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미의 기준은 시대에 따라 변화해왔다는 점에서 고대 미인의 형상과 의미를 살펴보는 것은 매우 의미 있는 작업이다. 과거 우리나라의 경우 단아함과 지조가 미인의 필수 조건이었으나 현재는 자신만의 매력을 표현하는 것 또한 중요하게 여겨진다. 이처럼 미인에 대한 기준은 시대와 문화에 따라 다양하게 정의되며, 고대 미인의 특징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문헌 자료를 통한 분석이 필요하다.
《향렴집》은 당대의 상층 문인들이 남녀 간의 연정을 묘사한 작품집으로, 당시 미인의 모습을 잘 보여준다. 이 작품집을 통해 고대 미인의 외모와 의복, 태도 등을 살펴봄으로써 과거 중국의 독특한 미의식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현재의 미인 기준과 비교하여 시대에 따른 변화상을 파악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2. 《향렴집》 소개
《향렴집》은 당나라시대에 태어난 한악이라는 사람이 쓴 책으로, 자신의 시를 포함하여 남녀간의 연정을 그린 작품들을 모아 편집한 뒤 저술한 작품집이다. 이 책이 쓰일 당시에는 남녀간의 애정이나 아름다운 여성에 대한 추구라는 주제가 전통문학인 시에서 표현되기 어려웠는데, 《향렴집》에는 상층문인들의 억제된 욕망이나 성적 이상이 잘 나타나있다. 미인에 대한 사전적 의미를 살펴보면 미인이란 아름다운 사람을 가리키는 말로, 남녀 모두에게 쓸 수도 있는 말이지만 일반적으로 여성에게 쓰이는 것을 알 수 있다. 과거에는 가느다란 눈, 둥근 얼굴, 넓은 이마, 둥근 코, 작고 붉은 입술 등이 미인의 필수조건이었으나, 현대에 와서는 갸름한 얼굴, 쌍꺼풀, 큰 눈, 높은 코 등이 미인의 기준이 되었다는 것 또한 알 수 있다. 외국의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건강미를 중요하게 생각하여 풍만한 여성이 다산과 풍요의 상징으로 미인의 기준이 되거나, 작은 가슴과 하얀 피부의 여성이 미인이 되는 등 미의 기준은 시대나 지역에 따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