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군조직에서 동료들과 의사소통 활성화 하기 위한 방안 및 사례"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군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필요성
3. 군 집단상담 프로그램 구성
3.1. 프로그램명
3.2. 프로그램 목적 및 기대효과
3.3. 세부 추진 계획
3.4. 회기별 프로그램 일정 및 내용
3.5. 상담사의 역할
3.6. 집단상담 평가
4. 병원 내 조정과 협력 활성화 방안
4.1. 조정과 협력을 촉진하는 요인
4.2. 조정과 협력을 방해하는 요인
4.3. 조정과 협력을 높이기 위한 개선전략
5. 결론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군인의 정신건강 문제는 스트레스, 강박장애, 공포증 불안, 대인관계 민감성, 체화, 우울증, 적대감, 정신병, 편집증, 자살, 살인사고 등이 상대적으로 큰 비중을 차지한다. 군은 장병들의 정신건강 문제로 인한 사고의 심각성을 인식하고 이를 위해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또한 군 특성에 맞게 개발된 심리검사 활용, 고충상담소 운영, 자살예방세미나, 분노조절 프로그램, 수업토론, 비전캠프, 그린캠프 등 부적응자 집단프로그램, 병영생활 전문 사례 등상담사를 통한 상담과 교육이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군부대에서의 사건사고는 끊이지 않고 있으며 병사들의 정신적 스트레스가 계속되고 있어 여러 프로그램들이 실제 효과가 있는지에 대한 의심을 사고 있다. 따라서 장병들의 정신건강 문제를 해결하고, 군 조직력과 군 전투력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정확한 군 상담이 매우 필요하다. 이에 본 레포트에서는 군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작성하고자 한다.
2. 군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필요성
군인의 정신건강 문제는 스트레스, 강박장애, 공포증 불안, 대인관계 민감성, 체화, 우울증, 적대감, 정신병, 편집증, 자살, 살인사고 등이 상대적으로 큰 비중을 차지한다. 군은 장병들의 정신건강 문제로 인한 사고의 심각성을 인식하고 이를 위해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그러나 군부대에서의 사건사고는 끊이지 않고 있으며 병사들의 정신적 스트레스가 계속되고 있어 여러 프로그램들이 실제 효과가 있는지에 대한 의심을 사고 있다. 때문에 장병들의 정신건강 문제를 해결하고, 군 조직력과 군 전투력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정확한 군 상담이 매우 필요하다. 따라서 본 보고서에서는 군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작성하고자 한다.
3. 군 집단상담 프로그램 구성
3.1. 프로그램명
'군대 내에서 발생하는 갈등과 고민 해결과 상대방을 존중하기 위한 집단상담'이다. 이 프로그램은 군대 내에서 발생하는 갈등 및 자아성찰 장병들의 우울하고 부정적인 생각과 표현되지 않은 감정, 특별한 상황에서 발생하는 갈등과 고민을 들여다보며 자긍심과 회복력을 높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구성원들이 서로를 존중하는 순서대로 대화를 통해 가정과 직장, 사회, 국가 영역에서 크고 작은 문제들을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3.2. 프로그램 목적 및 기대효과
군대 내에서 발생하는 갈등과 고민의 해결과 상대방을 존중하는 것이 이 프로그램의 목적이다. 장병들의 우울하고 부정적인 생각, 표현되지 않은 감정, 특별한 상황에서의 갈등과 고민을 들여다보며, 자긍심과 회복력을 높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집단상담을 통한 자기반성과 동료 군인들에게 모범을 보임으로써 자신과 동료군인들의 성장을 도모하는 것을 기대효과로 본다.
사람마다 얼굴이 다른 만큼 성격 및 생각이 다르기 때문에 서로의 인격을 인정하고 존중하며 대화를 통해 지혜를 모아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중요하다. 지휘관, 장교, 병사 등 군에서 함께 생활하는 전우들 사이에 신뢰를 쌓는 것이 중요하며, 강력한 전투력은 단결과 화합에서 나오는 것이지 강압적인 명령과 복종에서 오는 것이 아니다. 군인들이 존중받고 보살핌을 받을 때 자발적...
참고 자료
방상옥. (2022). 군 (軍) 집단상담 프로그램 효과에 관한 메타연구. 상담학연구, 23(3), 51-78.
권오열, & 고홍월. (2015). 군 상담의 개념적・ 조직적 체계 구축 방안 연구. 국방정책연구, 107, 237-270.
조주성, 최재광, 강요한, 유한별, & 송원영. (2020). 부적응 병사를 위한 인지행동치료 및 수용전념치료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검증. 융합정보논문지 (구 중소기업융합학회논문지), 10(11), 224-231.
정면숙 외, 알기쉽고 현장감 있는 간호관리학(2020), 현문사.
방경효 외, 다조직적 구조하에서의 핵심적 집행문제(1998), 한국행정학회.
이영주. "병원간호사의 간호사 및 의사와의 협력에 대한 인식과 의료 오류 경험, 직무 만족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 국내석사학위논문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6. 서울
고수형. "중환자실 간호사가 인식하는 동료협력이 간호업무 누락에 미치는 영향." 국내석사학위논문 아주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경기도
김가희 and 이병숙. (2018). 간호사-의사 협력에 대한 간호사 및 의사의 인식. 인문사회 21, 9(5), 909-924.
이병주, 김명언, 의사와 간호사 간 관계에서 나타나는 갈등의 유형, 원인 및 비대칭성, 한국심리학회지:산업 및 조직, 2012
간호사 vs 의사 이어지는 '설전'‥결국 '업무영역' 침범 논쟁,http://medipana.com/news/news_viewer.asp?NewsNum=238009&MainKind=A&NewsKind=5&vCount=12&vKind=1
[인터뷰]임초선 전문간호사협회장 "전문간호사제 활용해 PA문제 해결해야", 공감언론 뉴시스 https://newsis.com/view/?id=NISX20200922_0001175030&cID=10201&pID=10200
‘이대목동 신생아 사망’ 주사제 준비과정서 균 오염 일어난 탓, 연합뉴스https://www.yna.co.kr/view/AKR20180303039800004?input=1195m
sk하이닉스 -https://news.skhynix.co.kr/post/meeting-of-sk-hynix-and-agile
한국경제-https://www.hankyung.com/article/2005110767311
동아일보-https://www.donga.com/news/Economy/article/all/20241028/13030411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