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전치태반 케이스 스터디
전치태반은 태반이 자궁 입구를 막고 있는 상태이다. 이는 원인이 불확실하지만, 과거 제왕절개로 분만한 경험이 있는 임부, 다산부, 다태임신, 35세 이상의 노임부, 이전 전치태반 병력, 터울이 짧은 경우, 아시아 인종 등이 위험요인으로 여겨지고 있다. 전치태반은 조산의 원인 중 하나이고, 이로 인해 태아의 미성숙을 유발하므로 조기에 진단하는 것이 중요하며, 전치태반으로 진단되면 임신 중의 대책과 출산에 대한 대비가 필요하다. 따라서 이번 사례연구의 대상자를 35세 임부인 김OO 님으로 선정하게 되었고, 전치태반의 원인, 증상, 치료 방법 등을 파악하고 이에 따른 적절한 간호 중재를 제공하기 위해 case study를 시행하였다.
1.2. 연구 기간 및 방법
연구 기간은 2023년 9월 27일부터 입원기간 동안 진행되었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36세 산모 김OO 님으로, 00대학교 병원 분만실에서 관찰 및 자료 수집을 진행하였다. 대상자와의 대화, 관찰, EMR을 통한 차트 확인, 임상병리 결과 조회 등의 방법을 활용하여 정보를 수집하였다. 또한 간호과정과 비판적 사고, NANDA 간호진단과 중재 가이드, 여성 간호학 교재 등을 참고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기간 동안 대상자의 활력징후와 통증, 오심, 체액 균형 등을 주기적으로 사정하였다. 수술 부위 상태와 회음부 상태 등을 매일 관찰하였으며, 대상자의 자가간호 능력과 가족의 지지 정도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대상자의 건강 문제를 파악하고 적절한 간호 중재를 제공할 수 있었다.
1.3. 문헌 고찰
1.3.1. 여성의 생식기 구조
여성의 외생식기는 불두덩, 대음순, 소음순, 음핵, 질전정, 회음으로 구성된다. 이 중 불두덩은 피부로 덮인 융기된 부분으로 성관계 시 치골결합을 보호한다. 대음순은 피부로 덮인 2개의 지방조직 주름이며, 소음순은 대음순의 내측에 있는 2개의 판상 주름이다. 음핵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