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기도폐쇄는 상기도에서부터 기관지에 이르기까지 염증이나 종양 등으로 인해 기도가 좁아지거나 막혀 발생하는 증상이다. 이는 호흡곤란, 청색증, 천명음 등의 증상을 동반하며 심할 경우 생명에 위협을 줄 수 있다. 따라서 기도폐쇄 환자의 간호에 있어서 호흡양상 사정과 적절한 간호중재가 매우 중요하다. 본 보고서에서는 기도폐쇄 환자의 간호과정을 살펴보고자 한다. 특히 환자의 비효과적 호흡양상에 대한 간호진단과 그에 따른 간호중재 및 평가에 대해 자세히 다루고자 한다. 이를 통해 기도폐쇄 환자의 효과적인 간호를 도모하고자 한다.
2. 간호진단
2.1. 기관지 축소와 관련된 비효과적 호흡 양상
대상자는 계속하여 목을 가리키며 호흡이 불편함을 표현하였다. 객담 배출을 원한다고 적극적으로 표현하였으며, 기침하는 모습이 관찰되었다. 2019년 7월 30일 SpO2가 93%로 측정되었고, SpO2 95% 이하 시 O2 1L/min 적용이 처방되어 있었다. 이를 통해 대상자에게 기관지 축소로 인한 비효과적 호흡 양상이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저산소증 시 심박동수와 호흡수가 증가하므로, 활력징후를 주기적으로 측정하였다. 호흡양상을 관찰한 결과 호흡이 가쁘고 wheezing이 확인되어 질병의 진행 정도를 유추할 수 있었다. 또한 SpO2를 측정한 결과 2019년 7월 30일 12시에 93%로 저산소증이 나타났기에, 이를 개선하기 위해 nasal cannula를 통해 O2 1L/min을 공급하였다.
분비물로 인한 기도 폐쇄를 예방하기 위해 필요 시 흡인을 시행하고, 흉부물리요법 및 체위 배액법을 실시하여 환기와 관류를 개선하였다. 또한 기침과 심호흡을 하도록 격려하여 적절한 기도청결을 유도하였다. 상체를 상승시켜 폐를 확장시킴으로써 호흡곤란을 완화시켰고, Nebulizer 사용법을 설명하여 항염증제와 기관지확장제를 투약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러한 간호중재를 통해 대상자의 SpO2가 95% 이상으로 유지되고 호흡곤란이 완화되어 단기목표를 달성하였다. 또한 퇴원 후에도 비정상적인 호흡 양상을 보일 때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보호자에게 교육하여 장기목표도 달성하였다.
2.2. 폐액 배출 실패로 인한 무기폐와 관련된 비효과적 호흡양상
폐액 배출 실패로 인한 무기폐와 관련된 비효과적 호흡양상은 대상자의 호흡 양상을 면밀히 관찰하고 모니터링하여 적절한 간호중재를 제공함으로써 개선될 수 있다.
대상자의 객관적 자료를 살펴보면, 호흡 시 코를 벌렁거리며 끙끙거리는 모습이 관찰되었고, 흉부 방사선 검사 결과 wet lung disease와 aspiration 소견이 확인되었다. 또한 ABGA 검사에서 호흡성 알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