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고열과 호흡곤란 및 탈수를 동반한 환아 간호, 시나리오"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사례연구
1.1. 크룹 증후군
1.1.1. 급성발작성후두염
1.1.2. 급성 후두기관기관지염
1.1.3. 급성 후두개염
1.1.4. 급성 기관염
1.2. 크룹의 원인과 발생빈도
1.3. 크룹의 증상
1.4. 크룹의 진단검사
1.5. 크룹의 치료적 관리
1.6. 참고문헌
2. 고열과 호흡곤란 및 탈수 동반 환아 간호
2.1. 간호사정
2.1.1. 병력 및 현병력
2.1.2. 신체사정
2.1.3. 진단검사
2.2. 간호진단
2.2.1. 기도 내 분비물과 관련된 비효율적 호흡양상
2.2.2. 염증반응과 관련된 고체온
2.2.3. 질병과 관련된 급성통증
2.3. 간호중재
2.3.1. 기도 내 분비물과 관련된 비효율적 호흡양상 중재
2.3.2. 염증반응과 관련된 고체온 중재
2.3.3. 질병과 관련된 급성통증 중재
2.4. 간호결과
3.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사례연구
1.1. 크룹 증후군
1.1.1. 급성발작성후두염
급성발작성후두염은 크룹 증후군의 주요 형태 중 하나로, 후두의 갑작스러운 부종과 염증으로 인해 발생한다. 이로 인해 쉰 목소리, 개 짖는 기침 소리, 흡기 시 협착음, 호흡곤란 등의 특징적인 증상이 나타난다.
급성발작성후두염은 주로 1-3세의 영유아에게 많이 발생하며, 원인은 대부분 바이러스성 감염이다. 정서적, 유전적 소인도 발병 요인이 될 수 있다. 증상은 갑작스럽게 나타나며, 특히 밤에 악화되는 경향이 있다.
환자는 쉰 목소리, 거친 기침, 흡기 시 천명음, 호흡곤란 등을 호소한다. 이는 후두의 부종과 경련으로 인한 후두폐쇄가 원인이다. 응급실이나 외래에서 빠른 진단과 적절한 치료가 필요한데, 임상증상 관찰만으로도 진단이 가능하다.
치료의 주목적은 기도 개방을 유지하는 것이다. 습도 유지, 수분 섭취 증가, 가정에서의 치료 등이 도움이 된다. 또한 안심시키기, 가습 산소 공급, 해열제 투여 등의 처치로 증상을 완화시킬 수 있다. 심각한 기도폐쇄가 발생할 경우 응급기도삽관이 필요할 수 있다.
종합하면, 급성발작성후두염은 후두의 갑작스러운 부종과 염증으로 인해 발생하는 크룹 증후군의 한 유형으로, 주로 영유아에게 나타나며 신속한 진단과 적절한 치료가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1.1.2. 급성 후두기관기관지염
급성 후두기관기관지염은 크룹의 주요 형태 중 하나로, 주로 3개월에서 3세 사이의 영아와 유아에게 영향을 미치는 질환이다. 바이러스에 의해 주로 발생하지만 세균성 감염도 있을 수 있다. 급성 후두기관기관지염은 성대와 후두개 아래, 그리고 기관지를 포함한 성대 하부 조직의 염증을 동반한다.
급성 후두기관기관지염의 주요 증상은 서서히 발병하며 밤에 악화되는 특징을 가진다. 거친 기침, 흡기 시 천명음 등이 나타나며 호흡곤란이 동반된다. 고열과 농성 분비물도 관찰된다. 크룹 증상들이 1~2일에 걸쳐 점진적으로 진행되는 양상을 보인다.
진단은 주로 임상증상을 통해 이루어진다. 혈액검사나 영상검사는 감염의 정도와 원인균 확인을 위해 실시될 수 있다. 크룹 증상 평가도구인 크룹 점수는 호흡부전의 중증도를 확인하는데 이용된다.
치료에 있어서는 기도 개방성 유지가 가장 중요하다. 산소 공급과 더불어 racemic epinephrine 분무요법은 후두부종과 기관지 경련을 줄이는데 효과적이다. 스테로이드 제제는 점막의 염증을 감소시키고 섬모상피 손상을 방지한다. 항생제 투여도 필요할 수 있다. 대부분의 경우 보존적인 치료로 증상이 호전되지만 중등도 이상의 저산소증이 있다면 기관삽관이 필요하다.급성 후두기관기관지염은 주로 바이러스 감염에 의해 발생하지만 세균 감염도 있을 수 있다. 이 질환은 주로 3개월에서 3세 사이의 영유아에게 영향을 미친다.
이 질환의 핵심적인 병리기전은 성대와 후두개 아래, 그리고 기관지를 포함한 성대 하부 조직의 염증이다. 이로 인해 기도가 좁아지고 점액 분비가 증가하게 된다.
임상 양상은 서서히 발병하며 밤에 악화되는 특징을 보인다. 주요 증상으로는 거친 기침, 흡기 시 천명음, 호흡곤란 등이 있다. 또한 고열과 농성 분비물도 동반된다. 증상은 1-2일에 걸쳐 점진적으로 진행된다.
진단은 주로 임상증상에 기반하며, 필요 시 혈액검사나 영상검사를 통해 감염의 정도와 원인균을 확인할 수 있다. 크룹 점수 평가도 호흡부전 정도 파악에 도움이 된다.
치료의 핵심은 기도 확보이다. 산소 공급과 함께 racemic epinephrine 분무요법, 스테로이드 제제 투여 등이 이루어진다. 항생제 사용도 필요할 수 있다. 보존적 치료에도 불구하고 중등도 이상의 저산소증이 지속되면 기관삽관이 필요하다.
1.1.3. 급성 후두개염
급성 후두개염은 후두개 부위의 급성 감염으로, 세균성 감염이 가장 흔한 원인이다. 주로 b형 인플루엔자 간균(H. influenzae type b)이 원인이 되며, 이로 인한 후두개의 부종과 염증으로 기도폐쇄가 빠르게 진행된다.
급성 후두개염은 갑작스럽게 발병하며, 고열, 인후통, 호흡곤란, 연하곤란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특히 호흡곤란이 빠르게 악화되어 청색증, 무호흡 등의 증상이 동반될 수 있다. 또한 인두부종으로 인해 삼킴이 어려워지고 침흘림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증상은 후두개의 부종으로 인한 기도폐쇄가 원인이며, 빠르게 악화되어 응급 처치가 필요한 질환이다. 따라서 조기 진단과 함께 적극적인 치료가 이루어져야 한다.
치료를 위해서는 기도 확보가 가장 중요하며, 필요시 기관 삽관이나 기관절개술 등의 응급 처치가 시행된다. 또한 정맥 내 항생제 투여와 함께 스테로이드 투여로 부종을 감소시키고, 해열제 투여로 열을 낮추는 등의 처치가 이루어진다.
이처럼 급성 후두개염은 응급 상황이 될 수 있는 질환으로, 신속하고 적절한 치료가 예후에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증상 발현 시 신속한 내원과 함께 전문가의 면밀한 관찰과 집중적인 치료가 필요하다.
1.1.4. 급성 기관염
급성 기관염은 기관 점막의 염증성 반응으로 발생하는 질환이다. 주로 바이러스 감염에 의해 발생하며, 세균 감염이 동반되는 경우도 있다. 급성 기관염은 급성 발작성 후두염이나 급성 후두기관지염과 유사한 증상을 보이지만, 염증부위와 발생률에서 차이가 있다.
급성 기관염의 주요 원인 병원체는 포도상구균, 연쇄상구균,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호흡기 세포융합 바이러스 등이다. 이러한 병원체들이 상기도 감염을 통해 기관으로 침입하면 기관 점막의 염증반응이 나타난다. 급성 기관염은 생후 1개월에서 6세 사이의 영유아와 소아에게 주로 발생하며, 겨울철에 발생률이 높다. 성별에 따른 차이는 크지 않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급성 기관염의 주요 증상은 기침, 쉰 목소리, 객담 배출, 호흡곤란 등이다. 증상은 점진적으로 발생하며, 기침은 일반적으로 건성이고 쉰 목소리...
참고 자료
약학 정보원, 사진출처: 약학 정보원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유해영 외. 아동간호학2 (현문사.2016.02)
현문사, 기본간호학(1),-서울아산병원,-기본간호 중재와 술기
보건복지부 국립재활원, 표준예방접종일정표(2019), 2022.11.23.
http://www.nrc.go.kr/portal/html/content.do?depth=ph&menu_cd=03_01_00_03
약학정보원, 어린이타이레놀현탄액, 2022.11.23.
https://www.health.kr/searchDrug/result_drug.asp?drug_cd=A11AEEEEE0237
약학정보원, 벤토린네뷸 2.5mg, 2022.11.23.
https://www.health.kr/searchDrug/result_drug.asp?drug_cd=A11ABBBBB1231
약학정보원, 지스로맥스건조시럽(15mL), 2022.11.23.
https://www.health.kr/searchDrug/result_drug.asp?drug_cd=A11A0310A0245
약학정보원, 신세프주 0.75g, 2022.11.23.
https://www.health.kr/searchDrug/result_drug.asp?drug_cd=A11A0030A0380
약학정보원, 중외 5% 포도당주사액, 2022.11.23.
https://www.health.kr/searchDrug/result_drug.asp?drug_cd=A11A0210A0004
약학정보원, 중외염화칼륨주사액, 2022.11.23.
https://www.health.kr/searchDrug/result_drug.asp?drug_cd=A11A0210A0121
이은희 외(2021), 비판적 사고에 기반한 간호과정, 고문사: 서울
송경애 외(2021), 최신 기본간호학I(개정판), 수문사: 파주
박호란 외(2020), 근거기반실무 중심의 아동간호학 하권(개정증보판), 현문사: 서울
이수연 외(2019), 최신아동건강간호학 각론(개정판), 수문사: 파주
MEG GULANICK, JUDITH L. MYERS(2019), 간호진단, 중재 및 결과 가이드(수정판), 현문사: 서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