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비만은 '건강을 해칠 정도로 지방조직에 비정상적인 또는 과도한 지방이 축적된 상태'이다. 체지방률이 정상치를 초과하면 비만이라고 할 수 있다. 비만의 진단은 체질량지수(BMI)를 사용하며, BMI가 18.5~24.9 kg/m2이면 정상, 25~29.9 kg/m2이면 과체중, 30~34.9 kg/m2이면 비만 Class 1, 35~39.9 kg/m2이면 비만 Class 2, 40 kg/m2 이상이면 비만 Class 3으로 구분된다.
2. 비만의 정의와 진단
비만은 '건강을 해칠 정도로 지방조직에 비정상적인 또는 과도한 지방이 축적된 상태'이다. 체지방률이 정상치를 초과하면 비만으로 정의된다. 비만의 진단은 체질량지수(BMI)를 이용하여 간단하게 예측할 수 있다. WHO 기준에 따르면, BMI가 18.5~24.9 kg/m2는 정상, 25~29.9 kg/m2는 과체중, 30~34.9 kg/m2는 비만 Class 1, 35~39.9 kg/m2는 비만 Class 2, 40 kg/m2 이상은 비만 Class 3로 분류된다. 따라서 BMI가 25 kg/m2를 초과하면 비만으로 진단할 수 있다. 또한 생체전기저항 측정법(BIA)을 이용하여 체지방률을 측정하여 비만을 진단할 수 있으며, 여성의 경우 체지방률이 30% 이상, 남성은 25% 이상이면 비만으로 판단한다. 더불어 허리둘레 기준을 활용하여 복부 비만을 진단할 수 있는데, 동양인의 경우 남성은 90cm, 여성은 85cm 이상이면 복부 비만으로 정의된다. 또한 복부 CT 촬영을 통해 내장지방과 피하지방의 비율이 0.4 이상이면 내장지방형 비만으로 진단한다. 따라서 비만의 진단은 BMI, 체지방률, 허리둘레, 내장지방 비율 등 다양한 지표를 활용하여 종합적으로 이루어진다.
3. 비만의 병태생리
3.1. 에너지 섭취와 소비
비만은 에너지 섭취가 에너지 소비를 능가할 경우, 잉여 에너지가 지방조직으로 저장되어 나타난다. 에너지 섭취와 소비를 조절하는 기전은 크게 두 가지로 볼 수 있다.
첫째, 말초에서 중추신경으로 보내는 신호이다. 렙틴은 지방세포에서 생산되는 호르몬으로 우리 몸의 에너지 저장상태를 장기적으로 조절한다. 금식을 하면 혈중농도가 감소하고, 음식을 섭취하면 올라간다. 또한 위장관 호르몬인 CCK, GLP-1, PYY, ghrelin 등은 에너지 저장상태에 대해 단기적인 신호를 보내며 포만감과 배고픔을 느끼게 하여 음식섭취를 조절한다.
둘째, 중추에서의 말초신경 처리이다. 시상하부는 지방세포에서 오는 신호를 통합하여 에너지항상성을 유지한다. 특히 궁상핵에는 식욕에 관여하는 신경세포가 있어 식욕 억제 및 에너지소비 또는 식욕 증진의 작용을 한다.
이처럼 에너지 섭취와 소비는 말초신호와 중추신경 조절을 통해 복잡하게 이루어지며, 이러한 기전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을 경우 비만이 발생한다.
3.2. 비만 합병증의 병태생리
비만은 제2형 당뇨, 이상지질혈증, 고혈압, 대사증후군, 호흡기질환, 위장관 합병증 등 다양한 질환을 유발한다.
첫째, 비만의 과도한 지방 분해로 인한 유리지방산의 방출과 혈중 농도 증가, 이소성 지방의 축적, 지방조직의 염증반응 등을 통해 인슐린 저항성이 발생한다. 인슐린 저항성이 있더라도 췌장에서 충분한 인슐린을 분비하면 문제가 없지만, 보상기전이 적절하지 못한 경우 당뇨병으로 이어진다.
둘째, 비만과 인슐린 저항성으로 인해 혈중 중성지방은 증가하고 HDL은 감소하는 이상지질혈증이 발생한다.
셋째, 체중 증가는 혈압 상승을 수반하며, 비만의 약 40%가 고혈압을 동반한다. 정확한 기전은 알 수 없지만, 내피세포 기능장애, 안지오텐시노겐의 증가, 신장 나트륨 재흡수 증가 등이 관여한다.
넷째, 비만인 경우 고혈당, 고혈압, 이상지질혈증이 함께 발생하는 대사증후군이 나타나며, 이 경우 심혈관질환의 위험성이 높다.
다섯째, 비만으로 인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