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1.1. 소규모학교 통폐합의 배경
소규모학교 통폐합은 1982년부터 시작되었다. 이는 교육의 공동화와 함께 지역문화 공간 상실, 과원 발생에 따른 교원 수급 차질, 폐교 재산처리·관리 문제 등의 문제점으로 인해 많은 논란이 되어 왔다. 올해 교육부의 '소규모학교 통폐합' 정책으로 인해 앞으로도 계속 논란이 예상된다. 이미 교육부의 방침이 알려지면서 통폐합 대상으로 거론되는 학교가 있는 지역의 주민들은 연초부터 대책 회의를 열고, 통폐합이 결정되면 집단적인 반대 투쟁을 벌이기로 결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또한 지역주민과 동문이 이의를 제기하고 도 교육청을 항의 방문하는 한편, 각계에 탄원서를 제출하는 등의 여러 문제가 발생하게 되었다.
1.2. 학부모 및 지역주민의 반발
소규모학교 통폐합 정책이 알려지면서 통폐합 대상으로 거론되는 학교가 있는 지역의 주민들은 연초부터 대책 회의를 열고, 통폐합이 결정되면 집단적인 반대 투쟁을 벌이기로 결의하였다. 또한 지역주민과 동문이 이의를 제기하고 교육청을 항의 방문하는 한편, 각계에 탄원서를 제출하는 등의 여러 문제가 발생하게 되었다.
폐교 학부모나 지역주민은 소외감으로 인해 학교 교육에 참여할 기회를 기피하게 된다. 폐교 학부모와 지역주민 간 갈등이 야기될 수 있으며, 폐교 학부모가 학구를 위반하여 이중으로 전출하는 사례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폐교에 따라 지역교육문화가 상실되어 농·어촌 교육의 황폐화가 우려된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폐교 학부모와 지역주민의 소외감을 해소하고, 갈등을 해소하며, 이중 전출 문제를 해결하고, 지역교육문화 상실을 방지하는 등의 노력이 필요하다. 학교장은 폐교 학부모와 지역주민의 의견을 적극 수렴하고, 학교 운영위원회, 지역기관장, 지역유지 등과 협력하여 다양한 대화 채널을 마련해야 한다. 또한 폐교된 학교의 시설물을 활용하여 지역문화 행사를 개최하고, 주민들의 활용도를 높이는 등의 노력이 필요하다.
이처럼 소규모학교 통폐합에 따른 학부모 및 지역주민의 반발은 심각한 수준이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학교장을 중심으로 다각도의 노력이 필요하다.
2. 소규모학교 통폐합에 따른 문제점
2.1. 학생 측면의 문제점
2.1.1. 본교와 폐교 학생 간 집단 따돌림
본교와 폐교 학생 간 집단 따돌림은 여러 가지 문제점을 발생시킨다. 먼저 소속감과 자아존중감의 저하로 인해 서로 이질감을 느끼고 교우관계 형성이 어려워진다. 또한 집단 따돌림으로 인한 정서적 상처는 학습력 저하로 이어져 교육활동 전반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더불어 폐교 학생들은 모교에 대한 애착심이 부족해져 애향심이 결여된다. 이로 인해 학생들 간 갈등이 지속되고 화합이 어려워져 학교생활 전반에 걸쳐 부정적인 영향을 초래한다.
2.1.2. 폐교 학생들의 방과 후 생활지도 문제
폐교 학생들의 방과 후 생활지도에는 많은 문제점이 존재한다. 첫째, 수준별 특기·적성교육이 이루어지지 않아 개인차와 이질감이 해소되지 않는다. 둘째, 등하교 통학버스 시간이 융통성 없어 불편함이 크다. 셋째, 전통 놀이를 통한 통폐합 학교 어린이들의 화합 분위기 조성이 미흡하다. 넷째, 1인 1역 활동제로 학교생활 적응이 더딘 편이다. 다섯째, 잦은 가정 방문으로 사회와 학부모 간 이질성 회복이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처럼 폐교 학생들의 방과 후 생활지도에는 다양한 문제점이 존재하므로, 이를 해결하기 위한 적극적인 대책이 필요하다.
2.1.3. 원거리 통학에 따른 문제
원거리 통학에 따른 문제이다. 통학버스 운행의 횟수 제한에 따라 저학년과 고학년의 통학 시간 조정에 어려움이 있다. 고정 노선으로 인해 학생들의 시간 문제가 발생하며, 심신 피로로 정신적, 육체적 문제점이 나타나기도 한다. 안전사고의 위험이 있어 분쟁의 소지가 있다. 하숙 등의 생활에 따른 학생들의 탈선 우려도 크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통학버스를 제공하여 불편을 해소하고, 통학비와 하숙비 등을 지원하여 경제적 부담을 덜어 주어야 한다. 또한 안전한 통학을 위해 버스 기사에 대한 연수를 실시하고, 지도교사가 버스에 동승하는 등 안전관리를 철저히 해야 한다.
2.2. 학부모 및 지역주민 측면의 문제점
2.2.1. 폐교 학부모와 지역주민의 소외감
폐교되는 학교의 학부모들과 지역주민들은 소외감을 느끼게 된다. 폐교된 학교와 본교에 다니는 학생들 간의 격차로 인해 폐교 학부모들은 학교 교육에 참여할 기회가 줄어들게 된다. 폐교된 학교 학부모들은 본교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