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덤핑증후군 관련 간호중재
1.1. 덤핑증후군 설명
덤핑증후군은 다량의 위 내용물이 소장으로 급격히 이동하면서 발생하는 증상을 말한다. 위절제술을 하게 되면 위의 조절기능이 상실되어 섭취한 음식이 정상적인 소화과정을 거치지 못하고 소장으로 급격히 유입되면서 발생한다. 위절제술 후 짧게는 6개월에서 길게는 1년에서부터 2, 3년간 덤핑증후군이 발생한다. 수술 후 대부분의 사람에게서 나타나며, 아무 증세도 나타나지 않는 경우도 있으나 1~2% 정도의 환자는 심각한 상태로 나타난다. 덤핑증후군은 식사 후 약 30분에서 1시간 사이에 나타나는 조기 덤핑증후군과 식사 후 90분에서 3시간 사이에 나타나는 후기 덤핑증후군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식후 5~60분 후에는 주로 복부팽만, 복통, 오심, 구토, 빈맥, 어지러움, 발한 등이 나타난다. 식사 90분~3시간 후에는 식은땀, 떨리고, 빙빙 도는 듯한 느낌, 빈맥, 정신이 혼미해지는 증상이 나타나는데 이러한 증상은 탄수화물이 많은 식사가 소장으로 들어와서 갑자기 혈당을 높이고 인슐린 분비가 많아지기 때문에 나타나는 저혈당 증상이다.
1.2. 덤핑증후군 예방 간호전략
위절제술 후 나타나는 덤핑증후군은 섭취한 음식이 정상적인 소화과정을 거치지 못하고 소장으로 급격히 유입되면서 발생한다. 이는 식사 후 30분에서 1시간 사이에 나타나는 조기 덤핑증후군과 식사 후 90분에서 3시간 사이에 나타나는 후기 덤핑증후군으로 구분된다. 이에 대한 예방 간호전략은 식이요법과 생활요법으로 나눌 수 있다.
식이요법으로는 한 번에 섭취하는 음식물의 양을 줄이고, 고단백, 고지방, 저탄수화물, 저수분 식사를 자주 먹도록 한다. 매일 소량의 음식을 5~6번에 나누어 충분히 씹어 먹는 것이 좋다. 유당이 포함된 우유와 유제품은 피하고, 지방은 지방식을 시행하되 튀김, 볶은 음식과 같이 기름기가 많은 음식은 피한다. 차가운 음식보다는 따뜻한 음식을 섭취하는 것이 좋다.
생활요법으로는 식사 시 옆으로 누운 자세나 반쯤 옆으로 누운 자세를 취하고, 식사 후에는 누워 있는 것 등이 도움이 된다. 식전 1시간 정도, 식사 시 혹은 식후 2시간 정도 수분을 섭취하지 않는 것도 효과적이다. 덤핑 증후군으로 인해 저혈당, 복부 통증, 경련이 발생할 경우, 진정제나 항경련제 복용, 포도당 주사, 진정제, 자율신경 차단제와 같은 약물을 투약하여 증상을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식이요법과 생활요법을 통해 덤핑증후군을 예방하고 증상을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2. 당뇨병 급성합병증과 간호중재
2.1. 당뇨성 산독증 간호중재
당뇨성 산독증은 주로 제1형 당뇨병 환자에게서 발생하는 심각한 급성 합병증이다. 당뇨성 산독증의 원인은 인슐린 부족, 인슐린 투여 중단, 생리적 또는 심리적 스트레스, 과다한 식사 등이다. 당뇨성 산독증 환자는 식욕부진, 오심, 구토, 복통, 혈당 상승, 저혈압, 케톤뇨, 다뇨 등의 증상을 보이며, 전해질 불균형으로 칼륨, 나트륨 결핍도 나타난다.
간호중재의 가장 중요한 목표는 혈당 조절이다. 정맥으로 속효성 인슐린을 투여하여 혈당을 조절하고, 자주 혈당 검사를 하여 치료 반응을 모니터링한다. 또한 수액 공급을 통해 탈수 상태를 교정하고 전해질 균형을 맞춘다. 활력징후와 섭취량 및 배설량을 주의 깊게 관찰하며, 소변량 저하 시 쇼크를 의심해야 한다. 의식 수준이 저하된 경우 무의식 환자에게 필요한 모든 간호를 제공해야 한다.
2.2. 고혈당성 고삼투압성 비케톤성 증후군 간호중재
고혈당성 고삼투압성 비케톤성 증후군은 제2형 당뇨병 환자, 특히 노인에서 주로 발생하며 고혈당과 고삼투압에 의한 탈수만 있고 케톤상승에 의한 대사성 산독증이 거의 없다. 이는 산독증과 비슷한 원인으로 발생하는데, 발병 전 심한 감정적 스트레스나 감염이 있었던 경우가 많다. 증상으로는 폐렴, 그람음성균 패혈증, 혈전 등이 나타난다.
고혈당성 고삼투압성 비케톤성 증후군의 가장 중요한 간호중재는 적절한 수액 공급을 통한 탈수 상태 교정이다. 또한 인슐린 공급과 전해질 불균형 교정도 필요하다. 대개 산독증보다 자가 간호 오류가 더 큰 원인으로 작용하므로 대상자에 대한 자세한 사정과 재교육이 중요하다.
외관상 당뇨성 산독증과 유사하지만 고삼투압과 탈수가 더 심하고 케토산증이 없다는 점이 특징이다. 따라서 수액 공급을 통해 탈수 상태를 신속히 교정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 치료 목표이다. 또한 고삼투압 상태에 따른 전해질 불균형을 함께 교정해야 한다. 인슐린 투여도 필요하지만 산독증을 동반하지 않으므로 당뇨성 산독증에 비해 인슐린 요구량이 적다. 이처럼 환자의 자가 간호 실천을 높이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 간호중재라 할 수 있다.
2.3. 저혈당증 간호중재
저혈당증은 혈당치가 50mg/dL 이하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