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급성 신장 손상(Acute Kidney Injury, AKI)은 신장기능의 갑작스런 저하를 특징으로 하는 질환이다. 이는 여러 원인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으며, 사구체여과율의 감소와 신장에서의 노폐물 배출 장애를 야기한다. 또한 전해질 및 산-염기 균형의 불균형을 초래한다.
한편, 패혈증(Sepsis)은 감염에 대한 전신적인 염증 반응으로, 그 원인균은 다양하다. 패혈증은 신체의 방어기전을 약화시키며, 이로 인해 여러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다. 그중에서도 AKI는 패혈증의 주요한 합병증 중 하나이다.
AKI와 패혈증은 서로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어, 상호작용하며 환자의 예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이 둘의 발생 기전과 상관관계, 임상 증상 및 진단, 그리고 효과적인 치료 방법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또한 이러한 중증 환자들을 위한 간호 중재 역시 중요하다.
이에 본 보고서에서는 AKI와 패혈증의 정의와 원인, 증상과 진단, 치료 및 간호 중재에 대해 종합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2. AKI와 패혈증
2.1. AKI (Acute Kidney Injury)의 정의와 원인
신장은 혈액 내 노폐물과 수분을 걸러내고 전해질을 조절하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급성 신장 손상(Acute Kidney Injury, AKI)은 신기능이 갑자기 저하되어 노폐물과 수분이 체내에 축적되는 질환이다.
AKI는 다양한 원인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데, 크게 신전성, 신성, 신후성으로 구분할 수 있다. 신전성 AKI는 신장으로 공급되는 혈류량이 감소하여 발생하며, 심한 출혈, 탈수, 심부전, 패혈증 등이 원인이 될 수 있다. 신성 AKI는 신장 자체의 손상으로 발생하는데, 급성 세뇨관 괴사, 사구체신염, 신혈관 질환 등이 원인이 된다. 신후성 AKI는 요로계 폐쇄로 인해 발생하며, 요관결석, 전립선비대증, 종양 등이 그 원인이 된다.
이와 같이 AKI는 신장 혈류 감소, 신장 실질의 직접적인 손상, 요로계 폐쇄 등 다양한 요인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AKI를 진단하기 위해서는 병력 청취와 함께 원인 질환에 대한 정확한 진단이 필요하다.
2.2. 패혈증의 정의와 원인
패혈증은 전신 염증성 반응증후군(systemic inflammatory response syndrome, SIRS)에 감염이 동반된 경우이다. 체온이 38℃보다 높거나 36℃보다 낮은 경우, 맥박이 분당 90회보다 빠른 경우, 호흡수가 분당 20회를 넘거나 PaCO2가 32mmHg보다 낮은 경우, 백혈구 수가 12,000/mm³보다 많거나 4,000/mm³보다 적은 경우 또는 미성숙 호중구가 10% 이상인 경우 중 두 가지 이상을 만족할 때 SIRS라고 할 수 있다. 중증 패혈증은 패혈증에 장기 부전, 저혈압 또는 관류장애가 동반된 경우를 말하며, 패혈성 쇼크는 급성 순환부전으로 적절한 수액보충에도 불구하고 저혈압이 지속되는 상태 또는 혈중 젖산농도가 4mmol/L 이상인 경우를 말한다.
인체 구성 기관 중 어느 부위에서든 감염이 발생할 수 있으며, 대표적으로는 폐렴, 심내막염, 복막염, 담낭염 등 장기 실질 조직의 aseptic state가 감염상태가 되었을 때 일어나기 쉽다. 이러한 염증반응을 일으킬 수 있는 원인으로는 영양실조, 면역억제, 광범위한 개방성 상처, 점막손상, 위장관계 병변 등이 있다. 특히 면역억제 치료중인 환자나 감염환자에서 증가하며, 발생 시 매우 치명적이고 사망률도 50% 이상이다. 세균이 생성한 다량의 독소와 내독소는 전신성 염증반응으로 이후 패혈성 쇼크로 이어지게 된다. 원인균으로는 그람양성균인 황색포도알구균(Staphylococcus aureus), 연쇄상구균과 그람음성균인 녹농균(Pseudomonas aeruginosa), 대장균(E. coli), 클렙시엘라균(Klebsiella pneumoniae) 등이 대표적이며, 진균, 항상균, 리케치아, 바이러스, 원충 등의 미생물도 원인이 될 수 있다.
2.3. AKI와 패혈증의 관계
패혈증은 미생물의 감염으로 인해 발생하는 전신 염증반응이다. 이 전신 염증반응은 장기의 기능 부전을 초래할 수 있는데, 그중에서도 가장 대표적인 장기 부전이 급성 신장 손상(AKI)이다.
패혈증이 발생하면 전신적인 염증 반응으로 인해 신장의 혈류량이 감소하게 된다. 이로 인해 사구체 여과율이 저하되고 신장 기능이 악화되면서 AKI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패혈증으로 인한 장기 부전 중 하나로 신장 기능 부전이 발생할 수 있다.
반대로 AKI가 발생하면 체내 독성 물질과 수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