책연구, 6(5), 2006, 1-24.
브라운, 필립・로더, 휴・애쉬턴, 데이비드(Brown, P., Lauder, H., & Ashton, D.) (2013). 더 많이 공부하면 더 많이 벌게 될까. 이혜진・정유직 역. 개마고원. [The global auction: The broken promises of education, jobs, and incomes. Oxford University Press. 2010.]
성태제(2017).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교육학연구, 55(2), 1-21.
송성수(2017). 역사에서 배우는 산업혁명론: 제4차 산업혁명과 관련하여. 과학기술정책연구원 STEPI Insight, 207, 1-39.
신미식(2019).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한국 평생교육: 역할과 과제를 중심으로. 한국동북아논총, 24(1), 145-163.
안상희, 이민화(2016). 제4차 산업혁명이 일자리에 미치는 영향. 한국경영학회 통합학술발표논문집, 2344-2363.
안종배(2017). 대한민국 미래교육의 인재상. 제4차 산업혁명시대 대한민국 미래교육 보고서. 서울: 광문각.
오인탁(2017). 4차 산업혁명과 교육의 과제. 기독교교육논총, 24, 417-445.
이선영(2017).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교육심리학: 제4차 산업혁명과 교육학의 혁신. 안암교육학회 2016 동계학술자료집. 231-260.
이주호(2017). 제4차 산업혁명에 대응한 교육 대전환, 선진화 정책시리즈, 2017(2), 158-189.
이재욱, 정윤우, 송지아, 유성균(2017). 2015 특수교육 교육과정 정책 추진 과정과 쟁점 분석. 특수교육교과교육연구, 10(2), 141-164.
이호성(2017). 현장중심형 스마트 팩토리. KMAC.
우이구(2015). 2015 특수교육 교육과정 방향 및 내용. 한국특수교육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1-6.
이상오(2013). 포스트모던 시대의 교육 방안. 경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정재걸(2012). 동양교육사상의 관점에서 본 가르치기 어려운 시대의 교육. 교육철학, 46, 23-44.
정제영(2017a). 4차 산업혁명 시대의 학교제도 개선 방안: 개인별 학습 시스템구축을 중심으로. 교육정치학연구, 24(3), 53-72.
정제영(2017b). 4차 산업혁명 시대 학교교육의 전망과 과제.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조난심(2017). 제4차 산업혁명과 교육. 교육비평, 39, 330-347.
최연구(2017). 4차 산업혁명시대의 미래교육 예측과 전망. Future Horizon, 33, 32-35.
최항섭(2017). 4차 산업혁명과 인간, 사회. 미디어와 교육, 7(1), 35-40.
허원회, 신광철(2018). 4차 산업혁명과 융합교육의 방향 연구.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 논문집, 8(12), 63-70.
Harari, Yuval Noah(2018), 전병근 역(2019). 21세기를 위한 21가지 제언(21 Lessons for 21st Century). 파주시: 김영사.
Harari, Yuval Noah(2011), 조현욱 역(2015). 사피언스(Sapiens). 파주시: 김영사.
Schwab, Klaus 저(2016), 송경진 역(2016). 클라우스 슈밥의 4차 산업혁명(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서울: 메가스터다트(주).
Schwab, Klaus 저(2017).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New York: Penguin Random House.
Schwab, Klaus 저(2018), 김민주, 이엽 역(2018). 클라우스 슈밥의 4차 산업혁명(THE NEXT). 서울: 메가스터다트(주).
유해숙·김영빈(2016), 「학교사회복지」,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최연구, 4차 산업혁명 시대, 미래 교육 칼럼 제5편, 교육부 공식 포스트, 2020.04.01.
이민경, 수업을 뒤집어 보다, 거꾸로 교실, 행복한 교육(교육부 웹진), 2015.07월.
네이버 지식백과, 생태 체계적 사고 (검색일 : 2020.06.20.)
한국장학재단 홈페이지, 다문화·탈북학생 멘토링 사업 안내 (검색일 : 2020.06.20.)
복지로, 한눈에 보는 복지정보 다문화(새터민) (검색일 : 2020.06.20.)
법제처 국가법령정보센터, http://www.law.go.kr (검색일 : 2020.06.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