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시니어크럽활동"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시니어크럽활동
1.1. 문화와 교육의 관계
1.2. 황금만능주의 미디어 문화의 영향
1.3. 의대 준비반의 확산
1.4. 기초과학 분야에 미치는 부작용
2. 노후준비 교육과 신노년 문화
2.1. 고령화 사회와 노후 준비의 필요성
2.2. 노후준비 교육 프로그램
2.3. 신노년 문화의 형성과 특징
2.4. 신빈곤층과의 격차
3. 간호 창업 분야와 전망
3.1. 국내 간호 창업 분야
3.2. 국외 간호 창업 분야
3.3. 임산부, 아동 관련 창업 분야 전망
3.4. 노인복지, 의료관광 창업 분야 전망
3.5. 기타 간호 창업 분야 전망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시니어크럽활동
1.1. 문화와 교육의 관계
문화란 인간이 자연을 변화시켜온 물질적·정신적 과정의 산물이다. 문화는 정치, 경제, 예술, 교육 등 다양한 분과로 세분화될 수 있으며, 각 영역의 프레임을 통해 삶을 바라볼 수 있다. 즉, 문화는 삶을 해석·실천하는 준거의 틀로써 작용한다.
교육 또한 문화의 영향을 받는다. 황금만능주의 문화가 만연하면서 돈을 많이 벌 수 있는 의사 직업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 이에 따라 초등학생부터 의대 준비반이 생겨나고, 순수이공계 교육에 부작용이 발생하고 있다. 미디어는 이러한 황금만능주의 문화를 강화시켜 왔다. 프로그램에서 스타의 수입, 화려한 생활상이 끊임없이 노출되며, 부를 추구하는 태도가 일반화되었다.
반면에 문화는 교육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고령화 사회로의 진입이 가속화되면서 노후 준비의 필요성이 증대되었고, 이에 따라 다양한 노후 준비 교육 프로그램이 운영되고 있다. 이러한 교육은 신노년 문화를 형성하는 데 기여했다. 신노년층은 건강 관리와 사회 참여 활동을 통해 활동적인 노년 생활을 누리는 특징을 보인다.
즉, 문화는 교육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며, 교육 또한 문화에 변화를 가져올 수 있다. 따라서 우리는 문화와 교육의 상호작용을 이해하고, 바람직한 문화와 교육을 만들어나가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1.2. 황금만능주의 미디어 문화의 영향
자본주의의 발전은 부와 돈이 돈을 부르는 현상을 만들었다. IMF 이후 우리나라에서도 이러한 부의 격차가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2000년대 들어서면서 '부자 되세요'라는 광고 문구가 유행하고, 부와 가난한 사람을 구분 짓는 사회 분위기가 형성되었다. K-pop의 전 세계적 성공과 팬데믹으로 인한 주택가격 상승으로 사람들은 부자가 되고자 하는 열망에 사로잡혔다.
이러한 현상을 가속화한 것은 미디어의 역할이었다. 미디어에서는 스타들의 수입과 화려한 삶이 경쟁하듯 방영되었고, 일반인의 생활에서도 거주지, 직업, 수입 등이 주요 화제가 되었다. 소셜미디어의 활성화로 누군가의 부를 전시하고 추종하는 문화가 생겨났다. 이에 '돈 많이 버는 직업'을 준비하는 교육프로그램들이 등장하면서, 초등학교에서부터 의대 준비를 하는 아이들이 늘어나게 되었다.
이는 순수이공계 교육에도 부작용을 미치고 있다. 정부의 기초과학 발달 정책에도 불구하고 영재학교 학생들이 의대로 진로를 변경하는 현상이 발생하고 있다. 정부에서는 장학금 환수 조치를 내리고 있지만 상황은 나아지지 않고 있다. 오히려 이공계 학생의 의대 전공 변경이 계속 증가하여, 매년 환수 대상자도 꾸준히 늘고 있다. 결과적으로 순수 자연계열 학과의 정원 감소로 이어지고 있다.
미디어가 퍼뜨리는 황금만능주의는 예능프로에서 웃음거리로 소비되지만, 실제로는 우리의 가치관을 잠식하고 있다. 돈을 잘 버는 의사가 훌륭한 과학자보다 더 존경받고 부러움을 사는 시대가 되었다. 이는 장기적으로 우리나라 과학 교육과 산업 발전에 심각한 문제를 초래할 수 있다. 또한 돈을 쫓아 의대에 진학한 학생들이 진정한 의사 정신을 실천할지 우려된다.
1.3. 의대 준비반의 확산
돈을 향한 인간의 열망이 자연스러운 것이라 치더라도, 그러한 사회현상을 가속했던 것은 미디어의 역할이었다. 미디어 세상 속에서의 '부(富)'는 다른 어떤 것보다도 앞서는 최고의 가치로 소비되고 있는 모습이다. 많은 프로그램에서 스타의 수입, 화려한 집, 명품, 럭셔리한 생활 스타일이 경쟁 하듯 방영되었다. 이에 '돈을 많이 버는 직업'을 준비하는 교육프로그램들이 등장하기 시작한다. 사교육의 중심지 대치동뿐 아니라 지방 시골 마을까지 초등학생 의대 준비반이 신설되었다. 한국의 의사 연봉은 물가수준 대비 OECD 국가 중 가장 높고 우리나라 비수도권 의사 연봉은 4억원에 육박한다. 이에 많은 아이들이 일찍이 진로를 의사로 결정하고, 온 학창 시간을 의대 진학에 매진한다. 의대 준비반에서는 유치원생이 수학의 정석을 푸는 것이 일상이 되었고 초등학생이 고등학교 물리 문제를 푸는 것이 당연한 일이 되었다. 이렇듯 치솟는 의대의 인기는 순수이공계 교육에도 영향을 끼치게 된다. 지난 10년 동안 전체 순수이공계 정원수가 16% 이상 감소하였는데, 이는 이공계 장학금 수혜자가 의대로 진로를 변경하는 사례가 증가한 결과이다. 미디어가 퍼뜨리는 황금만능주의는 많은 예능프로에서 웃음으로 포...
참고 자료
네이버 지식백과. 문화,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554876&cid=46634&categoryId=46634 (검색일: 2023. 11.01.).
다음 한국어사전. 문화,
https://dic.daum.net/word/view.do?wordid=kkw000094795&supid=kku000117919 (검색일: 2023. 11.01.).
윤여각, 권효숙, 배은주, 서근원, 서덕희, 신혜숙, 전은희, 조용환, 최영신(2021). 문화와 교육.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조선일보. ‘초등 의대반 선발고사 진행’ 지방 시골학원까지 광풍,
https://www.chosun.com/national/weekend/2023/06/17/5P6FOUMFSZESXJOG7GLR6H5VAQ/ (검색일: 2023. 11.01.).
한겨례. 한국 의사 월급 OECD최고...임금노동자 평균의 4-7배
https://n.news.naver.com/mnews/ranking/article/028/0002650276?ntype=RANKING (검색일: 2023. 11.01.).
글로벌이코노믹. 의사연봉 비수도권이 수도권 앞질렀다,
https://www.g-enews.com/ko-kr/news/article/news_all/20231025100950286a6e8311f64_1/article.html (검색일: 2023. 11.01.).
매일경제. 영재고학생, 의대·약대 진학 막는다,
https://www.mk.co.kr/news/society/9852233 (검색일: 2023. 11.01.).
금융소비자뉴스. 이공계 장학금 받고도 의대 진학해 ‘먹튀’,
https://www.newsfc.co.kr/news/articleView.html?idxno=60727 (검색일: 2023. 11.01.).
VERITAS. 고사의 기로에 선 순수/기초학문
https://www.veritas-a.com/news/articleView.html?idxno=476969 (검색일: 2023. 11.01.).
여성경제신문. 인구 950만명 고령층...2년 뒤 초고령화 사회 진입 ‘확실’,
https://www.womaneconomy.co.kr/news/articleView.html?idxno=218903 (검색일: 2023. 11.02.).
네이버 지식백과. 초고령 사회,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65936&cid=43667&categoryId=43667 (검색일: 2023. 11.02.).
다음 백과. 고령화, https://100.daum.net/encyclopedia/view/24XXXXX65278 (검색일: 2023. 11.02.).
서울시 50플러스포털. https://50plus.or.kr/# (검색일: 2023. 11.02.).
유선종, 최희정 (2023), 초고령사회 뉴노멀시리즈1: 신노년의 삶, 웰에이징 트렌드. 박영사
다음 백과. 액티브 시니어, https://100.daum.net/encyclopedia/view/47XXXXXd1208 (검색일: 2023. 11.02.).
ECONOMYChosun.2050 한국 사회 주류는... 신노년 vs 신빈곤층
https://economychosun.com/site/data/html_dir/2021/09/12/2021091200040.html (검색일: 2023. 11.02.).
중소벤처기업부「창업기업 동향」. (2022-02-28). mss.go.kr.
정면숙 외 공저. (2022). 간호학개론 제4판. 서울:현문사.
한국보건산업진흥원. (2015-03-20). 헬스케어 산업의 창업 동향과 활성화 방안. 보건산업브리프 Vol.169.
임지영, 김주행, 김슬기. (2018). 간호창업에 대한 리터리시 고찰. J Korean Acad Soc Home Care Nurs Vol.25 No.2, 127-138.
Pat Walls. (2022). 38 Nurse Entrepreneur Ideas In 2022 [Nursing Business Ideas]. Starter Story. https://www.starterstory.com/nurse-business-ideas.
Sally Lauckner. (2020). 15 Business Ideas for Nurse Entrepreneurs. nerdwallet.
https://www.nerdwallet.com/article/small-business/business-ideas-for-nurs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