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구어와 문어의 개념과 차이
1.1. 구어의 개념과 특징
구어의 개념과 특징은 다음과 같다. 구어는 말을 할 때 사용하는 언어이다. 구어는 문어와 달리 어린 시기에 배우는 단순한 형태적, 통사적 구조를 사용하며, 대화 참여자나 상황에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구어는 단일 회자에 의한 독백과 둘 이상의 회자에 의한 대화로 구분되며, 독백은 계획된 것인지 즉흥적인지에 따라 하위 구분된다. 구어는 문법적으로 복잡한 구조가 사용되지 않으며 단순하고 짧은 형태를 선택하여 발화되며, 여기서 짧게 발화되다 보니 조사나 문장 성분, 구나 절 등의 생략도 많고 기본 단위가 문장 이하의 짧은 형, 즉 어절이나 구로 끝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구어는 강조나 휴지 등을 삽입함에 있어서 어순이 문어에 비해 더욱 자유롭고, 구어체 어미나 조사가 사용되는 등 구어의 고유한 특성을 보인다.
1.2. 문어의 개념과 특징
문어는 문자로 표기하는 언어, 즉 구어를 의미한다. 문어에는 문어체뿐만 아니라 대화체를 그대로 인용하는 구어체 문어도 포함된다. 이는 구어에도 연설이나 웅변 등에서 볼 수 있는 문어체 구어가 존재하는 것과 유사하다. 문어를 표기하는 표기수단은 문자이지만, 그 밖에 구두점이나 인용부호 등의 문장부호와 띄어쓰기의 빈칸, 행을 바꾸는 수단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는 구어에서 억양·몸짓 등이 중요한 보조구실을 하는 것과 비슷하다.
전체적으로 문어는 시각(視覺)에 의존하기 때문에, 문장의 첫자를 대문자로 표기하거나 고딕체·이탤릭체 등의 특수한 활자체를 사용, 밑줄을 긋는 등의 시각적인 효과를 동원하는 특징이 있다. 또한 문어는 시간과 장소를 초월해 오랫동안 동일한 형태로 보관되고 활용되는 특성이 있다.
문어에서는 어휘 선택, 문장 구조, 문단 배치 등을 세밀하게 고민하고 완성도를 높이는 경향이 있다. 문법적으로 정확하고 논리성이 높은 형태를 보이며, 감정 표현이나 의미 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