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헬스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의사소통과 헬스커뮤니케이션
1.1. 의사소통의 정의와 형태
1.2. 의료 조직에서의 의사소통
1.2.1. 대중과 의료 조직의 의사소통
1.2.2. 환자와 의료인의 의사소통
1.2.3. 의료인과 의료인의 의사소통
1.3. 의사소통의 중요성
1.4. 의사소통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1.4.1. 비언어적 표현
1.4.2. 공감
1.4.3. 상황적 요소
1.4.4. 의료 조직의 권위적인 사고방식
1.5. 효과적인 의사소통을 위한 이해와 방법
2. 건강신념모델
2.1. 건강신념모델의 개념
2.2. 건강신념모델의 모형
2.3. 신종인플루엔자 캠페인에의 적용
2.4. 건강신념모델의 효과
2.5. 건강신념모델의 비판과 발전방향
3. 보건의사소통
3.1. 보건의사소통의 정의
3.2. 의사소통 구성요소
3.3. 보건의사소통 과정
3.4. 공포소구의 특징
3.5. 환자-의료공급자 간 의사소통의 변화
3.6. 신종전염병 예방 캠페인 전략
3.7. 공중보건 감시체계
3.8. 헬스리터러시와 건강 영향
3.9. 위기 상황 리스크 커뮤니케이션 전략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의사소통과 헬스커뮤니케이션
1.1. 의사소통의 정의와 형태
의사소통은 개인이 환경과 독특한 관계를 맺으며 관계를 행동으로 전환시키는 "상호작용"이다.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의사소통의 형태는 크게 언어적 의사소통과 비언어적 의사소통으로 나뉜다.
언어적 의사소통은 언어라는 상징들로 구성된 의사소통이며, 비언어적 의사소통은 언어를 사용하지 않고 메시지를 전달하는 것으로 표정, 음성, 눈 맞춤, 몸짓, 자세 등이 포함된다. 이러한 의사소통의 형태는 의료 조직에서도 예외 없이 존재한다""
1.2. 의료 조직에서의 의사소통
1.2.1. 대중과 의료 조직의 의사소통
의료 조직을 대표하는 자와 불특정 다수의 대중이 비 대면적으로 의사소통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의사소통의 형태는 한 방향으로 이루어지며 대중은 한 방향의 소통을 통해 건강 정보를 획득한다"". 대중 의료 담화에는 의학 주제에 관한 기사, 대중적 과학 잡지에 나오는 의사와의 인터뷰, 광범위한 청중을 대상으로 하며 건강에 관한 라디오 또는 TV 프로그램이 포함된다"". 그 외, 의료 조직을 알리는 기능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이번 코로나를 통해 많은 의료진이 힘쓰고 있음을 미디어를 통해 알려 대중들이 의료인 감사 캠페인을 진행했다"". 이처럼 대중과의 의료 의사소통은 포용의 범위가 넓다"". 또한, 엄격한 의학적 성향을 갖고 있지 않다"". 따라서 접근 가능한 언어로 건강에 관한 문제를 설명하는 형태를 지니고 있다"". 의사인 프로그램 진행자가 건강에 관한 대중적 이야기와 우리 몸에서 일어나는 다양한 과정에 관해 이야기하며 건강에 대해 전달한다"". 즉, 대중과 의료 조직을 대표하는 사람(대체로 의사 및 최근, 감염관리사)의 의사소통 목표는 의료 서비스를 받기 전, 일반 사람을 교육하거나 의료 서비스나 새로운 의료 방법을 알리고 질병을 예방하며 건강한 생활 습관을 조성하는 것이 의사소통의 목표이다"".
1.2.2. 환자와 의료인의 의사소통
환자와 의료인의 의사소통은 크게 두 가지 형태로 나눌 수 있다. 첫째, 의사소통이 가능한 환자와의 의사소통이다. 이들은 의료진과 호의적인 의사소통을 통해 '정상적인 라포'를 형성하기도 한다. 그러나 환자 중에는 의료인을 비난하거나 반대로 의료인이 '역전이'가 되어 효과적인 의사소통을 하지 못하는 경우도 있다. 둘째, 의사소통이 어려운 환자와의 의사소통이다. 이들은 기관삽관을 하고 있는 중환자실 환자와 같이 말을 할 수 없는 경우로, 의료인은 비언어적 의사소통을 통해 대화하는 형태를 갖춘다. 이처럼 하나의 의료 조직에서 다양한 의사소통의 형태를 볼 수 있으며, 대상자의 상태에 따라 간호사의 전문성에 따라 의사소통의 형태가 달라진다. 또한 의료 조직이라는 특수한 상황이 만들어내는 의사소통의 원리들이 통용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환자와 의료인의 의사소통 형태는 환자의 안전과 양질의 의료를 제공하기 위해 매우 중요한 것이다.
1.2.3. 의료인과 의료인의 의사소통
의료인과 의료인의 의사소통은 환자의 안전과 양질의 의료를 제공하기 위해 의료인들이 개방된 분위기에서 자신의 생각을 표현할 수 있으며 정확한 정보를 적시에 전달하고, 직종 간 상호 목표와 계획을 이해하며, 근무 조 간 효율적으로 의사소통을 하는 것이다"
특히 24시간 환자를 돌보고 있는 간호사는 의사뿐만 아니라 간호사 간의 빈번한 의사소통을 통해 협업하며 간호를 제공하고 있다. 간호사 간의 의사소통 특성은 주로 인수인계 상황과 신규 간호사와 프리셉터 간호사 간의 대화에서 잘 드러난다. 인수인계는 간호사 간 가장 많은 업무적 대화가 이루어지는 시간이며, 신규 간호사와 프리셉터 간호사 간의 대화는 간호 중재 방안에 대한 정보가 교환되고 집중, 평가 및 교정이 의사소통을 통해 이루어진다. 이러한 의사소통은 간호사들이 업무의 어려움과 스트레스를 해소하는 시간이 되기도 하며 유기적인 관계가 형성되는 기회가 된다.
간호사-간호사 간의 의사소통과 간호사-의사 혹은 다른 의료인과의 의사소통의 형태는 주로 ISBARR의 형태이다. ISBARR은 의료 종사자의 바쁜 상황 속에서 효과적이고 즉각적인 의사소통을 위해 고안된 기술로 I는 Identification, S는 Situation, B는 Back-ground, A는 Assessment, R은 Recommendation, 마지막 R은 Read back으로 구성된다. 이는 바쁜 의료 환경 속에서 짧고 시간에 중요한 정보가 효과적으로 전달되기 위해 짧고 구조화되며 예측 가능한 형식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통해 환자의 안전을 지키고 업무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한다.
이처럼 의료인 간 의사소통은 환자 안전과 양질의 의료 제공을 위해 매우 중요하며, 간호사를 중심으로 다양한 형태와 구조화된 의사소통 방식이 활용되고 있다.
1.3. 의사소통의 중요성
임상 현장은 환자 생명과 관련된 정보를 다루는 만큼 의료인들 사이에 부정확한 정보가 전달되거나 적시에 필요한 정보가 제공되지 않는다면 환자 안전을 위협할 수 있다." 실제로 환자 적신호 사건의 약 60%가 의료인들 간 의사소통의 실패로 인해 발생한다." 간호사와 의사 간 의사소통이 좋은 곳에서는 환자 사망률과 투약 오류율이 낮다." 따라서 환자의 안전을 위해서 의사소통의 중요성은 병원 기업으로서도 잘 알고 있는 점이다." 환자 치료라는 공익적 목적과 이익 창출이라는 의료 기관의 경영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의료 기관 조직 구성원들 사이에 유기적인 협력이 이루어져야 하며, 이러한 유기적 협력은 그들 사이에서 이루어지는 커뮤니케이션이 얼마나 원활하고 효율적인가에 달려 있다." 따라서 간호사와 다른 의료인에게 의사소통 교육을 시행하고 있다." 또한, 의료 기관 인력의 원활한 커뮤니케이션을 통한 직무 만족도의 상승은 의료 소비자에 대한 전인 치료라는 목표를 달성하는 데 중요하며, 결국 진료의 질 향상으로 이어질 수 있기에 중요하다." 마지막으로 의사소통을 통해 어떠한 내용을 의도 그대로 전달하느냐에 따라 불특정 다수 또는 환자의 움직임이 손바닥 뒤집듯이 바뀔 수 있다." 따라서, 매우 신중한 자리이다." 병원에서도 환자와 의료진과 의사소통이 환자의 상태에 영향을 미치기에 중요하며 위에서 말한 대중과의 의사소통에서도 대중에게 의학적 지식을 전달하는 것도 다수의 건강에 영향을 미치기에 중요하다." 그러므로 의료인은 의사소통의 무게에 책임을 져야 하는 중요성을 가진다."
1.4. 의사소통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1.4.1. 비언어적 표현
비언어적 표현은 언어를 사용하지 않고 메시지를 전달하는 것으로, 표정, 음성, 눈 맞춤, 몸짓, 자세 등이 포함된다. 말하는 상황을 잘 표현하기 위해 어울리는 몸짓이나 표정, 자세 등을 적절히 조절하며 의사소통한다. 비언어적 표현을 통해 의사소통을 풍부하게 할 수 있으며 정확한 정보를...
참고 자료
김 울리아나, 대중 의료 담화의 의사소통 전략 및 전술,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제27차 국제학술대회, (2019) p.193-195
조용애 외 3명, 간호사의 의료인 간 의사소통에 대한 조사연구, 임상간호연구 제 19권 제1호, (2013), P. 20-32
이혜용 외 7명, 의료 조직 구성원들은 서로 어떻게 의사소통하는가, 사회언어학 제24권 1호, (2018) p.213-239
박영수, 간호사의 의사소통 프로그램에 대한 국내 연구동향, 의료커뮤니케이션 제 17권 제 1호, (2022) p.25-30
박일환 외 1명, 비협조적인 환자, 가족과의 의사소통, 대한의료커뮤니케이션 제 16권 제 1호, (2021) p. 1-6
건강신념이 건강정보처리과정과 건강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이윤재, 2013.
상황이론의 적용을 통한 온라인 건강정보 이용자의 커뮤니케이션 행동 특성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 원정윤, 2012.
소셜미디어 헬스커뮤니케이션 캠페인 효과모델에 관한 연구, 서강대학교, 유선욱, 2012.
자궁경부암 예방 캠페인 인식이 질병 지각과 예방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 건강신념모델 적용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고경민, 2012.
효과적인 자궁경부암 예방행위 캠페인을 위한 수용자 연구, 한국광고홍보학회, 조수영, 2011.
국내 헬스 저널리즘의 현황과 품질제고 방안 연구, 한국언론진흥재단, 오대영 외, 2015.
보건교육학, 수문사, 신유선 외, 2010.
헬스 커뮤니케이션, 커뮤니케이션북스, 정의철, 2014.
헬스 커뮤니케이션, 커뮤니케이션북스, 테레사 톰슨 외, 2010.
헬스 커뮤니케이션의 역사, 정의, 과제, 헬스커뮤니케이션 연구 제1호, 한국헬스커뮤니케이션학회, 2009.
헬스 커뮤니케이션 이론과 전략, 한울, 노바 코코란, 2009.
헬스 커뮤니케이션 캠페인 이론과 실제, 소화, 박동진 외, 2010.
지역사회건강조사:시군구별 연간 인플루엔자 예방접종률, 통계청, 2014.
건강정보인터넷 매체 현황 (70p)
건강 매체 유형별 헬스 기자 현황 (85p)
TV 건강 프로그램의 주제 (134p)
매체별 건강 정보 이용 정도 (172p)
이진숙. "보건간호사의 의사소통능력, 조직몰입, 업무성과 간의 관계", 한국교통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5),
강민아. "지식정보사회의 보건의료 거버넌스" 21세기 한국 메가트렌드 시리즈 VOL.2005 NO. (2005):1-102
이상록. "e헬스 리터러시 척도 개발 연구", 한양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