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ORIF CRIF

미리보기 파일은 샘플 파일 입니다.
최초 생성일 2025.06.25
8,000원
AI자료를 구입 시 아래 자료도 다운로드 가능 합니다.
다운로드

상세정보

소개글

"ORIF CRIF"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ORIF CRIF
1.1. 골절(Fracture)
1.1.1. 정의
1.1.2. 종류
1.1.3. 증상
1.1.4. 진단
1.2. 골절의 수술
1.2.1. 내부고정술(Internal fixation)
1.2.1.1. ORIF
1.2.1.2. CRIF
1.2.2. 외부고정술(External fixation)
1.3. A/S Synovectomy
1.4. THA(Total Hip Arthroplasty)
1.5. BHA(Bipolar Hemiarthroplasty)
1.6. TKR(Total Knee Replacement)
1.7. UKA(Unicompartmental Knee Arthroplasty)
1.8. HTO(High Tibial Osteotomy)
1.9. Menisectomy
1.10. ACL Reconstruction
1.11. CTS(Carpal Tunnel Syndrome)
1.12. Pulley Release
1.13. Ulnar Shortening Osteotomy

2.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ORIF CRIF
1.1. 골절(Fracture)
1.1.1. 정의

골절(Fracture)이란 외부적 힘에 의해 골 조직의 연속성이 파괴된 상태를 의미한다. 이는 뼈의 전횡단면에 걸친 완전 골절부터 횡단면 혹은 종단면의 일부 골절인 불완전 골절까지 다양한 형태로 나타난다. 또한 골절편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은 폐쇄 골절과 골절 부위의 피부가 손상되어 외부로 창상이 있고 골절된 뼈가 노출된 개방 골절로 구분된다.


1.1.2. 종류

골절은 완전 골절과 불완전 골절로 구분된다. 완전 골절은 뼈의 전횡단면에 걸친 골절로 보통 이탈된 상태이다. 불완전 골절은 횡단면 혹은 종단면의 일부 골절이다.

골절은 또한 폐쇄 골절과 개방 골절로 구분된다. 폐쇄 골절은 골절편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은 상태이다. 개방 골절은 골절 부위의 피부가 손상되어 외부로 창상이 있고 골절된 뼈가 노출된 상태이다. 개방 골절은 3단계로 구분되는데, 1단계는 약간의 연조직 손상, 2단계는 심한 연조직 손상 없이 1cm 이상의 열상이 있을 때, 3단계는 피부, 근육, 신경혈관 구조를 포함하는 심한 연조직 손상이 있을 때이다.

골절선의 방향에 따라 종적골절, 횡선골절, 사선골절, 나선골절로 구분된다. 종적골절은 골절이 발생하여 갈라지거나 끊어진 면이 세로인 경우이고, 횡선골절은 가로인 경우이며, 사선골절은 비스듬한 경우이고, 나선골절은 연속성이 없이 일정하지 않은 경우이다.

골절의 형태에 따라 완전골절, 불완전골절, 압박골절, 매복/감입골절, 분쇄골절, 전위골절, 견열골절, 병리적 골절로 구분된다. 완전골절은 골막과 뼈가 모두 양쪽으로 분리된 경우이고, 불완전골절은 뼈의 한쪽 면만 파괴된 경우이며, 압박골절은 뼈가 세로축으로 가해지는 부담으로 인해 비틀리거나 부서진 경우이다. 매복/감입골절은 한 개의 골절편이 다른 골편에 박힌 경우이고, 분쇄골절은 골절부위에서 뼈가 여러 작은 조각으로 나뉜 경우이다. 전위골절은 완전 골절이면서 골절편이 골절선이나 관절 밖으로 분리된 경우이고, 견열골절은 인대와 연결되어 있는 골절편과 다른 골절편이 분리된 경우이다. 병리적 골절은 골다공증이나 골종양으로 인해 허약해진 뼈에 생긴 골절이다.


1.1.3. 증상

통증은 극심한 수준이며, 근육 경직과 연조직이나 근육 손상으로 인해 환자가 움직이거나 환부에 압력이 가해질 경우 더욱 심해진다. 정상 기능 상실과 비정상적인 움직임이 나타나며, 뼈의 모양이나 위치가 변형되어 각이 지거나 회전 및 단축이 생기기도 한다. 또한 부종이 발생하고, 감각 손실과 근육 경련이 나타날 수 있으며, 심한 출혈이나 연조직 손상이 동반되는 경우에는 쇼크 증상이 발생할 수 있다.


1.1.4. 진단

단순 방사선 검사(X-ray)는 골절 진단을 위한 가장 중요한 검사이다. 골절 형태를 정확히 알기 위해 여러 각도에서 촬영하여 손상 부위의 상하 관절을 포함한 동반 손상 여부를 확인해야 한다. 소아의 경우 정확한 진단을 위해 건측도 함께 촬영하여 비교 관찰한다.

X-Ray 골절 진단이 애매한 경우나 골절 형태를 명확히 파악하기 위해 컴퓨터 단층 촬영(CT)을 시행할 수 있다. 또한 골절과 동반된 연부 조직 손상을 확인할 수 있고 병적 골절이 의심될 때 동반 병소 관찰이 용이한 자기공명영상(MRI) 검사도 활용된다. 그 외로 골주사 검사, 혈액검사, 관절경검사, 혈관조영술, 신경전도나 근전도 검사를 하기도 한다.


1.2. 골절의 수술
1.2.1. 내부고정술(Internal fixation)
1.2.1.1. ORIF

ORIF(Open Reduction and Internal Fixation)은 관혈적(개방) 정복술 및 내고정술이다. 뼈가 부러졌을 때 피부와 근육 조직 등을 절개하여 골절 부위를 직접 노출시킨 후 정복하는 수술 방법이다. 정복 후에는 나사, 막대기, 철판, 못, 핀 등의 고정 기구를 이용하여 골절된 뼈를 고정한다.

ORIF는 다음과 같은 경우에 적용된다. 먼저, 석고 붕대나 부목만으로는 적절한 치유가 어려운 골절이다. 분쇄 골절과 같이 많은 조각으로 골절이 된 경우, 피부로 뼈가 보이는 개방 골절, 뼈의 선열이 맞지 않는 경우 등이 이에 해당한다. 또한, 이전에 비수술적 치료를 받았지만 회복이 되지 않은 경우나 관절이 탈구된 경우에도 ORIF를 시행한다.

ORIF 수술은 전신 마취 하에 진행된다. 먼저 피부와 근육 조직 등을 절개하여 골절 부위를 노출시킨다. 그리고 골절편의 정렬을 맞춘 후 나사, 막대기, 철판 등의 고정 기구를 이용하여 고정한다. 마지막으로 방사선 촬영을 통해 정복된 상태를 확인하고, 절개 부위를 봉합한다.

ORIF 수술 후에는 합병증 예방을 위해 신경 손상, 감염, 출혈, 정맥 혈전증, 뼈의 불유합 등을 주의 깊게 관찰해야 한다. 또한 마취로 인한 부작용도 관리해야 한다.

ORIF는 석고 붕대나 부목 등의 비수술적 치료로는 충분한 고정과 정복이 어려운 골절에 효과적인 치료 방법이다. 수술을 통해 정확한 정복과 단단한 고정을 할 수 있어 골절의 빠른 치유와 관절 운동 기능 회복에 도움을 준다.


1.2.1.2. CRIF

CRIF(Closed Reduction&Internal Fixation)['비관혈적(폐쇄) 정복술 및 내고정술' 또는 '폐쇄 정복술 및 내고정술']이다. CRIF는 수술적인 절차없이 피부나 점막을 절개하지 않아 뼈를 노출시키지 않고 C-arm을 사용해 밖에서 뼈를 맞춰 고정하는 방법이다. 정복 후 고정기구(보통 K-wire사용)를 이용하여 정복한 골절을 고정한다. CRIF는 폐쇄적 골절, 탈구나 아탈구 시 일시적으로 폐쇄정복을 하지만 반복되는 탈구 및 선천적 탈구 시 수술을 시행한다. ORIF와 마찬가지로 CRIF에서도 신경 손상, 감염, 출혈, 정맥혈전, 뼈의 불유합, 마취의 부작용 등의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CRIF의 경우에도 수술과 관련된 잠재적 위험요인에 대해 주의 깊게 관찰하고 신속하게 대응해야 한다.


1.2.2. 외부고정술(External fixation)

외부고정술(External fixation...


참고 자료

조경숙 외 9명, 『성인간호학(하)』, 현문사, 2013년, 334~355 쪽
김근순 외 9명, 『성인간호학 2』, 수문사, 2017년, 1051~1062쪽
병원간호사회, 『임상간호메뉴얼』, 현문사, 2009년, 1136~1184쪽
신성일 외 4명, 「관절경을 이용한 족관절 외과 골절의 비관혈적 정복술 및 내고정술」, 『대한족부족관절학회지』 12(1), 2009년, 74~79 쪽
아산병원, http://www.amc.seoul.kr/asan/healthinfo/management/managementSubmain.do
질병관리본부, https://health.cdc.go.kr/health/HealthInfoArea/HealthInfo/View.do?idx=2770
사진첨부, KANSAN EDTRIP, https://www.kansanmedtrip.com/ORIF-SURGERY.php
사진첨부, Research Gate, https://www.kansanmedtrip.com/ORIF-SURGERY.php
사진첨부, AO Foundation, https://www2.aofoundation.org/wps/portal/surgery
https://medicalterms.tistory.com/370
https://blog.naver.com/amarex/220897863923
대한안전교육협회 http://safetykorea.or.kr/archive/5010/34
질병분류 정보센터 KOICD http://www.koicd.kr/2016/main.do
성인간호학Ⅱ. 제 8판. 김금순 외. (2016). 수문사.
서울아산병원, 질환백과. http://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Submain.do
강남세브란스병원, 검사/치료정보. https://gs.iseverance.com/dept_clinic/treatment/
문은선, 이근배, 천승영. (1999). 요골 원위부 관절내 불안정 골절의 치료. 대한정형외과학회지, 34(5), 781-787.
베스트 정형외과, 건강정보 https://dgbestos.com/healthinfo/?idx=586421&bmode=view
한국제약바이오협회, 국내 의약품 항생제 분류체계
드러그인포. https://www.druginfo.co.kr/
약학정보원. http://www.health.kr/
KMLE 의학검색엔진. http://www.kmle.co.kr/
널스라이프, 간호실무, 응급약물. http://www.nurselife.or.kr/rnservice/topic_view.php?idx=95
강남세브란스 척추병원. https://gs.iseverance.com/spine/
김연희 외(2015). 쉽게 배우는 간호약리학. 군자.
근거기반 임상간호실무지침 통증간호(2018). 병원간호사회.
손성일. 뇌압상승에 대한 내과적 처치. 계명대학교 의과대학 신경과학교실, 뇌연구소.
삼성서울병원 심장뇌혈관병원. http://www.samsunghospital.com/home/hbv/main.do
삼성서울병원 뇌졸중센터. http://www.samsunghospital.com/dept/main/index.do?DP_CODE=PSC
삼성서울병원 건강정보. http://www.samsunghospital.com/home/healthInfo/main.do
삼성서울병원 뇌전증클리닉. http://samsunghospital.com/dept/main/index.do?DP_CODE=EPI
세브란스병원 뇌종양센터. http://www.severancebrainandpituitarytumor.org/braintumor/index.html
분당서울대학교병원 뇌종양센터. https://www.snubh.org/dh/dcd4
분당서울대학교병원 뇌혈관시술센터. https://www.snubh.org/dh/bcd4
서울대학교병원 파킨슨센터. http://www.snumdc.org/
서울대학교병원. https://www.snuh.org/main.do
서울아산병원. http://www.amc.seoul.kr/asan/main.do
서울아산병원 뇌전증클리닉. http://epilepsy.amc.seoul.kr/asan/depts/epilepsy/K/deptMain.do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