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3개
-
투석혈관2025.01.061. 투석혈관 및 관리, 운동법 1.1. 동정맥루란? 혈액투석을 하기 위해서는 분당 200ml 이상(200-400ml/min정도의 안정된 순환이 요구됨)의 혈액을 몸에서 빼내어 필터로 걸러낸 후 다시 몸 속으로 넣어 주어야 하는데 일반 말초 혈관으로는 충분한 혈액을 빼내기 힘들고 혈관이 쉽게 손상되어 막히는 등 혈액투석 치료에 적합하지 않아 체내의 동맥과 정맥을 연결하여 주는 수술이 요구됩니다. 이러한 수술은 부분마취로 수술실에서 하게 되며 수술 부위는 대부분이 시계를 차는 위치인 손목부위이지만 더 위쪽에 만들기도 합니다. 혈관수...2025.01.06
-
인공신장실 교육2025.06.061. 서론 1.1. 혈액투석 환자의 투석생활에 대한 교육의 필요성 혈액투석 환자의 투석생활에 대한 교육의 필요성이다. 최근 신장질환 환자가 급증하면서 혈액투석이 필요한 환자 역시 증가하는 추세이다. 만성 신부전으로 진단받은 후 투석치료가 필요하다는 설명을 듣게 되면 대부분의 환자는 정신적으로 어려움을 겪게 된다. 이러한 반응은 정상적인 반응이지만 환자가 어떻게 적응하느냐에 따라 원만한 투석생활에 대한 결과가 많이 달라진다. 만성 신부전 환자가 보다 나은 투석생활을 영위하려면 환자 스스로가 긍정적으로 투석치료에 참여하는 것이 무엇보...2025.06.06
-
성인 기말2025.06.091. 덤핑증후군 관련 간호중재 1.1. 덤핑증후군 설명 덤핑증후군은 다량의 위 내용물이 소장으로 급격히 이동하면서 발생하는 증상을 말한다. 위절제술을 하게 되면 위의 조절기능이 상실되어 섭취한 음식이 정상적인 소화과정을 거치지 못하고 소장으로 급격히 유입되면서 발생한다. 위절제술 후 짧게는 6개월에서 길게는 1년에서부터 2, 3년간 덤핑증후군이 발생한다. 수술 후 대부분의 사람에게서 나타나며, 아무 증세도 나타나지 않는 경우도 있으나 1~2% 정도의 환자는 심각한 상태로 나타난다. 덤핑증후군은 식사 후 약 30분에서 1시간 사이에...2025.06.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