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미숙아, 특히 극소 저체중 출생아(ELBW, Extremely Low Birth Weight)는 호흡기 질환, 뇌 출혈, 감염, 괴사성 장염 등의 문제로 인해 이환률과 사망률이 높다. 이에 따라 ELBW 신생아에게는 초기 단계에서 확실하고 시기적절한 의료 및 간호처치가 요구된다. 또한 ELBW 신생아는 건강한 만삭아와 달리 신생아 집중치료실에 입원하게 되어 가족과 헤어지게 되므로, 아기뿐만 아니라 가족에 대한 간호중재와 지지도 필요하다. 이번 사례 연구를 통해 ELBW 신생아의 임상적 증상, 치료법 및 간호수행을 학습하여 신생아의 회복과 건강한 성장발달을 돕고자 한다.
2. ELBW(Extremely Low Birth Weight)에 대한 문헌고찰
2.1. 정의
세계보건기구(WHO)에 의하면 재태 기간 37주 미만 또는 최종 월경일로부터 259일 미만에 태어난 아기를 미숙아(Preterm infant)또는 조산아라고 한다. 반면 재태 기간과 상관 없이 출생 체중을 기준으로 하여 출생 체중이 2,500g 미만인 경우는 저체중 출생아(LBW, low birth weight), 출생 체중이 1,500g 미만인 경우는 극소 저체중 출생아(VLBW, very low birth weight), 그리고 출생 체중이 1,000g 미만은 경우는 초극소 저체중 출생아(ELBW, extremely low birth weight)라고 분류하기도 한다. 최근 출생 체중이 2,500g 미만이거나 재태 기간 37주 미만으로 출생한 아기를 통칭하여 이른둥이라고 부르는 경우도 있다.
2.2. 원인
대부분의 경우 미숙아가 출산되는 원인은 알 수 없다. 그러나 낮은 사회경제적 여건, 산모 나이가 16세 미만이거나 35세 이상인 경우, 오랜 기간 서 있거나 물리적 스트레스를 받는 활동을 필요로 하는 경우, 급성 또는 만성 질환이 있는 경우, 다태아인 경우, 이전에 미숙아를 분만한 경우, 자궁 기형이나 전치태반, 임신성 고혈압이나 임신성 당뇨 등의 산과적 질환이 있는 경우, 태아 상태가 안 좋은 경우에 미숙아로 출생할 확률이 높다.
태아 측 원인으로는 태아 곤란증, 다태임신, 태아 적아구증, 비면역성 태아 수종, 자궁 내 성장 지연이 있으며, 태반/자궁 이상 태반 기능부전, 전치태반, 태반조기박리, 자궁 기형, 자궁 손상, 자궁경관 무력증, 조기 양막파수, 융모양막염, 양수과다/과소증이 있다.
산모 측 원인으로는 산모의 나이(16세 또는 >35세), 활동성/급성 및 만성 질환, 임신 중독증, 과거 미숙아 분만력, 약물 남용, 감염증이 있으며, 부정확한 재태주령도 원인이 될 수 있다.
따라서 낮은 사회경제적 여건, 산모의 나이, 질환, 임신 합병증 등의 다양한 요인들이 미숙아 출산의 원인이 될 수 있다.
2.3. 증상
미숙아는 체온 조절 기능이 불충분하여 쉽게 저체온 상태에 빠지게 되며, 체중에 비해 체표면적이 넓고 피하 지방 형성이 빈약하여 열 손실이 크다. 또한 신체활동이 감소하여 체온을 적절히 유지하기 어렵다.
미숙아의 폐는 충분히 발달하지 못하여 폐 확장이 어렵고, 늑골이 연약하며 늑간 근육과 횡격막의 힘이 약해 폐 확장을 방해한다. 이로 인해 쉽게 저산소혈증에 빠져 심장 문제와 산혈증, 사망에 이를 수 있다. 체중 1,500g 이하 미숙아는 신경학적 미숙으로 잠깐 동안 숨을 쉬지 않는 무호흡 증상이 자주 나타나며, 장기간 인공호흡기 사용으로 폐의 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