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음식과 세계문화"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음식과 세계문화
2.1.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음식문화
2.2. 음식의 사회문화적 특성
2.3. 국내 TV 방송의 음식 프로그램 소개
2.4. 음식 프로그램에 대한 평가
3. 결론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우리나라는 먹는 것을 중요하게 여기는 사회문화적 배경을 가지고 있다. 한국 사람들의 가장 흔한 인사말이 '다음에 밥 한 번 먹자'이며, 음식에 관한 다양한 속담이 존재한다. 이는 음식문화를 중요시하는 우리 사회의 특징을 보여준다. 현대 한국 사회에서는 음식에 대한 수요와 공급이 증가하고 있는데, 이에는 '먹방'과 '쿡방' 등 음식 관련 콘텐츠의 증가가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다만 먹방 콘텐츠가 폭식을 유발할 수 있다는 부정적인 견해도 존재한다. 이에 대한 비판적 고찰이 필요한 실정이다. 이 보고서에서는 필자의 식습관과 대표적인 음식 소개 프로그램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우리나라의 음식 문화에 대해 종합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2. 음식과 세계문화
2.1.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음식문화
우리나라는 오랜 역사와 전통을 지닌 음식 문화를 가지고 있다. 한국 사람들은 음식을 매우 중요하게 여기며, 이는 일상적인 대화에서도 쉽게 찾아볼 수 있다. 대표적으로 '다음에 밥 한 번 먹자'라는 인사말이 있다. 또한 음식에 관한 속담도 다양하게 존재하는데, '금강산도 식후경', '굶기를 밥 먹듯 한다', '밥 먹을 때는 개도 안 건드린다', '먹다 죽은 귀신은 때깔도 곱다', '먹는 게 남는 장사다' 등의 속담은 우리나라의 음식 문화를 대변한다.
최근 음식 시장의 확대로 인해 다양한 나라와 문화권의 음식을 쉽게 접할 수 있게 되었다. 불과 몇 년 전까지만 해도 생소했던 베트남 음식, 태국 음식 등의 아시안 음식은 물론 할랄 음식, 비건 음식 등을 취급하는 음식점이 많아졌다. 이러한 변화는 '먹방'과 '쿡방' 등으로 불리는 음식 관련 콘텐츠의 증가에 힘입어 이루어졌다. 먹방 콘텐츠에서는 다양한 음식을 소개할 뿐만 아니라 유행을 선도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중국당면'이나 '분모자' 등의 음식이 먹방을 통해 인기를 끌며 대중화되었다. 하지만 먹방 콘텐츠가 폭식을 유발한다는 우려도 있다. 단순히 음식을 즐기는 것을 넘어 얼마나 많이 또 자극적으로 먹는지에 초점이 맞춰지면서 문제가 ...
참고 자료
지앙슈에진, 『인터넷 개인방송 먹방 시청이 실제생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2019)
국민건강보험공단, “비만, 올바른 문제 인식이 중요” 보도자료 (건강관리실,국민건강보험정책연구원,2018년11월22일 배포), 3p
관계부처 합동, “국가 비만관리 종합대책”, 보건복지부. 2018, 12p
보건복지부, “제4차 국민건강종합증진계획(2016-2020)”, 2016, 96p, 103p
김철원, 『세계의 음식, 음식의 세계』(2017),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pp. 3-45.
동지 팥죽 (冬至 팥粥)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59790
떡국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17198
수정과 (水正果)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316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