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직장탈출증"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문헌고찰
1.1. Rectal prolapse
1.1.1. 정의
1.1.2. 원인
1.1.3. 진단
1.1.4. 증상
1.1.5. 검사
1.1.6. 치료
1.1.7. 경과/합병증
2. 기본정보
2.1. 간호력
2.2. 신체검진
2.3. 검사소견
2.4. 투약
2.5. 의사지시서
2.6. 마취전기록
2.7. 수술 전 처치 및 간호 상태 확인
2.8. 수술 중 간호기록
2.9. 회복실 기록지
2.10. 회복상태관찰
3. 간호과정
3.1. 수술과 관련된 급성통증
3.2. 수술과 관련된 저체온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문헌고찰
1.1. Rectal prolapse
1.1.1. 정의
직장 탈출증(rectal prolapse)이란 항문을 통해 직장 전벽이 탈출된 상태를 말한다. 이는 대장의 중첩증에 의해 발생하며, 고대 이집트 파피루스에서도 그 기록을 찾아볼 수 있다. 흔히 말하는 탈항은 항문 밖으로 점막이 나온 경우와 치핵, 직장 전층이 나온 경우를 포함하는데, 점막만 탈출된 경우를 부분 탈출증 또는 점막 탈출증이라 한다. 완전 탈출증은 근육층을 포함한 직장 전층이 밀려 나온 상태로, 점막 탈출증이나 치핵과 구분된다. 완전 탈출증의 경우 밖에서 보면 직장이 뒤집어져 튀어나와 두꺼운 동심성 과녁모양의 주름을 이루고 있다. 성인에게서 직장 탈출증은 부분 탈출증보다 완전 탈출증이 더 흔하며, 여자에게서 더 많이 발생한다. 50대 이후 여성에게서 가장 흔하고, 50% 이상이 70세 이상에서 나타나지만, 남자는 전 연령층에 걸쳐 균등하게 분포되어 있으며 오히려 20~30대에 더 많이 발생한다. 소아의 경우 생후 첫 1년 내에 가장 호발하고, 보통 3년 이내에 발생한다. 그러나 분만 후 직장 탈출증이 더 잘 발생하는지는 아직 확실하지 않다.직장 탈출증의 원인은 직장에서 시작되는 원주형의 장 중첩증 때문으로 설명된다. 이를 유발하는 인자로는 만성 변비, 대장 무기력증 등을 들 수 있으며, 과민성 대장 증후군, 오랜 기간의 과도한 배변 시 긴장, 임신, 산과적 외상의 기왕력, 마미증후군, 척추 이분증 등이 부가적인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1.1.2. 원인
직장탈출증의 가장 큰 원인은 직장에서 시작되는 원주형의 장 중첩증이다. 이러한 상태를 유발하는 인자로는 만성변비와 대장 무기력증 등을 들 수 있다. 그 외에도 과민성 대장 증후군, 오랜 기간 동안의 과도한 배변 시 긴장, 임신, 산과적 외상의 기왕력, 마미증후군, 척추 이분증 등이 부가적인 원인 요인이 될 수 있다.
1.1.3. 진단
시진 검사 시 대부분의 환자에서 항문입구가 이완되어 있다. 환자로 하여금 웅크린 자세에서 대변 볼 때와 마찬가지로 힘을 주게 하면 직장이 탈출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동반질환인 치핵, 자궁탈출, 방광류 등도 함께 확인한다.
직장수지검사를 통해 직장 및 항문을 만져서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대부분의 경우 항문괄약근이 약화되어 있고, 근육을 수축시켜도 수축이 약하거나 없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동반된 직장종양이 있는지도 확인한다.
항문경 검사를 통해 치핵, 치열, 치루, 직장종양 등 동반된 항문직장질환을 확인할 수 있다.
대변을 보고 나서도 시원하지 않은 느낌이 들고 대변이 자주 마렵다는 증상은 직장탈출증의 흔한 증상이면서 동시에 직장암 또는 하부 대장암의 전형적인 증상이기도 하다. 따라서 에스결장경검사 또는 대장내시경 검사를 통해 악성질환과의 감별진단이 필요하다.
비디오 배변 조영술은 대변을 볼 때 골반 내에서 일어나는 동적인 변화를 알기 위한 검사로 직장탈출증 환자에서 대변 볼 때 나타나는 골반장기의 해부학적 구조 이상 소견을 확인하는 데 유용하다. 수술 전에 촬영하여 수술방법을 결정하는데 도움이 되며 수술 후 효과 판정에도 많은 도움이 된다.
이상의 검사를 통해 직장탈출증을 진단할 수 있다. 또한 동반되는 변실금이나 배변장애의 정도를 파악하여 수술 후 결과를 예측하고 치료효과를 판정하는 데 도움을 얻을 수 있다.
1.1.4. 증상
직장탈출증 환자들이 주로 호소하는 증상은 탈출된 직장으로 인한 문제와 동반된 배변 조절장애이다. 환자들은 대변을 볼 때 항문 밖으로 아기 주먹만 한 살덩어리가 튀어나온다는 호소를 한다. 오래 방치하는 경우에는 소변을 보거나, 기침, 걷기 등 복압이 약간만 올라가도 직장이 탈출된다. 또한 대변을 보고 나서도 시원하지 않은 느낌이 들고 자주 대변이 마려운 증상을 호소한다. 심한 경우에는 대변을 참을 수 없다는 증상을 호소한다.
이와 더불어 탈출된 직장에서 상당한 양의 점액 분비가 있어 항문이 미끈거리고 지저분해지며, 점막이나 항문주위 피부가 헐거나 항문이 심하게 가려울 수도 있다. 출혈은 동반된 치핵이나 직장이 탈출되면서 직장점막이 손상되어 생길 수 있다. 탈출된 직장이 심하게 부어올라 밀어 넣어도 들어가지 않는 경우도 있고 아주 드물게 직장이 터져버리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응급수술을 해야 한다. 이처럼 직장탈출증 환자들은 배뇨 및 배변과 관련된 다양한 증상을 호소한다.
1.1.5. 검사
직장탈출증 환자들의 대부분에서 항문입구가 이완되어 있다. 환자에게 웅크린 자세에서 대변을 볼 때와 같이 힘을 주게 하여 직장이 탈출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직장탈출증을 진단할 수 있다. 또한 동반되는 치핵, 자궁탈출, 방광류 등의 질환도 함께 확인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반복된 외상으로 인해 직장점막에 표재성 궤양이 있는지도 확인한다.
직장수지 검사
의사가 직장 내로 손가락을 넣어 직장 및 항문을 만져 검사하는 방법이다. 이를 통해 항문괄약근의 약화 정도와 수축 능력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동반된 직장종양의 유무도 확인할 수 있다.
항문직장에 발생할 수 있는 치핵, 치열, 치루, 직장종양 등의 동반 질환을 확인하기 위해 시행하는 검사이다.
대변을 보고 나서도 시원하지 않은 느낌과 자주 대변이 마려운 증상은 직장탈출증의 흔한 증상이지만, 동시에 직장암이나 하부 대장암의 전형적인 증상이기도 하다. 따라서 악성 질환과의 감별진단을 위해 필요한 검사이다.
비디오 배변 조영술
이 검사는 직장 탈출증 환자들에게 대변을 볼 때 나타나는 골반 장기의 해부학적 구조의 이상 소견을 확인하는데 매우 유용한 검사방법이...
참고 자료
제6판 성인간호학 상권, 현문사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국가건강정보포털 의학정보
권은옥 외 7명(1998), 회복실에서 정상체온 회복을 위한 피부 가온요법의 효과에 관한 연구, 임상간호연구, 제4권 1호, p97-113
최영희(1992), 수술 후 정상체온 회복을 위한 열요법에 관한 연구 [석사], 서울 : 이화여대 ; p.1-58
Hsiao-Chi Nieh & Shu-Fen Su(2016), Meta-analysis: effectiveness of forced-air warming for prevention ofperioperative hypothermia in surgical patients, Journal of Advanced Nursing 72(10), 2294-2314
간호진단과 이론적 근거, 최정신 외, 1996, 현문사
여성건강간호학2, 김혜원 외, 2011, 정담미디어
여성건강간호학II, 이경혜 외, 2014, 현문사
NANDA 간호진단과 중재 가이드, 차영남 외, 2013, 현문사
진단적 검사와 간호, 송미순 외, 2001, 현문사
대한산부인과학외(2010). 산부인과학 지침과 개요 둘째판. 서울 : 군자출판사
대한산부인과학회, 교과서편찬위원회(2008). 부인과학 제 4판. 서울 : 고려의학
김금순 외7명 <성인간호학1> 수문사 p301-p378
대한민국의 약 정보 센터 ( http://www.kimsonline.co.kr/)
송경애 외 12명 「기본간호학 상, 하」, 수문사 p253-p273
서울대학교 병원 의학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