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BOD에 적용되는 미적분"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BOD(생화학적 산소요구량)의 개요
2.1. BOD의 정의 및 중요성
2.2. BOD 측정의 원리
2.3. BOD 곡선 및 특성
3. BOD 측정을 위한 희석 및 접종
3.1. 희석수의 제조
3.2. 접종 미생물의 사용
3.3. 희석배수의 결정
4. BOD 측정 실험 방법
4.1. 직접법
4.2. 희석법
4.3. 데이터 분석 및 계산
5. 결론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생화학적 산소요구량(BOD)은 수중 유기물의 오염정도를 나타내는 중요한 지표이다. BOD는 호기성 미생물이 수중의 유기물을 분해하는 과정에서 소모되는 산소량을 측정함으로써 간접적으로 유기물의 농도를 파악하는 방법이다. BOD 측정은 수질관리와 수질오염 방지를 위해 널리 활용되고 있다. 이 실험에서는 BOD 측정의 원리와 방법을 이해하고, 실제 BOD 측정 실험을 수행하여 그 결과를 분석하고자 한다. 또한 BOD 측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과 측정 데이터의 해석 방법에 대해서도 살펴보고자 한다.
2. BOD(생화학적 산소요구량)의 개요
2.1. BOD의 정의 및 중요성
생화학적 산소요구량(Biochemical Oxygen Demand, BOD)은 물 속의 미생물이 호기성 상태에서 유기물을 분해하여 안정화시키는 데 요구되는 산소량(mg/L)으로, 수중의 유기물 함량을 간접적으로 나타내는 지표이다. 생물화학적 산소요구량을 의미하며, 하천의 오염도를 나타내는 값으로 하수가 부패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필요한 산소의 양을 의미한다. 호기성 미생물이 유기물을 분해 섭취하여 세포를 합성하는 데 필요한 산소의 양을 나타내며, 폐수나 물의 유기물 오염정도를 표시하기 위해 가장 많이 사용되는 지표이다. BOD 측정은 시료를 20℃의 암실에서 5일(BOD5) 동안 배양했을 때 소비된 용존산소(DO) 량으로 표시되며, 수질환경오염 공정시험방법에 따라 실시된다. BOD가 높다는 것은 물 속에 유기물질이 다량 함유되어 세균이 이를 분해·안정화하는 데 많은 유리산소(O₂)를 소모했다는 것을 의미하며, 반대로 BOD가 낮다는 것은 물 속의 유기물질 함유량이 적어 세균이 이를 분해·안정화하는 데 적은 유리산소를 소모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BOD는 수질오염 강도를 측정하는 데 널리 이용되며, 생물학적 처리공정에서 중요한 지표로 활용된다.
2.2. BOD 측정의 원리
생화학적 산소요구량(BOD)은 호기성 상태에서 박테리아가 분해 가능한 유기물질을 안정화시키는 데 필요로 하는 산소의 양이다. 이는 시료 내에 존재하는 여러 종류의 유기물 정도를 직접 측정하기 어려우므로, 미생물이 유기물을 분해할 때 소모하는 산소의 양을 측정하여 간접적으로 유기물의 양을 나타내는 방법이다. BOD 측정은 가능하면 실제 생물들이 활동하고 유기물 분해가 진행되는 자연상태와 유사한 조건에서 수행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측정 기간 동안 산소가 재포기되지 않도록 하고, 산소 소모량이 큰 고농도 시료는 희석하여 실험을 진행해야 한다. 또한 분석법이 미생물에 의존하므로 시료에 미생물이 없는 경우 접종 미생물을 추가해야 한다. 미생물 성장에 필요한 영양소와 적절한 pH, 삼투압 조건이 유지되어야 하며, 독성물질이 없어야 한다. 미생물의 활성은 온도의 영향을 크게 받으므로 BOD 실험은 20℃에서 수행된다.
미생물에 의한 산소 소모량은 미생물의 배양 시간에 따라 달라지는데, 전형적인 도시 하수의 경우 유기물이 모두 ...
참고 자료
권수열, 윤주환 (2007). 수질시험법, 한국방송대학교출판부, pp 146-173
Sawyer,C.N., McCarty,P.L. and Perkin M. (2002). 환경화학(Chemistry for Environmental Engineers and science, 5th Ed). 김덕찬 역. 동화기술. pp 646-687
권수열·윤주환(2007),『수질시험법』,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부, p161-1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