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교과 교수-학습 지도안 개발
1.1. 단원 개관
이 단원은 학생들이 일상생활에서 접하게 되는 덧셈과 뺄셈 상황을 인식하고, 받아올림이 있는 덧셈과 받아내림이 있는 뺄셈의 계산 원리와 방법을 이해하여 결과를 알아보게 하는 데 목적이 있다. 학생들은 이 단원을 통해 덧셈과 뺄셈의 의미를 이해하고, 실생활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구체물 조작 활동, 수 모형 활용, 수 카드 계산 등 다양한 방법으로 연산의 원리를 익히고 실생활 문제에 적용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학생들은 수학적 사고력과 문제해결력을 기르고 상호작용하며 의사소통 능력을 기를 수 있게 된다. 이 단원은 받아올림(내림)이 있는 두 자리 수의 덧셈과 뺄셈으로 이어지는 수학 학습의 기초가 되는 중요한 단원이다. []
1.2. 단원 설정 이유
생활 속에서는 날짜나 시간, 금액, 인원수, 용량 등 덧셈이나 뺄셈을 필요로 하는 상황을 자주 접하게 된다. 즉, 덧셈과 뺄셈과 같은 연산 기능은 생활 속 문제 해결에 기본이 되는 중요한 학습 요소 중 하나이자 인지적 영역으로 보았을 때 수 개념을 형성하는 과정과 가장 밀접한 관계가 있다. 현 수업 대상 학생의 일부는 손가락이나 구체물, 그리고 이어 세기 등을 통해 받아올림이 없는 수의 합을 나타내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생활 속에서 경험하게 되는 덧셈에는 10 이상의 수, 또는 받아올림을 통해 합을 파악해야 하는 상황도 존재한다. 학생들이 학령기를 지나 지역사회에 참여했을 때 여러 문제 해결 과정에서 덧셈 기능이 필요한 상황에 직면했을 경우, 덧셈을 통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정보가 부족한 상태라면 지역사회에 참여하거나 덧셈 기능이 필요한 상황에서 적절히 해결하지 못해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다. 이 단원은 학생들의 수준을 고려하여 단순히 연산의 기능을 지도하기보다 학생들이 일상생활에서 충분히 관찰하고 경험하여 익숙해진 요소를 활용하여 덧셈 상황을 인지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1.3. 단원 목표
이 단원에서는 받아올림이 있는 덧셈과 받아내림이 있는 뺄셈의 계산 원리와 방법을 이해해 결과를 알아보게 한다. 또한 실생활 덧셈과 뺄셈 문제 상황을 이해해 식을 세우고 결과를 알아보게 한다.
1) 덧셈과 뺄셈 상황을 확인하고 덧셈과 뺄셈의 의미를 이해할 수 있다.
2) 받아올림이 있는 (몇)+(몇)의 계산 원리를 알고 계산할 수 있다.
3) 받아내림이 있는 (십 몇)-(몇)의 계산 원리를 알고 계산할 수 있다.
4) 덧셈, 뺄셈과 관련된 실생활 문장제를 읽고 알맞은 식을 세울 수 있다.
5) 생활 속의 덧셈과 뺄셈 문제에 관심을 가지고, 적극적으로 덧셈과 뺄셈 활동에 참여할 수 있다.
1.4. 단원의 구조도
[1.4. 단원의 구조도]
[6수학01-04] 받아올림(내림)이 없는 두 자리 수의 덧셈과 뺄셈이 이루어지는 실생활 장면에서 덧셈과 뺄셈의 의미를 이해한다. [6수학01-05] 합이 10이 되는 더하기를 하고 덧셈식으로 나타낸다. [6수학01-06] 피감수가 10인 빼기를 하고 뺄셈식으로 나타낸다. [6수학01-07] 받아올림(내림)이 없는 두 자리 수의 범위에서 두 수나 세 수의 덧셈과 뺄셈을 한다. [6수학01-08] 받아올림(내림)이 없는 두 자리 수의 덧셈, 뺄셈과 관련된 실생활 문제를 해결한다. 이러한 목표는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