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지능 기대 인간의 고유성

  • 1
  • 2
  • 3
  • 4
  • 5
  • 6
>

상세정보

소개글

"인공지능 기대 인간의 고유성"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개요
1.2. 연구 목적
1.3. 연구 방법

2. 인공지능 예술의 개념
2.1. 인공지능과 예술창작
2.2. 인공지능 예술성의 비판적 검토

3. 교육의 개념
3.1. 교육본위론에 관한 이해

4. 교육에서의 인공지능 예술
4.1. 인공지능 예술의 교육적 가능성
4.2. 인공지능 예술의 교육적 한계

5. 결론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개요

오늘날 인공지능은 인간이 직면한 다양한 문제를 극복하는 데에 큰 도움을 주고 있다. 또한, 현재 우리는 그런 인공지능과 일상의 많은 부분에서 함께 살아가고 있다. 하지만, 이 인공지능의 급속한 발전은 윤리와 인권, 안보 등의 측면에서 예상치 못한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는 면에서 불확실성이 존재하는 기술이다. 다시 말해, 인공지능이 우리에게 정확하게 어떤 혜택과 어떤 위험성을 가져올지는 알 수 없다. 모두가 누려야 할 인공지능의 혜택이 특정 국가나 특정 계층에게만 돌아가는 일이 없도록 하고, 인공지능의 개발과 활용이 인간의 존엄성을 해치는 일이 없도록 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우리는 인공지능에 대해 지속적으로 탐색하고 그것에 대응하는 제도적인 방안들을 만들고 있다.


1.2. 연구 목적

인공지능 기술의 발전으로 인간의 고유 영역인 예술 분야에서도 새로운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최근 인공지능에 의한 예술 창작이 주목받고 있는데, 이러한 인공지능 예술은 과연 인간 고유의 창의성과 예술성을 지닌 것인지, 아니면 단순한 기계적 모방에 불과한 것인지에 대한 비판적 고찰이 필요하다. 더불어 교육 현장에서도 인공지능 예술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그 교육적 가능성과 한계를 검토해볼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는 교육본위론에 근거하여 교육 고유의 맥락에서 인공지능 예술을 조명해볼 필요가 있다. 인공지능이 예술 분야에서 인간을 대체하거나 혁신적 변화를 가져올지, 아니면 인간의 고유성을 침해하지 않고 보조적인 역할을 할지에 대한 논의가 필요한 시점이다. 이를 통해 미래 교육의 활용에 있어 인공지능 예술이 어떤 가능성과 한계를 지니고 있는지 고찰할 수 있을 것이다.


1.3. 연구 방법

본 연구의 연구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2장에서는 인공지능의 예술성 개념을 정리하였다. 인공지능 예술은 그 개념의 경계가 너무나 넓으며, 아직까지 개념에 대한 탐구가 미진하여 학술적 논의가 진전되기 어려운 상황이기에 기존의 인공지능 예술에 대한 논의를 정리하였다.

둘째, 3장에서는 교육의 개념을 정리하였다. 교육에 바탕이 되는 교육 이론을 살펴보고 교육의 의미를 논의하였다.

셋째, 4장에서는 2장과 3장의 논의를 종합하여 인공지능 예술의 교육적 가능성과 한계를 설명하였다.

이상과 같이 본 연구는 인공지능 예술과 교육의 관계를 성찰하고, 인공지능 예술 시대의 교육 패러다임 전환을 대비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2. 인공지능 예술의 개념
2.1. 인공지능과 예술창작

인공지능 예술 알고리즘은 인간이 하는 예술 활동의 메커니즘을 수학적으로 분석하여 하나의 예술모델을 만들고, 이를 기계적으로 재현해서 모방하는 정보처리 과정이다. 예술가의 창작과정이 소재를 자유...


참고 자료

고선영, 정한균, 김종인, 신용태(2021). 메타버스의 개념과 발전 방향. 정보처리학회지, 28(1), 7-16.
김영례(2021). 예술, 기술, 상상력에 대한 철학적 고찰 -인공지능의 예술성을 중심으로- . 범한철학, 102, 173-198.
김영진, 허지훈, 최승훈, 백성혜(2022). 교육공간으로서 메타버스에 관한 고찰. 융합교육연구, 8(1), 1-14.
김재인(2019). 「인공지능은 예술작품을 창작할 수 있을까?」. 인공지능시대의 예술. 도서출판b.
박치완(2010). 디지털시대에서 예술작품과 그 위상 -창조와 제작의 딜레마. 세계문학비교연구, 32(0), 311-339.
송명국(1996). 지각과 상상력 : 흄과 칸트를 중심으로. 철학논구, 24(0), 67-93.
송원철, 정동훈(2021). 메타버스 해석과 합리적 개념화. 정보화정책, 28(3), 3-22.
양미경(2020). 플랫폼 생태계의 특성과 교육학적 시사점 탐색. 교육원리연구, 25(2), 73-91.
여명숙(1998). 사이버스페이스의 존재론과 그 심리철학적 함축. 국내박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유원준(2018). 인공적 자율성에 기반한 예술 작품 연구- 사이버네틱스와 발생 예술을 중심으로 - . 문화와 융합, 40(20), 325-358.
유현주(2019). 아도르노의 기술개념에서 본 디지털 시대의 예술. 예술과 미디어. 18(2), 137-153.
이수진(2018). 인공지능 시대의 예술과 창의성-규칙과 변형 그리고 맥락화-. 프랑스학연구, 0(86), 319-339.
이슬기, 황정수(2021.10.29). "페이스북, 메타로 새 출발". 한국경제. https://www.hankyung.com/finance/article/202110293161i
임형택(2018). 디지털・인공지능・첨단로봇 그리고 인문예술-창의를 위한 새로운 여정에 하여-.인문과학, 0(68), 61-94.
장상호(1991). 교육학 탐구영역의 재개념화. 교육학연구, 91(2),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교육연구소.
장상호(1994). 또 하나의 교육관. 한국교육학의 맥. 나남출판.
장상호(2008). 학문과 교육[중Ⅲ]: 교육본위의 삶.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장상호(2020). 교육학의 재건. 교육과학사.
정소진(2019). 1960년대 미국에서 나타난 예술과 과학기술의 융합 프로그램 연구 : LACMA의 A&T와 벨 연구소의 E.A.T.를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홍익대학교 미술대학원.
조서현(2019), 딥 러닝을 활용한 인공지능의 예술표현 사례 연구. 조형디자인연구, 22(1), 193-211.
최성욱(2006). 교육공간의 의미와 조건. 교육원리연구, 11(2), 1-30.
한혜원(2008). 메타버스 내 가상세계의 유형 및 발전방향 연구. 디지털콘텐츠학회논문지, 9(2),
317-323.
홍병선(2009). 예술에서의 상상력, 그 철학적 토대 : 음악적 상상력을 중심으로. 철학논총, 57(3), 343-360.
홍성욱(2021). 포스트휴먼 테크놀로지. 인문학연구. 35(0), 3-35.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