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모아관계장애의위험 조기진통"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모아관계장애의 위험
1.1. 조기진통의 정의, 원인, 병태생리
1.2. 조기진통의 증상 및 징후
1.3. 조기진통의 치료 및 간호
2. 간호진단
3. 간호과정
3.1. 임신 및 정상분만과 관련된 감염의 위험
3.2. 산후 임신성 당뇨 관리에 대한 지식부족과 관련된 불안정한 혈당수치의 위험
4. 제왕절개술의 이해
4.1. 제왕절개술의 정의와 유형
4.2. 제왕절개술의 적응증
4.3. 제왕절개술의 수술 방법
4.4. 제왕절개술의 합병증
4.5. 제왕절개술의 간호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모아관계장애의 위험
1.1. 조기진통의 정의, 원인, 병태생리
조기진통은 임신 20~37주 사이에 자궁의 수축과 함께 산모의 자궁경부가 짧아지고, 자궁경부의 확장이 동반된 상태이다. 조기진통의 원인은 확실하게 알려져 있지 않지만, 양수과다증, 산전출혈, 다태아, 조산의 기왕력, 경관 무력증, 자궁이나 자궁경관의 기형, 생식기계의 감염, 임신 중 복부 수술, 임신 유산력 및 32주 이전에 경관이 2cm 이상 개대된 경우와 같은 산과적 요인과, 신질환, 신우신염, 당뇨병, 만성 고혈압, 임신성 고혈압과 같은 내과적 요인, 그리고 연령, 부적절한 산전간호, 낮은 사회·경제적 상태, 지나친 가사노동, 흡연, 알코올 섭취, 약물중독, 정신적 스트레스 등과 같은 사회·행동적 요인이 관여된다고 볼 수 있다.
조기진통의 병태생리를 살펴보면, 첫째, 미생물에 의해 유발된 염증 과정에 의해 조기진통이 발생할 수 있다. 양수에서 발견되는 미생물은 하부 생식기에서 발견되는 미생물과 유사하므로 상행 경로가 가장 흔한 감염 경로로 간주된다. 그러나 양수 내에서 치주 질환과 관련된 박테리아가 발견되는 것으로 보아 태반을 통한 상행 경로와 함께 혈행성 파종에 의해서도 발생할 수 있다. 둘째, 탈락막 출혈 및 혈관 질환도 조기진통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양막파수가 없는 조기진통이나 조기양막파수가 있는 산모의 일부에서는 탈락막의 지혈 결함으로 인해 질출혈이 발생하며, 이 과정에서 생성된 트롬빈은 자궁근막의 수축을 자극할 수 있다. 셋째, 탈락막의 조기 노화도 조기진통과 관련이 있다. 착상 시기에 자궁내막은 해부학적, 기능적 변화를 거쳐 탈락막이 되는데, 탈락막의 조기 노화는 착상 실패, 태아 사망 및 조산과 관련이 있다. 넷째, 모아-태아 내성장애로 인해 모체 T 세포의 증가가 조기진통을 유발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프로게스테론 작용의 감소도 조기진통의 원인으로 볼 수 있다. 프로게스테론은 임신 유지에 핵심적이며, 그 작용이 감소하면 자궁 경부 숙성, 자연 유산 및 분만이 유도될 수 있다.
1.2. 조기진통의 증상 및 징후
규칙적인 자궁 수축과 함께, 골반 압박 증상, 생리통과 같은 통증, 하부 허리 통증 등이 나타날 수 있다. 또한 질 분비물이 증가하거나 피가 섞인 점액성 질 분비물이 나올 수 있다.
규칙적인 자궁수축과 함께 자궁경부의 변화와 자궁경부를 통해 양수가 흘러나올 수 있다. 임신 20-37주 조기진통 진단기준은 20분 동안 5분마다 자궁수축 발생 또는 60분 동안 8번 이상 수축 발생, 그리고 기록된 자궁경부의 변화 또는 80% 이상 자궁경부 소실 또는 1cm 이상 자궁경부 개대이다.
질 내 분비물을 채취하여 양막파수 여부를 확인할 수 있으며, 경질초음파를 통해 자궁 경부 길이를 측정하여 자궁경부가 짧아진 경우 조산 위험성이 있다고 확인할 수 있다. 자궁 경부 길이가 짧을수록, 자궁 경부 길이가 짧아지는 시기가 빠를수록 조산의 위험도는 증가한다.
1.3. 조기진통의 치료 및 간호
조기진통을 억제하기 위해 다양한 약물요법을 사용할 수 있다. 베타 아드레날린 수용체 작용제, 아토시반, 마그네슘, 니페디핀(아달라트) 등을 이용한 약물 요법을 적용할 수 있다. 감염이 동반된 경우 항생제를 투여하고, 태아의 폐 성숙을 돕고 태아호흡억제 증후군의 위험을 감소시키기 위해 스테로이드제제를 투여하기도 한다. 이러한 치료 방법들은 효과와 더불어 부작용도 있으므로 산모와 태아의 상태를 주의 깊게 관찰하며 신중히 투여해야 한다.
간호사는 조기진통을 경험하는 산모의 간호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한다. 우선 입원 중 불안을 감소시키는 지지적 간호를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활력징후, 배뇨량 및 자궁수축 등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며, 진통과정, 치료방법, 태아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지속적으로 제공하여 산모의 협조를 이끌어낸다. 분만이 임박한 경우에는 실제 출산과정과 출산 이후의 일들을 준비할 수 있도록 정보를 제공한다. 또한 침상안...
참고 자료
성미혜 외, 여성건강간호학(제 10판), 수문사, 2021
성미혜, 강정희, 권경희, 박창승, 손정태, 오혜경, 이은주, 이창관, 최화영, 황경혜, 간호과정과 비판적 사고, 정문각 JMK, 2020
약학정보원, https://www.health.kr/
네이버 지식백과,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5646424&cid=60406&categoryId=60406
서울아산병원 질환백과,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Submain.do
조금준, 조기진통의 병태생리, Womb Story 21호_조기진통(preterm labor)과 조산(preterm delivery)
의약품 상세정보, 약학정보원 https://www.health.kr/searchDrug/search_detail.asp
의약품정보, 서울아산병원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druginfo/drugInfo.do
박영주 외 (2020). 여성간호학Ⅰ 제5판, 현문사
박영주 외 (2020). 여성간호학Ⅱ 제5판, 현문사
정향미 외 (2020). 개정판 비판적 사고를 적용한 간호과정, 수문사
여성건강간호학2, 박영주 외, 현문사, 2021, p332~339.
서울 아산병원, “제왕절개”,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management/managementDetail.do?managementId=455, 2022.09.27.
아동간호학 상권, 박호란 외, 현문사, 2021, p.114~115.
대한진단검사의학회, “혈액검사 임상적의의”, https://www.kslm.org/sub01/sub05_4.html, 2022.09.28.
서울아산병원, “NST”, https://health.amc.seoul.kr/health/personal/checkInformation.do?checkno=520, 2022.09.28.
약학정보원, “박타신주”, http://www.health.kr/searchDrug/result_drug.asp?drug_cd=A11A0030A0582, 2022.09.28.
약학정보원, “구주디클로페낙주사액”, http://www.health.kr/searchDrug/result_drug.asp?drug_cd=A11A2780A0239, 2022.09.28.
약학정보원, “에르빈주사액”, http://www.health.kr/searchDrug/result_drug.asp?drug_cd=A11ABBBBB0112, 2022.09.28.
약학정보원, “중외엔에스주사액”, http://www.health.kr/searchDrug/result_drug.asp?drug_cd=2016110100022, 2022.09.28.
약학정보원, “디페인주사”, http://www.health.kr/searchDrug/result_drug.asp?drug_cd=A11A0130A0286, 2022.09.28.
약학정보원, “부루펜정”, http://www.health.kr/searchDrug/result_drug.asp?drug_cd=A11A0500A0097, 2022.09.28.
약학정보원, “크라목신주”, http://health.kr/searchDrug/result_drug.asp?drug_cd=A11A0030A0520, 2022.09.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