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한국문화콘텐츠 현황과 경쟁력 강화 방"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한국문화콘텐츠의 경쟁력 현황과 과제
1.2. 문화산업의 정의와 발전 배경
1.3.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한국문화콘텐츠의 현황 및 경쟁력 분석
2.1. 제조업 중심의 수출경쟁력
2.2. 한류 문화콘텐츠의 성장과 시장 확대
2.3. 화장품 등 문화상품의 해외 수출 증가
2.4. 문화콘텐츠의 지속적인 글로벌 확산
3. 한국문화콘텐츠 경쟁력 강화 방안
3.1. 문화상품 및 서비스 품질 향상
3.2. 정부의 제도 및 지원 정책 강화
3.3. 문화콘텐츠 산업의 기술 혁신 및 생태계 구축
3.4. 국제 문화교류와 공동 프로젝트 확대
4. 결론
4.1. 연구 결과 요약
4.2. 한국문화콘텐츠의 미래 전략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한국문화콘텐츠의 경쟁력 현황과 과제
우리나라는 제조업 중심의 수출경쟁력을 바탕으로 경제성장을 이루어왔다. 그러나 최근 선진국들의 보호무역이 확대되고 글로벌시장에서의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우리나라 제품이나 서비스의 수출이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에 따라 새로운 성장동력으로 주목받고 있는 것이 한류 문화콘텐츠와 화장품 등 문화상품의 해외 수출 증가이다.
한류 문화콘텐츠는 아시아를 넘어 전 세계적으로 확산되며 한국의 브랜드 가치를 높이고 있다. K-pop, K-드라마, K-영화 등 한류 콘텐츠는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으며, 이를 기반으로 한 한국 화장품의 해외 수출도 크게 증가하고 있다. 이는 문화상품의 글로벌 확산이 우리나라 제품과 서비스의 수출 경쟁력을 제고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그러나 아직 한국문화콘텐츠의 경쟁력은 선진국 대비 부족한 실정이다. 문화콘텐츠 산업의 기술 혁신과 생태계 구축, 정부의 제도 및 지원 정책 강화, 문화상품 및 서비스 품질 향상, 국제 문화교류와 공동 프로젝트 확대 등 다각도의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이를 통해 한국문화콘텐츠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지속가능한 발전을 이루어나갈 수 있을 것이다.
1.2. 문화산업의 정의와 발전 배경
문화산업은 특수한 문화형태와 경제형태로서 사람들의 문화산업에 대한 본질적 파악에 영향을 준다. 문화산업은 정신적 제품의 생산과 제공을 주된 활동으로 하여 사람들의 문화적 욕구를 충족시키는 것을 목표로 하는 문화적인 의미 자체의 창작과 판매를 말한다. 좁은 의미로는 문학예술창작, 음악창작, 사진, 무용, 그리고 공업디자인과 건축디자인을 포함한다. 중국은 문화콘텐츠 산업을 '문화산업(文化产业)' 또는 그보다 포괄적인 개념인 '문화창의산업(文化創意产业)'으로 칭하고 있다. 공익성 문화사업과 영리성 문화산업으로 구분되며, 산업적 측면에서 접근할 때는 일반적으로 영리적 성격이 있는 문화산업을 지칭한다.
사회주의 중국에서 문화는 개혁개방 이후에도 문화 사업의 일부로 남아 있었다. 문화는 한때 정부가 사람들을 계몽하고 공동체를 형성하기 위해 추진한 이념이었다. 하향식 관리 방식을 통해 운영되는 비즈니스뿐만 아니라 정신, 아이디어의 확산 등 시장경제의 개혁과 방은 문화의 개념을 널리 나타내도록 이끌었다. 중국 경제에서, 그리고 '문화 시장'과 '문화 상품'과 같은 단어들이 생기기 시작했다. 개혁개방 30년 동안, 중국의 경제는 지속적으로 발전을 거듭해 왔다. 이에 따라 국민들의 평균 수입이 증가하여 소비수준이 지속적으로 높아 갔으며, 문화상품에 대한 감상능력 역시 제고되었다. 이러한 소비욕구와 감상능력의 제고는 각종 문화산업의 발전을 자극하였고, 문화소비시장의 규모 역시 급속하게 확대되는 결과를 가져왔다.
문화산업의 정의와 발전 배경을 살펴보면, 중국에서 문화는 과거에는 단지 소비재로 인식되었으나 점차 고부가가치를 생산하는 생산요소로 인식되기 시작했다. 이러한 인식의 변화와 경제 개혁, 국민 소득 증가, 문화상품에 대한 수요 증가 등의 요인들이 중국 문화산업의 발전 배경이 되었다.
1.3.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우리나라 문화콘텐츠 산업이 지속적으로 발전해 왔으며 특히 한류를 중심으로 한 문화상품의 해외 수출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문화산업이 국가 경제에 미치는 영향력이 날로 커지고 있다.
그러나 제조업 중심의 수출 의존도가 여전히 높고 문화 기술 및 생태계 구축이 미흡한 실정이다. 또한 정부의 지원과 제도적 기반이 아직 부족한 수준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국 문화콘텐츠의 현황과 경쟁력을 분석하고, 문화상품 및 서비스의 품질 향상, 정부 정책 강화, 산업 기술 혁신, 국제 문화교류 확대 등 한국 문화콘텐츠의 경쟁력 제고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한국 문화콘텐츠가 글로벌 시장에서 지속적인 성장과 확산을 이루어 국가 브랜드 가치를 높이고 국가 경제 발전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이 연구의 목적이다.
2. 한국문화콘텐츠의 현황 및 경쟁력 분석
2.1. 제조업 중심의 수출경쟁력
우리나라는 제조업 중심으로 발전을 이뤄왔다. 자본도, 기술도, 자원도 없던 한국은 저렴한 노동력을 활용하여 원자재를 수입해 가공하고 완성품을 저렴하게 수출했다. 이를 통해 한국은 세계에서 가장 가난한 나라에서 세계 10위권의 경제대국으로 발전할 수 있었다.
반도체 강국인 한국의 반도체 대중 수입의존도가 가장 높은 것은 역설적이다. 반도체 원재료를 해외에서 수입하여 가공 후 수출함으로써 이익을 얻고 있으며, 실제로 수출품 1위가 반도체이다. 그러나 미국의 수출규제, 무역전쟁, 전염병 등 무역 의존도가 높은 한국에게 이러한 변수들은 좋은 일이 아닐 것이다. 또한 ...
참고 자료
통계청 KOSIS 지표
한국무역협회
UN Comtrade
문화체육관광부
2021년 화장품 수출 가파른 상승⸱⸱⸱전년 대비 21.8% 성장 - 팜뉴스
'비비고만두' 매출 1위, 한국 아닌 미국…해외 50% ↑ - 한경닷컴
해외서 더 잘 나가는 K푸드, 매출 절반 글로벌 시장서 올렸다 - 파이낸셜뉴스
대한민국 정부관계부처합동 (2023) 「온 국민의 스포츠, 건강하고 행복한 대한민국」, 제1차 스포츠진흥기본계획,
https://www.opm.go.kr/flexer/view.do?ftype=hwp&attachNo=140193
문화체육관광부 (2023) 「2022년 생활체육 참여율 61.2%, 전년대비 0.4%포인트 상승」, 문화체육관광부 보도자료 pp. 1-15
https://mcst.go.kr/kor/s_notice/press/pressView.jsp?pSeq=19972
신성연 (2023) 「레저스포츠산업 실태조사를 통한 현황 분석: 코로나19 대유행 이후의 정책 방향 논의」, 24권 1호: 33 - 79
DOI http://dx.doi.org/10.20997/SR.24.1.2
한동수, 김윤상, 이주옥 (2023) 「지역의 학교스포츠클럽 활성화를 위한 지향점 탐색」, vol.27, no.6, 통권 89호 pp. 181-199 (19 pages)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936380
한남희, 양도업, 최세희 (2020) 「4차산업혁명과 스포츠융복합산업의 적용 사례 분석」, 한국스포츠학회, vol.18, no.3, pp. 821-834 (14 pages)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635095
정수진, 전찬수 (2023) 「생활체육 활성화를 통한 건강증진과 엘리트 선수 발굴 방안: 경기도를 대상으로」, 한국스포츠학회, vol.21, no.4, pp. 213-221 (9 pages)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3040168
장재옥 (2021) 「스포츠 조직의 자치구조 확립과 굿거버넌스 -스포츠기본법 이후 대한체육회의 나아갈 방향과 관련하여-」, 중앙대학교 법학연구원, vol.45, no.3, pp. 285-310 (26 pages)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791518
전성범, 장찬희, 김매이 (2023) 「제2차 국민여가활성화 기본계획을 위한 여가산업 분야 정책 제안」, 여가문화학회, vol.21, no.2, pp. 205-226 (22 pages)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963069
한국사회체육학회 (2021) 「위드 코로나 시대에서 생활체육의 역할」, 2021 한국사회체육학회 춘계 학술세미나, pp. 1-42
https://kssls.co.kr/board/collect/article/51311
「문화강국 건설로 기수를 돌리다」, <이코노미스트>, 2011, 11. 15.
배영준, 「중국의 ‘문화창의(文化創意)’ 산업 신드롬」, 『친디아 인사이드』, 환경보전협회, 2010, 56쪽.
“文化产业”, 百度百科, https://baike.baidu.com/item/文化产业/741879, 2022.
임민경, 전문가풀 회의 보고서,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3, 2쪽.
Lim, Dae-geun, 「Can the Chinese Cultural Contents Industry Take Off?」, 『Issues & Analysis』, POSCO Research Institute, 2013, p.57.
노수연 외 5명, 지역별 협력방안,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4, 45쪽.
「중국에 사는 한국 기업가의 ‘문화 이야기’」, <인민화보사>, 2021, 03, 09.
선정규, 「중국 문화산업의 현황과 전망」, 『중국학논총 37』, 고려대학교 중국학연구소, 2020, 280~ 281쪽.
「공감하고 귀감되기는 중한 문화산업 협력의 의미」, <인민화보사>, 2021, 03. 10.
정소소, 「중국대중문화발전과정에서 외래문화의 역할」, ,한양대학교, 2016.
이태형, 「인터넷플러스시대 중국 TV미디어산업의 현주소」, 『문화교류와 다문화교육 6.4』, 한국국제문화교류학회, 2017, 43,60쪽.
2019 콘텐츠 산업백서 연차보고서, 문화체육관광부, 2019, 97쪽.
이태형 「중국 문화컨텐츠 산업 발전의 새로운 패러다임과 추세」, 『한중인문학포럼 발표논문집』, 한국국제문화교류학회, 2014, 112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