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한국어를 통한 세계선교"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한국어 교육의 개념과 역사
1.2. 한국어 교수법의 발전 과정
2. 한국어 교재 개발의 역사
2.1. 선교와 침략을 목적으로 한 외국인 주도적 한국어 교재 편찬
2.2. 일본인 대상 한국어 교재
2.3. 광복 이후의 한국어 교재
2.4. 1970년대 이후 한국어 교재 개발
3. 한국어 교재의 발전 방향
3.1. 의사소통 중심, 학습자 중심의 교수법 반영
3.2. 학습자 동기와 흥미 유발을 위한 교재 개발
3.3. 일상생활 중심의 과제 개발
3.4. 언어-목적-영역별 전문 교재 개발
4. 결론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한국어 교육의 개념과 역사
한국어 교육이란 한국어가 외국어나 제2언어인 학습자, 즉 외국인이나 재외동포를 대상으로 이루어지는 교육이다. 이는 한국어를 효율적으로 교수하고 학습하는 방안을 모색하는 학문이다. 한국어 교육은 국어 교육과 구분되는데, 국어 교육은 학습자의 바른 언어생활을 위한 국어의 체계적인 지식 습득을 목표로 하는 반면, 한국어 교육은 언어 지식 습득보다 지식을 활용하는 언어 활동에 초점을 두기 때문이다. 한국어 교육의 시작은 1950년대 외국인 선교를 대상으로 민간 교육기관 명도원에서 시작되었으나, 최초의 현대적 한국어 교육은 1959년 연세대학교 한국어학당에서 시작되었다. 한국의 경제성장과 국제적 지위 향상으로 1980년대 중반부터 한국어 교육이 양적으로 성장하였고, 1990년대 후반부터는 정부 주도의 한국어 세계화 사업이 시작되면서 한국어 교육이 전문화되기 시작하였다. 이에 따라 학습자 집단과 학습 목적이 다양화되었고, 한국어 교육 인력과 교수 인력도 증가하고 전문화되었다. [1]
1.2. 한국어 교수법의 발전 과정
해방 이후 등장한 청각구두식 교수법(Audio-lingual Method)은 교사가 설명하는 것과 학습 자료를 함께 이용하며 따라 하고 암기하는 방식을 취하였다. 이 교수법의 특징은 단기간에 학습 효과를 볼 수 있다는 것이다. 과거에는 교사가 학생에게 지식을 전달하고 주입하는 방법이라고만 생각했으나, 근래에는 학생활동을 중심으로 교육 내용을 전달하는 방법으로 이해되고 있다.
1950년대 말부터 1990년대 초반까지 청각구두식 교수법이 중심이었다. 1959년 연세대학교에서 한국어학당이 설립되었고, 1969년 서울대학교에서 재외동포용 교재를 개발하였다. 1964년에는 외국 선교사를 위한 명도원이 설립되어 선교사들을 위한 한국어 교재가 개발되었다. 아시안게임과 올림픽을 기점으로 한국어교육기관이 증가하였는데, 1986년 고려대학교, 1988년 이화여자대학교, 1990년 서강대학교, 1993년 경희대학교 등 대학교 부설 언어교육기관이 신설되었다. 이 시기 교재는 '본문-->단어설명-->문법 설명-->연습문제'의 구조로 구성되어 문법의 구조적인 해석과 설명, 반복 연습을 중심으로 한 청각구두식 교수법이 중심이었다.
1980년대 교재부터는 한자어의 한자 식별 능력을 도모하지 않았고, 1990년대 이화여자대학교 교재부터는 말하기, 듣기, 읽기, 쓰기 능력을 한 교재에서 종합적으로 신장하도록 구성하였다.
1990년대 중반부터 현재까지는 의사소통 중심 교수법이 두각을 나타내면서 과제 중심 교재, 기능 통합형 교재가 출판되었다. 학습자 수가 증가하면서 이들의 요구를 반영하는 '노동자를 위한 교재', '문화 중심 교재' 등 학습 목적별로 특성화된 다양한 교재가 출판되기 시작하였다. 또한 그림, 사진, 보조 자료, 온라인 교육 등 멀티미디어 교재도 개발되었다. 외국어 교수법의 흐름에 따라 상황 및 기능별 교수요목과 과제 해결을 근간으로 한 의사소통 중심 교수법이 핵심이 되고 있다.
2. 한국어 교재 개발의 역사
2.1. 선교와 침략을 목적으로 한 외국인 주도적 한국어 교재 편찬
근대적 교육에 대한 자각이 싹튼 시기는 1880년대부터이지만, 그보다 이른 1870년부터 선교사, 신부, 외교...
참고 자료
강현화,이미혜(2012), 한국어교육론, 한국방송통신대학교
김중섭(2014) 한국어 교육의 이해, 하우
민현식(2004), 한국어 표준교육과정 기술 방안, 한국어 교육 14-1, 국제한국어 교육학회
민현식 외(2005) 한국어 교육론1; 한국어교육의 역사와 전망, 한국문화사
박영목(2012), 국어과 교육과정론, 강현출판사
백봉자(2001) 교재와 교수법을 통해 본 한국어 교육의 역사와 과제,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 25, 연세대학교 언어교육연구원 한국어학당
성기철(1998), 한국어 교육의 목표와 내용, 이중언어학회지 15, 이중언어학회
최정순(2006), 학문 목적 한국어 교육의 교육과정과 평가, 이중언어학31, 이중언어학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2024),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78671, 한국학중앙연구원
허용 외(2024),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학 개론, 박이정
강현화 외, 『한국어교재론』, 한국문화사, 2022.
서종학 외, 『한국어교재론』, 한국문화사, 2020.
이미지(2021), 외국어로서의한국어교재론, 진흥원격평생교육원.
김재욱 김지형 김현진외(2016) 한국어교수법 형설출판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