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1.1. 상부위장관 출혈의 개념과 중요성
상부위장관 출혈은 식도, 위, 십이지장의 상부에서 발생하는 출혈이다. 토혈, 커피색 구토, 흑색변, 빈혈, 혈변, 실신 등의 증상이 나타나며 신속한 진단과 처치가 필요한 응급 질환이다. 가장 흔한 원인은 소화성 궤양이지만 출혈성 소화성 궤양의 경우 10~20%의 재출혈률과 5~10%의 사망률을 보여 여전히 중요한 임상적 문제로 남아있다. 또한 상부위장관 출혈 환자의 재출혈에 따른 의료비용 증가도 문제로 지적되고 있다. 상부위장관 출혈은 60세 이상의 고령, 남자, Helicobacter pylori 감염,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 복용, 항혈소판제, 항응고제 복용 등 다양한 위험요인이 있다. 우리나라 또한 고령화 사회로 진입하면서 상부위장관 출혈의 발생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므로 이에 대한 적절한 대응이 필요하다.
1.2. 상부위장관 출혈의 발생 현황과 특성
우리나라의 경우 2018년 노령화 지수가 110.5%로 고령 사회에 진입하였으며 2026년에는 초고령화 사회로 진입할 것으로 예상된다. 2018년도의 65세 고령인구 비율은 전체 인구의 14.3%였으며 이들의 진료비는 전체 진료비의 39.9%를 차지하였고, 노인 1인당 426만원의 의료비용이 발생하였다. 그리고 노인의 질병 소분류를 보면 소화기 질환이 고혈압, 치주질환, 기관지염, 근골격질환에 이어 5번 째로 많았다.
우리나라의 소화성궤양 출혈의 변화를 보면 2000년대 이전에는 청장년이 대부분을 차지하였으나 2000년대 이후에는 노인이 차지하는 비중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지난 15년 동안 위장관 출혈의 변화를 조사한 연구를 보면 프로톤펌프 억제제, H2 수용체 차단제, 프로스타글란딘 유도체 등의 궤양 치료제 발달로 상부위장관 출혈의 과거력과 소화성궤양의 유병률은 감소한 반면, 심혈관 질환을 가진 노인 인구에서 NSAIDs의 사용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어 여전히 소화성궤양은 위장관 출혈의 가장 주된 원인이었다. 그리고 위장관 출혈환자들의 수술적 지혈술의 비율은 감소하였지만 진단 및 치료기술의 발전에도 불구하고 사망률에는 큰 차이가 없었다.
이와 같이 상부위장관 출혈은 흔히 발생하고 생명을 위협하는 질환이며, 앞으로 우리나라의 노인인구 증가를 고려하였을 때 국가적 의료 비용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상부위장관 출혈로 응급실에 내원한 환자의 특징을 조사하여 고위험 출혈군의 영향 요인을 파악할 필요가 있다.
1.3.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상부위장관 출혈은 흔히 발생하고 생명을 위협하는 질환이며, 앞으로 우리나라의 노인인구 증가를 고려하였을 때 국가적 의료 비용에 큰 영향을 미칠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해 상부위장관 출혈로 응급실에 내원한 환자의 특징을 조사하여 고위험 출혈군의 영향 요인을 파악하고자 한다.
출혈성 소화성궤양인 경우 진단 기술과 내시경, 수술적 치료법의 발전에도 불구하고 10~20%의 재출혈률과 5~10%의 사망률을 보여 여전히 중요한 임상적 문제로 남아있다. 상부위장관 출혈환자의 재출혈에 따른 1인당 입원비용을 비교한 연구를 보면 연간 약 300,000명이 상부위장관 출혈로 입원하여 약 25억달러의 입원비용이 발생하는데, 정맥류가 없는 환자에서 재출혈이 발생하면 1인당 입원비용은 5,632달러였고, 재출혈이 없는 경우는 3,402달러였으며 각각의 재원기간은 4.4일, 2.7일이었다. 정맥류가 있는 환자에서 재출혈이 발생했을 때 1인당 입원비용은 23,207달러였고, 그렇지 않을 때는 6,612달러였으며 재원 기간은 각각 15.2일, 3.8일이었다. 즉 재출혈이 발생한 환자에서 의료 비용과 입원기간이 모두 증가했다.
상부위장관 출혈의 위험요인은 60세 이상의 고령, 남자, helicobacter pylori 감염, 비스테로이드 항염증제(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Ss]), 항혈소판제, 항응고약제의 사용 등으로 알려져 있으며 간질환, 심장질환, 신장질환의 병력이 있을 시에 출혈의 위험이 증가했다. 60세 이상의 고령이 상부위장관 출혈의 위험요인임을 감안하면 상부위장관 출혈의 발생은 추후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우리나라의 2018년 노령화 지수는 110.5%로 고령 사회로 진입하였으며 2026년에는 초고령화 사회로 진입할 것으로 예상된다. 2018년도의 65세 고령인구 비율은 전체 인구의 14.3%였으며 진료비는 전체 진료비의 39.9%를 차지하였고, 노인 1인당 426만원의 의료비용이 발생했다. 그리고 노인의 질병 소분류를 보면 소화기 질환이 고혈압, 치주질환, 기관지염, 근골격질환에 이어 5번 째로 많았다. 우리나라의 소화성궤양 출혈의 변화를 보면 2000년대 이전에는 청장년이 대부분을 차지하였으나 2000년대 이후에는 노인이 차지하는 비중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이와 같이 상부위장관 출혈은 흔히 발생하고 생명을 위협하는 질환이며, 앞으로 우리나라의 노인인구 증가를 고려하였을 때 국가적 의료 비용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상부위장관 출혈로 응급실에 내원한 환자의 특징을 조사하여 고위험 출혈군의 영향 요인을 파악할 필요가 있다.
2. 상부위장관 출혈의 병태생리 및 원인
2.1. 소화성 궤양
소화성 궤양은 상부위장관 출혈의 가장 흔한 원인이다. 소화성 궤양의 주요 원인으로는 Helicobacter pylori 감염과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NSAID) 사용이 있다. Helicobacter pylori 감염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