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주자학 소개
1.1. 주자의 생애와 사상 배경
주희(朱熹, 1130년 10월 18일 ~ 1200년 4월 23일)는 중국 남송의 유학자이다. 자(字)는 원회(元晦), 중회(仲晦)이며, 호는 회암(晦庵), 회옹(晦翁), 운곡노인(雲谷老人), 창주병수(滄洲病?), 둔옹(遯翁) 등 여러 가지가 있다. 시호(諡號)는 문(文), 휘국공(徽國公)이다. 송나라 복건성 우계(尤溪)에서 출생했으며 19세에 진사가 된 후 여러 관직을 지내면서 공자, 맹자 등의 학문에 전념하였다. 또한 주돈이, 정호, 정이 등의 유학 사상을 이어받았다. 유학을 집대성하였으며 오경의 참뜻을 밝히고 성리학(주자학)을 창시하여 완성시켰다. 남송의 주희(朱熹)에 의해 성리학의 집대성이 이루어졌기 때문에 성리학을 주자학(朱子學)이라 부르기도 한다.
유학은 중국 사상의 주류를 이루는 것으로, 그것이 성립되던 상대에는 종교나 철학 등으로 분리되지 않은 단순한 도덕사상이었으며, 그 대표적 인물에 공자와 맹자가 있다. 공자는 춘추시대의 어지러운 사회를 바로잡으려고 천하를 주유하면서 인과 예를 실천하였으나 뜻대로 되지 않아 고향에 돌아와 육경을 제자에게 가르치며 도리를 후세에 전하였다. 선진시대에 이르러 유학은 도덕 실천의 학으로서 크게 일어났으나, 시황제의 분서갱유로 큰 시련을 겪은 다음 한, 당대에는 경전을 수집, 정리하고, 그 자구에 대한 주와 해석을 주로 하는 소위 훈고학을 이루었다. 그러나 송, 명시대에 이르러 유학은 정치적 또는 종교적 사회체제의 변화에 따라 노불사상을 가미하면서 이론적으로 심화되고 철학적인 체제를 갖추게 되면서 천리(天理), 성즉리(性卽理) 등의 여러 학설이 나왔다. 이것을 주희가 집성, 정리하여 철학의 세계를 세운 것이 성리학으로 일명 주자학이라고 한다.
1.2. 성리학의 등장과 발전
유학은 중국 사상의 주류를 이루고 있었으며, 공자와 맹자가 대표적인 인물이다. 공자는 춘추시대의 어지러운 사회를 바로잡고자 노력하였으나 뜻대로 되지 않아 고향으로 돌아와 제자들에게 육경을 가르치며 도리를 후세에 전하였다. 선진시대에 이르러 유학은 도덕 실천의 학문으로 크게 발전하였으나, 시황제의 분서갱유로 큰 시련을 겪었다. 이후 한, 당대에는 경전을 수집, 정리하고 자구에 대한 해석을 중심으로 하는 훈고학이 발전하였다.
그러나 송, 명대에 이르러 유학은 정치적, 종교적 사회체제의 변화에 따라 노불사상을 가미하면서 이론적으로 심화되고 철학적 체계를 갖추게 되었다. 천리, 성즉이 등의 여러 학설이 나왔고, 이를 주희가 집성, 정리하여 철학의 세계를 세운 것이 성리학이자 주자학이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성리학이 등장하게 되었다. 성리학은 이기론, 도덕론, 수양론 등의 체계적인 사상을 이루었다.
성리학의 주요 사상가인 주희는 정이천의 이기이원론을 더욱 상세하고 엄밀하게 체계화하였다. 형이상학적, 형이하학적 논리 구별을 분명히 하였고, 만물의 존재가 이와 기의 두 요소로 이루어졌음을 설명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인간의 본성을 연구하였다. 이에 따르면 이는 모든 사물들에서 사물의 존재원인과 존재형식, 그리고 존재목적이 된다. 이는 선할 뿐만 아니라 완전하기도 하므로 인의예지로 표현된다. 이는 생명체에서 가장 완전하게 발현되는데, 이는 곧 생명체가 온전히 기능할 수 있도록 각 부위가 협력하는 상태를 의미한다. 주희는 이러한 생명체의 이를 우주와 국가에까지 확대하였다.
또한 주희는 도덕론에서 성즉리를 주장하였다. 즉 사람의 성은 이이고 지선한 것이며 본연의 것이라고 보았다. 심은 이가 있는 곳, 이가 작용하는 장소이며 심의 발동은 이에 의해 있게 된다고 하였다. 수양론에서는 격물치지와 궁리진성을 핵심으로 제시하였다. 사사물물의 이를 궁구하는 것은 결국 나를 궁구하는 것이며 나를 다하는 것이라고 보았다.
이처럼 성리학은 중국 전통 사상을 계승, 발전시켜 이론적 체계를 갖추었으며, 이후 동아시아 문화권에 큰 영향을 미쳤다. 주희에 의해 성리학이 집대성되면서 주자학으로 알려지게 되었다.
1.3. 성리학의 핵심 개념
성리학에서는 우주와 인간을 하나의 유기체적 존재로 파악하며, 이를 바탕으로 인간의 본성과 도덕에 대한 철학적 체계를 수립하였다.
첫째, 이기론(理氣論)과 이기이원론이다. 주자는 정이천의 2원론을 계승하여 형이상학적 논리를 더욱 상세하고 엄밀하게 체계화하였다. 만물의 존재는 이(理)와 기(氣)라는 두 요소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는 각각 형이상적 측면과 형이하적 측면을 나타낸다. 이(理)는 모든 사물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