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백만장자의 아주 작은 성공 습관
1.1. 책 정보
책 정보는 다음과 같다.
저자는 딘 그라지오시이며, 책의 제목은 "백만장자의 아주 작은 성공 습관"이다. 출판사는 갤리온이며, 출간일은 2020년 9월 28일이다.
저자 소개에 따르면, 저자는 세계적인 기업가이자 성공한 투자가로, 미국의 유명한 비즈니스 코치이다. 어린 시절 가난한 환경에서 태어났지만, 지금은 백만장자로 거듭났다. 그는 자신의 경험을 바탕으로 성공한 사람들의 공통적인 습관을 분석하여 "완전한 성공"이라는 책을 출간했으며, 이 책은 100만부 이상 판매되었다.
1.2. 저자 소개
세계적인 기업가이자 성공한 투자가인 딘 그라지오시는 미국의 유명한 비즈니스 코치이다. 그는 유년시절 아버지와 빈집 화장실에서 살았을 만큼 몹시 가난한 가정에서 태어났고, 부모님의 이혼과 어려운 가정형편 때문에 스무 번 넘게 이사를 다녔으며, 난독증으로 수업조차 제대로 들을 수 없었다. 이런 불행한 어린 시절에도 불구하고 현재는 백만장자로 거듭나 미국 최고의 자수성가 부자로서 명성을 날리고 있다. 그는 자신의 인생을 변화시킨 '습관의 힘'을 더 많은 사람들과 공유하기 위해 성공 훈련 프로그램 '더 나은 삶을 위한 30일 도전(BETTER LIFE 30DAY CHALLENGE)'을 개발했으며, 온라인 교육 프로그램인 'KBB(KNOWLEDGE BUSINESS BLUEPRINT)'도 개발하여 많은 사람들의 인생을 변화시키고 있다.
1.3. 목표 설정의 중요성
1.3.1. 현재 위치 객관적 파악
현재 위치 객관적 파악이란 자신이 어디에 놓여있는지 경제적인 상황과 더불어, 사랑, 우정, 가족 등 본인이 처한 삶의 다양한 영역에서 생각해보고, 자신의 모습을 써볼 때 내가 현재 놓여있는 출발점이 정확히 어딘지 객관적으로 판단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를 통해 자신의 현 상황을 명확하게 인식할 수 있고, 진정한 목표 설정과 달성을 위한 토대를 마련할 수 있다. 즉, 현재 자신의 위치를 정확히 파악하는 것은 효과적인 목표 설정을 위한 필수적인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1.3.2. 진정한 목표 찾기
저자는 자신이 원하는 삶의 목표가 무엇인지 정확히 세워야 한다고 했다. 자신이 어디를 향해 가고 있는지 모르고 전속력으로 달리는 사람이 많은데, 빠른 속도, 넘치는 열정과 에너지 역시 도달하고자 하는 목표가 명확하지 않다면 목표에 도달하는 일이 일어날 수가 없다. 자신이 원하는 성공이 무엇인지에 대한 명확한 목표를 설정해야, 그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무의식적으로 나의 목표를 기준으로 시간을 안배하고, 우선순위를 정할 수 있다고 하였다.
목표를 정하기 위해서는 첫번째로 현재 자신이 어디에 놓여있는지 객관적으로 판단해야 한다고 하였다. 경제적인 상황과 더불어, 사랑, 우정, 가족 등 본인이 처한 삶의 다양한 영역에서 생각해보고, 자신의 모습을 써볼 때, 내가 현재 놓여있는 출발점이 정확히 어딘지 객관적으로 판단할 수 있다고 했다.
그 후, 내가 설정한 목표에 대한 진짜 이유를 찾아야 내 비전을 현실로 만들어 줄 수 있다고 했다. 저자가 소개한 방법은 '7단계 질문법'이다. 예를 들어, "나는 경제적 자유를 누리고 싶어"로 시작했을 때, "왜 경제적 자유를 누리고 싶어?"라는 질문을 일곱 번 반복하면 단순히 표면적인 목적에 그치지 않고 내면의 진정한 목적을 찾을 수 있다고 한다. 내 삶의 근본적인 목적과 가치를 뿌리내려야, 진정한 목표를 향해 달려가는 추진력이 생길 수 있고, 본인이 목표한 시간보다 더 빠르게 목표에 도달할 수 있는 가능성이 높아지는 등의 선순환 구조가 생긴다. 깊은 고민 없이 정한 목표들은 보통 '작심삼일'로 빨리 힘을 잃어버리게 된다. 따라서 본인이 원하는 삶의 목표가 무엇인지에 대해 본질적으로 깨닫는 시간을 꼭 가져야 한다.
1.4. 긍정적인 사고 습관 기르기
긍정적인 사고를 가지는 것은 삶에 있어 매우 중요한 부분이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무의식적으로 자신을 의심하거나 부정적인 생각을 품고 있다고 저자는 설명한다. 이러한 부정적인 사고는 개인의 성취와 성장을 방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따라서 저자는 긍정적인 사고 습관을 기르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한다.
먼저 저자는 외부 요인으로 부정적인 사고를 불러일으키는 요소들을 지적한다. 부정적인 뉴스나 자신의 부족함에 대한 열등감 등이 대표적이다. 이러한 외부 요인들을 의도적으로 차단하고 주변에 긍정적인 에너지를 주는 사람들과 교류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설명한다.
내부 요인 측면에서는 개인이 평소 가지고 있는 언어 및 사고 습관에 문제가 있을 수 있다고 지적한다. 무의식중에 형성된 부정적인 사고 패턴을 긍정적인 것으로 전환하기 위해서는 의도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저자는 이를 위한 구체적인 방법으로 '긍정적인 자기 메시지 만들기'와 '긍정적 사고 훈련'을 제안한다. 자신만의 긍정적인 문구를 만들어 아침저녁으로 읽는 습관을 들이고, 스트레스 상황에서 긍정적으로 생각하기 위해 운동이나 휴식을 취하는 등의 노력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이처럼 긍정적인 사고 습관을 기르는 것은 개인의 성장과 발전을 위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