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개요
1.1. 강박장애의 정의 및 발병 현황
강박장애는 자신의 의지와는 상관없이 특정한 생각이나 행동을 반복하게 되는 정신장애이다. 이는 강박사고와 강박행동으로 구성되며, 이러한 증상들로 인해 일상생활에 심각한 지장을 초래한다. 강박장애의 정의 및 발병 현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강박장애는 불안장애의 일종으로, 강박적 사고와 행동이 지속되는 것이 특징이다. 이 장애는 자신의 의지와는 상관없이 반복적이고 침투적인 사고, 충동 또는 심상이 나타나며, 이로 인해 불쾌함을 경험하게 된다. 강박증상으로 인해 사람들은 이러한 고통을 감소시키기 위해 강박적으로 정신적 또는 육체적 행위에 몰두하게 된다. 강박사고와 강박행동은 개인의 일상생활, 직업, 대인관계 등에 심각한 지장을 초래한다는 점에서 문제가 된다.
강박장애의 발병 현황을 살펴보면, 전 세계적으로 약 2.5%의 평생 유병률을 보이는 비교적 흔한 정신장애이다. 국내의 경우,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분석 결과에 따르면 강박장애 환자수가 2010년 약 2만 명에서 2014년 약 2만 3천 명으로 증가하였다. 연도별 요양급여 비용도 2011년 약 96억 원에서 2015년 약 108억 원으로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처럼 강박장애 환자수와 의료비 지출이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이 강박장애는 개인의 일상생활과 사회생활에 심각한 지장을 초래할 뿐만 아니라, 의료비 지출 증가로 인한 사회적 부담도 크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강박장애에 대한 폭넓은 이해와 더불어 효과적인 치료방법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1.2.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강박장애는 의지와 간섭을 벗어나서 특정한 생각이나 행동을 반복하는 상태를 말하는 것으로, 강박사고, 강박행동, 집착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증상군으로 나타난다." 강박장애는 자각적인 강박경향과 그에 대한 저항과 병식의 유지가 주된 특징인 장애이며, 일반인구 중 평생유병률이 2.5%로 드문 장애가 아니다." 또한 심한 고통을 초래하고 시간을 소모시키며 정상적인 일과, 직업적 활동, 또는 일반적 사회활동이나 대인 관계에 심각한 장해를 초래한다."
건강심사평가원의 보고에 따르면 강박장애 환자는 2011년 20,959명에서 2015년 24,133명으로 증가하였으며, 연도별 요양급여비용총액은 2011년 약 96억원에서 2015년 약 108억원으로 매년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왔다." 이처럼 강박장애 환자의 수와 의료비가 증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한의학에서 강박장애에 대한 연구는 손 등의 강박장애에 대한 중의학의 최근 동향 연구만 있을 뿐이므로, 지속적으로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증례는 강박장애를 호소하는 환자에서 한방치료와 심리치료를 병행하여 호전을 보인 증례로, 강박장애에 대한 한의학적 연구의 기반을 넓히는데 기여하고자 보고하는 바이다."
2. 강박장애의 특징
2.1. 병식 및 문제 인식
대부분의 강박장애 환자들은 자신의 행동이 비합리적이라고 생각하지만, 강박장애를 가진 아이들의 경우 아직 세상의 '정상적인' 행동에 대한 인식이 완전하지 못하기 때문에 그렇지 않을 수 있다. 성인들도 병식의 정도가 다양할 수 있으며, 대부분의 경우 자신의 강박사고가 전적으로 의미 없다고 생각하지는 않는다. 이는 특히 강박사고에 빠져 있고 고통이 매우 클 때 그러하다. 환자가 상당히 비전형적인 침투사고를 보인다고 하더라도, 그가 이러한 사건이 거의 일어나지 않을 것이라고 생각은 하지만 여전히 이에 대한 상당한 고통을 경험하고 있다면 강박장애로 진단될 것이다. 그러나 강박장애와 조현병은 때때로 공존하며, 어떤 강박사고는 환자가 자신의 조망을 상실하고 강박사고에 저항하는 것을 중단할 때 망상처럼 보일 수도 있다. 병식의 결여는 보다 심각한 증상과 관련될 수 있으며, 특히 정신병적 특성이 나타날 때 그러하다. 그러나 병식의 부족이 항상 치료에 대한 반응이 저조함을 예측하는 것은 아니다. 환자의 합리적인 사고를 증진시키고자 하는 인지치료 기법이 병식이 결여된 환자들에게도 도움이 될지는 알 수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조현병에서도 인지치료 기법이 효과가 있음을 감안해 볼 때, 병식이 부족한 강박장애 환자에게도 인지치료를 적용하여 적어도 효과가 있는지를 확인하는 것이 합리적이다.
2.2. 강박증상의 유형
강박증상의 유형으로는 공격적, 종교적, 성적 강박사고와 더불어 정신적 의례 또는 확인 의례, 오염 강박사고와 더불어 세척 의례 또는 청결 의례, 대칭과 확실성에 대한 강박사고와 이에 동반된 정리정돈 의례, 셈하기·반복하기·확인 강박행동, 수집하기 등이 있다"
많은 강박증 환자들은 한 가지 이상의 강박사고와 강박행동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환자들을 특정한 유형으로 분류하기는 쉽지 않다. 대부분의 환자들에게서 한 가지 증상이 우세할 수는 있지만, 대부분은 한 가지 이상의 증상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환자가 어떠한 증상 유형을 가졌는지 파악하는 것이 치료 방향을 결정하는 데에는 큰 도움이 되지는 않는다. 대부분의 증상 유형에서 약물, 행동, 인지적 개입들은 비슷하게 적용될 수 있기 때문이다. 다만 수집하기의 경우 강박증의 다른 형태에 비해 약물 및 행동개입에 덜 반응적이라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