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1.1. 아동 살모넬라 장염 사례 소개
7세 남아 김OO은 4월 29일부터 지속되는 복부 통증, 구토, 하루 10회 이상의 설사 증상으로 인해 한도병원에서 치료 후 호전되지 않아 5월 2일 본원 외래를 통해 입원하였다. 입원 당시 활력징후는 정상이었으나 스툴검사 결과 살모넬라균이 검출되어 살모넬라 장염으로 진단받았다.
환아는 평소 정상적인 성장발달을 보이는 7세 남아로, 입원 전 기관지염 치료력 외 다른 특이 병력은 없었다. 입원 중 체중이 1kg 감소하였고, 지속되는 설사와 구토로 인한 탈수 증상이 관찰되었다. 피부 상태 사정 결과 항문 주변 발적이 발생하였고, 혀에 영양 부족으로 인한 지도상 혀가 관찰되었다.
입원 기간 동안 환아는 항생제, 정장제, 수액 치료를 받았고 점차 증상이 호전되어 5월 8일 퇴원하였다. 입원 중 보호자에게 살모넬라 장염의 원인과 증상, 관리 방법 등에 대해 교육하였다.
1.2. 살모넬라 장염의 정의와 원인
살모넬라균은 2500가지 이상의 아형이 있는데, 장티푸스와 파라티푸스를 일으키는 티푸스군과 비티푸스군으로 나뉜다. 살모넬라 장염은 비장티푸스성 살모넬라균(non-typhoidal Salmonella)의 감염에 의한 급성위장관염이다. 비티푸스성 살모넬라균은 주로 식품 매개성으로 전파되고 감염자들은 설사, 발열 및 구토 등의 위장관염 증세를 일으킨다.
살모넬라균은 감염된 동물과 감염자의 대변으로 배출되어 오염을 유발하고, 오염된 물이나 음식을 통해 전파된다. 보통 덜 익은 가금류 또는 달걀을 섭취하는 경우에 감염되지만 때로는 덜 익은 소고기나 돼지고기, 저온 살균하지 않은 우유를 섭취하여 감염되고, 감염된 동물과 접촉한 후에 감염되기도 한다. 또한 다른 음식물도 대변에 의해 감염되거나 음식을 취급하는 감염된 사람이 화장실을 사용한 뒤 손을 깨끗이 씻지 않은 경우에 감염될 수 있다.
위산은 살모넬라를 파괴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위산 결핍이 있는 사람이 아니라면 상당한 수의 박테리아를 섭취해야 감염이 발생한다. 이러한 위산 결핍 현상은 1세 미만의 소아, 노인, 히스타민2 차단제 또는 양성자 펌프 억제제와 같이 위산 생산을 억제하는 제산제 또는 약물을 섭취하는 사람에게서 발생할 수 있다.
1.3. 살모넬라 장염의 증상과 진단
살모넬라는 2,500가지 이상의 아형이 존재하는 균으로, 법정 감염병인 장티푸스와 파라티푸스를 일으키는 티푸스군과 비티푸스군으로 나뉜다. 살모넬라 장염은 비장티푸스성 살모넬라균의 감염에 의한 급성위장관염이다. 일반적으로 덜 익은 가금류나 달걀을 섭취하는 경우에 감염되지만, 때로는 덜 익은 소고기나 돼지고기, 저온 살균하지 않은 우유를 섭취하거나 감염된 동물과 접촉한 경우에도 감염될 수 있다. 또한 대변에 의해 다른 음식물이 오염되거나 감염된 사람이 화장실을 사용한 뒤 손을 깨끗이 씻지 않은 경우에 전파될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