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운동손상"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운동손상의 개요
1.1. 운동손상의 정의 및 유형
1.2. 운동손상의 원인 및 발생 현황
2. 웨이트 트레이닝 운동 상해
2.1. 웨이트 트레이닝의 방법 및 특징
2.2. 웨이트 트레이닝으로 인한 상해 부위
2.3. 상지 및 어깨 관절의 주요 상해
3. 웨이트 트레이닝 상해 예방법
3.1. 준비운동 및 충분한 스트레칭
3.2. 점진적이고 균형 잡힌 운동 수행
3.3. 적절한 운동 강도와 휴식 시간 조절
3.4. 보호장비 착용 및 전문가 지도 받기
4. Theraband을 활용한 상지 재활
4.1. Theraband의 개념 및 특성
4.2. Theraband 운동의 효과 및 주의사항
4.3. Theraband을 활용한 어깨 및 상지 운동법
5. 결론 및 제언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운동손상의 개요
1.1. 운동손상의 정의 및 유형
운동손상은 운동을 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부상 및 손상을 의미한다. 운동손상에는 크게 내적 요인에 의한 외상과 외적 요인에 의한 외상으로 구분된다. 내적 요인에 의한 외상은 근수축력과 같은 내부 힘에 의해 발생하는 손상으로, 기술 부족이나 신체 요인이 주된 원인이 된다. 외적 요인에 의한 외상은 외부 물체나 타인과의 접촉으로 인해 발생하는 손상이다. 그러나 대부분의 경우 내적, 외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운동손상이 발생한다. 운동손상은 관절, 근육, 인대, 건 등의 다양한 부위에서 발생할 수 있으며, 상해의 정도에 따라 염좌, 골절, 탈구, 근육 손상 등으로 나타난다. 또한 운동 유형과 강도에 따라서도 상해 부위와 양상이 다르게 나타난다. 따라서 운동을 수행하는 개인의 신체적 특성과 운동 방법, 강도 등을 고려하여 운동손상을 예방할 수 있는 전략이 필요하다. []
1.2. 운동손상의 원인 및 발생 현황
일반적으로 운동손상은 내적인 요인과 외적인 요인에 의해 발생한다. 내적인 요인으로는 불충분한 기술, 신체장애 등이 있으며, 외적인 요인으로는 타인이나 외부 물체에 의한 것이 있다. 그러나 이 두 가지 요인은 명확하게 구분되기 어려우며, 운동 상해라는 포괄적인 개념으로 다루어진다.
운동 중 발생하는 상해의 대부분은 근육, 건, 인대와 같은 근골격계에 집중되며, 특히 어깨와 팔, 허리와 무릎 등의 관절 부위에서 많이 나타난다. 이는 운동 동작에서 이 부위들이 상대적으로 많은 스트레스를 받기 때문이다. 실제로 선행연구에 따르면 헬스클럽 이용자들의 웨이트 트레이닝 중 발생한 상해 부위 중 어깨가 17%, 허리가 12%, 손목이 9% 등으로 보고되었다.
이처럼 웨이트 트레이닝과 같은 근력 운동에서 관절 부위의 상해 발생 빈도가 높은 것은 근육의 수축 과정에서 관절에 가해지는 반복적인 스트레스 때문이다. 특히 어깨 관절은 해부학적 구조상 회전근개와 삼각근 등 많은 근육과 인대가 복잡하게 얽혀있어 상해 위험이 큰 편이다. 이러한 어깨 관절의 상해로는 어깨 충돌 증후군, 동결견 등이 대표적이다.
또한 과도한 운동 강도나 갑작스러운 운동량 증가, 잘못된 운동 자세 등도 운동 상해의 주요 원인이 된다. 운동을 즐기는 사람들 중에는 좋은 결과를 빨리 얻고자 하는 욕심으로 인해 자신의 능력 이상으로 무리하게 운동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러한 행동은 근육 손상이나 관절 부상으로 이어질 수 있다.
따라서 운동 상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개인의 체력 수준과 준비도를 고려하여 점진적이고 균형 잡힌 운동을 실시하고, 적절한 운동 강도와 휴식 시간을 조절하는 등의 노력이 필요하다. 또한 상해 위험이 높은 관절 부위를 보호할 수 있는 장비 착용과 전문가의 지도를 받는 것도 도움이 될 것이다.
2. 웨이트 트레이닝 운동 상해
2.1. 웨이트 트레이닝의 방법 및 특징
웨이트 트레이닝의 방법 및 특징이다. 웨이트 트레이닝은 과거에는 남자들만 하는 근육운동으로 여겨졌으나 현대 사회에서는 여성들도 많이 하게 되었다. 웨이트 트레이닝의 방법은 운동시간, 운동 빈도, 운동강도, 휴식 시간 등 운동 처방 요건에 있어서 초급자와 중급자에게 있어서 1주에 3일이 바람직하고 이러한 배경에 있어서는 운동과 운동 사이에서의 휴식 시간이 대략 48시간 정도 있어 피로한 근육이 완전히 회복되며 근육이 성장하고 발달함에 효과적이다.
골격근의 비대와 근력 향상을 위해서 운동의 강도는 최대 근력에서의 2/3 이상의 부하를 사용하게 되며 부하가 너무 무겁게 되면 부상을 입기가 쉽고 너무 가볍게 되면 근력의 ...
참고 자료
정성희,최윤경(2019). 재활간호학.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임순길(2009). 운동처방. 광림북하우스
강섬심,김문주,배정하,이승자,최정희,하명희(2001). 피부과학. 훈민사
김금순(2017). 성인간호학. 수문사
이혜옥(2017). 상처 관리. 포널스출판사
서영교,정민수,이진환,민동기,이재홍(2012). 복식호흡 운동이 초등학생의 요통에 미치는 영향. 대한고유수용성신경근촉진법학회 2012, vol.10, no.3
조수경(2017). 관절염 양대 산맥 퇴행성관절염 VS 류마티스관절염 어떻게 다를까?. 2017년 06월 건강다이제스트 푸름호
권이각(2001). 체질에 따른 운동처방에 대한 연구. 인천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삼광의료재단(2020). 류마티스 관절염. 삼광의료재단
대한정형외과학회(2011) 골관절염. 대한정형외과학회
충북대학교 u-헬스케어 홈페이지
백혜진. "헬스클럽 이용자들의 운동상해에 관한 연구." 국내석사학위논문 인제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경상남도
사단법인 대한스포츠의학회.스포츠닥터.운동선수들도 지키는 스포츠 손상 예방법이란?
https://www.sportsmed.or.kr/board/view.html?num=881&start=40&code=sportsdoctor&key=subject&keyword=%EC%9A%B4%EB%8F%99
오재근,오일영(1992).스포츠교실참여자의 스포츠손상에 관한연구
노장철(1995).여자 유도선수들의 운동 상해 원인 지각에 관한연구.
김철준,김덕환,허봉열(1995).일반인의 스포츠활동에서 발생한 스포츠손상에 대한 임상적 조사.대한스포츠의학회지6권제1호
김진원(1998).체력육성 동양문화사
김종수(1995).대한민국 하계올림픽경기대회선수들의 운동상해에 대한고찰.
이봉근(1997).헬스클럽 이용자의 웨이트 트레이닝 방법과 운동상해에 관한 실태조사.
국민체육진흥공단.한국스포츠과학원.근육통 및 근육상해
https://www.sports.re.kr/front/board/bs/boardView.do?board_seq=40&menu_seq=705&con_seq=650
『건강운동관리사』. 서원각(20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