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만취자 대처법"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만취자 대처법의 필요성
1.2. 청소년 음주와 무면허운전의 개념
2. 본론
2.1. 청소년 음주와 무면허운전의 현황
2.2. 청소년 음주의 문제점
2.3. 무면허운전의 문제점
2.4. 미국과 한국의 아동 성범죄자 처벌 비교
3. 결론
3.1. 청소년 음주 및 무면허운전 개선 방안
3.2. 약물 오남용, 흡연, 음주 예방 교육 계획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만취자 대처법의 필요성
만취자 대처법의 필요성이다. 만취자는 술에 취해 정상적인 판단력과 행동능력을 상실하게 되어 위험한 상황에 처할 수 있다. 따라서 만취자에 대한 적절한 대처가 필요하다. 먼저 만취자의 안전을 확보하고, 응급구조대나 경찰에 신고하는 등 전문적인 도움을 받아야 한다. 또한 만취자 주변에 있는 사람들도 안전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교육이 필요하다. 만취자 대처법에 대한 교육을 통해 만취자와 주변인 모두의 안전을 지켜낼 수 있다.
1.2. 청소년 음주와 무면허운전의 개념
청소년 음주와 무면허운전의 개념이다. 청소년이란 9세 이상 24세 이하인 사람을 의미한다. 청소년기는 아동기를 지나 성인기에 이르는 과도기로서 급격한 신체적, 지적, 정서적 변화가 나타나는 시기이다. 음주란 알코올 음료를 마시는 것을 말하며, 무면허운전은 운전면허증 없이 차량을 운전하는 것을 의미한다. 청소년이 음주나 무면허운전을 하는 경우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으로 다양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술이나 운전에 대한 판단력이 미숙한 청소년의 경우 그 피해가 더 심각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청소년의 음주와 무면허운전에 대한 예방 교육과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
2. 본론
2.1. 청소년 음주와 무면허운전의 현황
청소년 음주와 무면허운전의 현황이다. 2010년 청소년건강행태온라인조사 분석결과, 청소년(중1-고3)의 평생 음주 경험률은 전체 54.8%이었고, 남학생 57.1%, 여학생 52.2%로 남녀 차이는 근소하다. 현재 음주율은 전체 21.1%이었고, 남학생이 23.5%로 여학생의 18.3% 보다는 약간 높은 양상이었다. 중학생과 고등학생의 현재 음주율은 각각 13.3%(남학생 14.1%, 여학생 12.4%), 28.9%(남학생 32.9%, 여학생 24.3%)로 학년이 올라갈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는 미국의 9학년, 10학년, 11학년 및 12학년의 평생 음주 경험률이 각각 63.4%, 71.1%, 77.8%, 79.7%이었으며 현재 음주율이 각각 31.5%, 40.6%, 45.7%, 51.7%로 나타난 것과 유럽의 경우 16세(고1)를 대상으로 한 35개국 현재 음주율 평균이 61.0%인 것과 비교하면 우리나라 청소년의 현재 음주율은 낮은 수준이다. 최근 들어 현재 음주율이 전반적으로 감소하는 추세는 미국과 유럽의 국가에서도 동일하게 관찰되는 현상이다. 청소년의 위험 음주율은 2010년 전체 47.2%이었고, 남학생(44.4%...
참고 자료
네이버 (블로그, 기사,운전면허 나이제한 및 면허취득 조건 알아보기|작성자자동차운전면허학원,한국보건사회연구원)
청소년활동론(동문사,김창현 외2명, 2016년 발행.)
김지영(2011), 「아동 청소년 성폭력 보도에 관한 제3자 효과 연구:조두순, 김길태, 김수철 사건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김용화(2013), 「아동 대상 성폭력범죄 처벌 수준에 관한 연구」, 『서울법학』, 20(3), 145-177
장철영(2014), 「아동성폭력범죄 예방을 위한 대응방안 모색-해외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 한국민간경비학회보』, 209-246.
한승숙외, 새로운 학교보건, 계축문화사, 2015, 45~52p
우옥영외 생활 속의 보건 6학년, YBM, 2009, 58~65p
보건복지부, 금연, https://nosmk.khealth.or.kr/ntcc/eng/index.do, (2022.11.01)
우옥영외 생활 속의 보건 6학년, YBM, 2009, 66~70p
아꿈선, https://www.youtube.com/watch?v=C9CWWUx8-Gw, (2021.06.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