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방통대 환경보건학개론 b"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원진레이온 이황화탄소 중독 사건의 배경
1.2. 사건의 사회적 의의
2. 본론
2.1. 사건의 경과
2.2. 원인 환경오염 물질 및 피해 발생 원리와 기전
2.3. 피해 현황
2.4. 교훈 및 사건 이후의 변화
3. 학교 급식실 조리사의 폐암 사례
3.1. 사건의 경과
3.2. 원인 물질 및 피해 발생 기전
3.3. 피해 현황
3.4. 교훈 및 사건 이후의 변화
4. 완속모래여과와 급속모래여과의 비교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원진레이온 이황화탄소 중독 사건의 배경
산업화가 급속히 진행되던 1970년~1980년 한국에서는 근로자들의 건강과 안전이 충분히 고려되지 않은 채 경제 성장이 우선시되었다. 이 시기 심각한 직업병 사건이 다수 발생했는데, 내가 선정한 사례는 원진레이온 공장에서 발생한 이황화탄소 중독 사건이다. 원진 레이온공장은 인견사(레이온)을 생산하던 업체였으며, 제조과정에서 이황화탄소(CS2)가 사용되었다. 당시 작업장에는 적절한 환기시설이나 보호장비가 제대로 갖추어져 있지 않았고, 근로자들은 독성물질에 대한 충분한 정보를 제공받지 못한 채 열악한 환경에서 계속 일을 했다. 시간이 지나며 근로자들에게 손발 저림, 기억력 저하, 불안, 우울, 운동장애, 심혈관계 질환 등의 증상이 나타나기 시작했다.
1.2. 사건의 사회적 의의
원진레이온 이황화탄소 중독 사건은 한국 사회에 직업병과 산업보건의 중요성을 일깨우는 계기가 되었다. 이 사건을 통해 산업화 과정에서 노동자 건강권이 쉽게 무시될 수 있다는 문제가 부각되었고, 이를 계기로 유해물질 관리와 작업환경 개선의 필요성이 사회적으로 인식되었다. 정부는 산업안전보건법과 산업재해보상보험법을 강화하고, 화학물질 취급 사업장에 대한 관리감독을 강화하는 정책을 추진하게 되었다. 또한 노동조합과 시민사회단체를 중심으로 작업장 안전과 직업병 예방을 위한 운동이 활발히 전개되었고, 직업병 피해자에 대한 지원과 치료를 위한 '원진녹색병원' 설립이 추진되었다. 이로써 이 사건은 과거의 아픔을 딛고 한국 사회가 노동자의 생명과 건강을 보다 적극적으로 보호하는 방향으로 나아가게 하는 중요한 전환점이 되었다. 이황화탄소 중독 사건은 단순한 개별 사고를 넘어, 산업화 시기 노동자 건강권 보장이 얼마나 미흡했는지를 보여주며, 이를 계기로 직업병 예방 체계 구축과 산업안전보건 정책이 강화되는 계기가 되었다.
2. 본론
2.1. 사건의 경과
원진레이온 공장은 인견사(레이온)을 생산하던 업체였으며, 제조과정에서 이황화탄소(CS2)가 사용되었다. 이때 생산량을 늘리기 위해 공정을 무리하게 가동했고, 근로자들은 장기간 동안 고농도의 이황화탄소에 노출되었다. 당시 작업장에는 적절한 환기시설이나 보호장비가 제대로 갖추어져 있지 않았고, 근로자들은 독성물질에 대한 충분한 정보를 제공받지 못한 채 열악한 환경에서 계속 일을 했다. 시간이 지나며 근로자들에게 손발 저림, 기억력 저하, 불안, 우울, 운동장애,...
참고 자료
황교련 (2021). 원진레이온 직업병”과 두 가지 과학적 삶: 이황화탄소 중독증의 인식 가능성과 판정을 둘러싼 논쟁을 중심으로. 과학기술학연구, 21(1), 128 – 162.
세이프티퍼스트 뉴스(2024), '대한민국을 뒤흔든 대형재난사고 13부 - 원진레이온 이황화탄소중독'. https://www.safety1st.news/news/articleView.html?idxno=6185&utm_source=chatgpt.com
이현숙 and 박진서. (2020). 1987년 최초의 환경성 질환으로 인정받은 상봉동 진폐증 사건과 원진 레이온 직업병 - 세상을 바꾼 의사 양길승의 회고. 생태환경과 역사, 6, 315-380.
KBS 뉴스(1991), '원진레이온 직업병 무관심'. https://news.kbs.co.kr/news/pc/view/view.do?ncd=3703935
권수열, 박동욱, 박지호, 윤병준, 이경무, 정영일, 한선기 (2023) 환경재난 사례로 배우는 환경보건. 방송통신대학교 출판문화원
권수열 외 (2017) 『환경보건학개론』. 한국방송통신대학교
김대호 (2011) 고도정수처리를 위한 Pilot-plant에서 모래여과와 막여과의 처리효율 비교 연구
손진상, 이종은 (1999) 안동시 상수원 관리현황과 개선방안. 安東開發硏究
이규성 2020 수질환경기사산업기사 시대고시기획
《2019년도 상생수 품질보고서》 (2019) 안동시 상수도관리사무소
안동공공하수처리시설. 안동시 시설관리공단
https://www.andongsisul.or.kr:452/coding/sub1/sub1.asp
용상1,2정수장. 안동시청 https://www.andong.go.kr/portal/contents.do?mId=0608010000
용상2정수장 [안동MBC뉴스] 안동시, 정수장 소독시설 계약 연기
2013.10.29 https://youtu.be/Val-qdSAidQ
‘여벌효과’ 위키피디아
https://ko.wikiversity.org/wiki/%EC%83%81%ED%95%98%EC%88%98%EB%8F%84_%EA%B3%B5%ED%95%99/%EC%A0%95%EC%88%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