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아동간호학 실습 사전학습
1.1. 약품투여
1.1.1. 투여용량(성인/소아)
성인 투여용량은 1회 0.5~3g을 1일 3~4회 투여하는 것이다. 소아 투여용량은 1일 체중 kg당 60~150mg을 3~4회 분할 투여하는 것이다. 투여경로는 IV이며, 투여기간은 2024년 1월 9일부터 11일까지이다.
1.1.2. 부작용 및 주의사항
이 약에 의하여 쇽의 병력이 있는 환자와 이 약 성분 또는 페니실린계 항생물질에 과민반응의 병력이 있는 환자에게는 주의가 필요하다. 또한 동반감염 바이러스 질환 특히 전염성단핵구증 및 림프성백혈병 환자의 경우에도 주의해야 한다. 소화불량, 구토, 구강건조, 복부팽만감, 피부발진, 급성 아나필락시스 반응, 두드러기, 홍반, 가려움, 호흡곤란, 오한 등의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다. 이 약 또는 이 약의 구성성분에 과민반응이 있는 환자에게는 사용을 삼가야 한다. 청력소실, 난청, 구역, 구토, 설사, 복부팽만감, 간기능 이상, 발진, 맥관부종 등의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이 약 및 에리스로마이신, 다른 마크로라이드계 또는 케톨라이드계 항생제에 과민반응이 있는 환자에게는 사용을 피해야 한다. 또한 이 약에 백당이 포함되어 있어 과당 불내성, 포도당-갈락토오스 흡수장애 분해효소 결핍이 있는 환자에게도 주의가 필요하다. 쇽, 가슴쓰림, 오한, 호흡곤란, 혈압저하, 빈혈, 소화성궤양, 식욕부진, 구토, 소화불량, 구내염, 황달, 어지러움 등의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위장관 궤양 또는 병력이 있는 환자, 심한 혈액이상 환자, 심한 간장애 환자, 심한 신장장애 환자, 심한 심장기능부전 환자, 심한 고혈압 환자, 이 약의 성분에 과민증이 있는 환자에게는 사용을 주의해야 한다.
1.2. 환아 및 가족교육
약품명과 약에 대한 설명을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 약품의 제형, 용법, 용량, 투여경로, 투여기간 등을 상세히 안내한다. 또한 환자에게 특별한 지시사항이 있다면 전달한다. 복용 중 주의해야 할 사항, 일반적 또는 중증부작용과 발현 시 대처방법, 약물상호작용과 금기사항 등을 충분히 설명한다.
약물의 효과를 스스로 모니터할 수 있는 방법을 안내한다. 약물의 적절한 보관요령, 복용을 잊었을 때의 대처방법, 재투약 정보 등을 제공한다. 이를 통해 환아와 보호자가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약물을 복용할 수 있도록 돕는다.
예를 들어, 보호자가 "점심 2시쯤에 약을 먹였는데 지금 6시인데 저녁약을 먹여도 되나요?"라고 문의하면, 간호사는 "어머니, 이 약은 아침, 점심, 저녁으로 식후에 3번 먹는 걸로 2시쯤 먹었으면 6시 간이 지난 후 저녁 8시에 먹이는 게 좋을 것 같아요. 되도록 약 시간을 맞춰서 먹여주셔야 해요."라고 설명한다.
또한 보호자가 "선생님 네뷸라이저 다 쓴 거 같은데 그 다음은 어떻게 해야 하나요?"라고 문의하면, 간호사는 "다 쓰셨으면 물로 헹궈주신 다음에 말려주시면 돼요. 저녁에 한번 더 해야 하니깐 여기 탁자위에 놓고 갈게요."라고 안내한다. 이처럼 상황에 맞는 구체적인 교육과 설명을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
1.3. 아동간호 기본기술
1.3.1. 신체계측
신체계측은 아동의 성장과 발달을 확인하는 데 중요한 과정이다. 키, 체중, 두위 등의 신체 계측은 정상적인 성장 발달 여부를 판단하는 지표가 된다.
키 측정 시 2세 미만의 영유아는 누운 자세로 키를 측정하고, 2세 이상의 아동은 선 자세로 키를 측정한다. 키 측정 시 아동의 건강한 골격 발달을 확인할 수 있다.
체중 측정 시 영아는 체중계에 옷을 벗긴 상태로 눕히고, 큰 아동은 속옷을 제외한 모든 옷을 벗은 상태로 측정한다. 아동의 체중은 성장과 영양 상태를 반영하는 지표가 된다.
두위 측정은 출생부터 36개월까지의 모든 아동에게 실시한다. 안와상연과 후두부의 가장 튀어나온 부분을 측정하며, 평균 33~35cm의 범위를 나타낸다. 두위는 비정상적인 발달 속도를 반영하고 영양 상태에 대한 지표가 되며, 종양 성장이나 뇌수종과 같은 뇌척수액의 비정상적 축적을 나타낼 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