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1.1. 지적장애아동의 학습동기 증진의 필요성
지적장애아동의 학습동기 증진의 필요성이다. 지적장애아동은 일반 아동에 비해 학습 수행 능력이 낮은 편이다. 이는 단순히 인지능력의 부족에 의해서만이 아니라 낮은 학습동기로 인해서도 나타나는 현상이다. 지적장애아동들은 외적 통제소, 높은 외부 지향성, 부정적인 반응 경향성, 실패에 대한 높은 기대 등의 심리적 특성으로 인해 학습에 대한 동기가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학습동기 저하는 지적장애아동의 학업 성취를 저해하고 결과적으로 전인적 성장과 발달을 저해할 수 있다. 따라서 지적장애아동의 학습동기를 증진시키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1.2. 지적장애아동의 학습 특성
지적장애 아동은 다른 아동에 비해 발달 및 성장 특성이 독특하고 학습 역량이 낮은 수준에 머무르는 특성이 있다. 이들의 학습동기를 증진시키고 수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게 하기 위해서는 이들의 특성을 고려해야 한다.
지적장애 아동은 자극에 대한 반응이 둔감하며 작은 외부자극에도 주의집중력이 약해지는 특성이 있다. 이에 따라 수업과정에서 주의집중하는 것을 어려워하고 흥미를 쉽게 잃게 된다.
또한 지적장애 아동의 기억력 문제는 크게 두 가지로 나타난다. 첫째, 자연 상태에서는 단기기억을 입력할 수 있는 기억전략이 부재하여 일반 아동보다 정보를 기억하는 효율이 극적으로 떨어진다. 둘째, 지적장애 아동의 단기기억 저장용량이 상대적으로 낮은 편이기 때문에 동일한 경험과 정보를 공급받더라도 일반 아동보다 더 적은 수준의 정보만 기억한다.
지적장애 아동은 초인지 역량이 낮은 수준에 머물러 있기 때문에 수업에 흥미를 느끼지 못하게 된다. 초인지 역량은 아동이 수업의 과업을 해결 및 수행하기 위해 어떤 전략을 취할지 스스로 계획하고 실행된 계획을 평가하는 역량으로, 이 역량이 뛰어날수록 아동의 학업 성취도와 학습 동기가 제고되는 특성이 있다.
더불어 지적장애 아동은 타인의 행동을 모방하며 학습하는 능력이 크게 떨어지며, 어렵게 배운 내용도 필요보다 과하게 일반화해서 적용하는 경향이 있다. 이에 따라 수업 진도를 따라가기 어려워하고 수업에 쉽게 흥미를 잃기 때문에 교육과정에 수동적으로 참여하는 경향이 강한 편이다.
이처럼 지적장애 아동은 주의집중력, 기억력, 초인지 역량, 모방학습 및 일반화 능력 등이 일반 아동에 비해 현저히 낮은 수준이기 때문에, 이들의 학습동기 향상과 수업 참여를 이끌어내기 위해서는 이러한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교육전략이 필요하다.
2. 지적장애아동의 학습동기 저하 요인
2.1. 낮은 주의집중 능력
지적장애아동의 낮은 주의집중 능력이다. 지적장애 아동은 자극에 대한 반응이 둔감하며 작은 외부자극에도 주의집중력이 약해지는 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