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팥죽할멈과호랑이"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작품지도의 실제 팥죽할멈과 호랑이
1.1. 구연 및 읽기 동화 자료
1.2. 비언어 활동
1.2.1. 움직임 활동
1.2.2. 이미지 표현 활동
1.2.3. 소리(음향) 표현 활동
1.3. 언어 활동
1.4. 관련 활동
2. 그림책 분석
2.1. 달려 토토
2.1.1. 문학적 특징
2.1.2. 미술적 특징
2.2. 팥죽할멈과 호랑이
2.2.1. 문학적 특징
2.2.2. 미술적 특징
2.3. 알록달록 동물원
2.3.1. 문학적 특징
2.3.2. 미술적 특징
3. 반응 중심 문학 활동
3.1. 반응 중심 문학 교육 목적과 특징
3.2. 반응 중심 문학 활동 계획안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작품지도의 실제 팥죽할멈과 호랑이
1.1. 구연 및 읽기 동화 자료
옛날 어느 산골에 할머니가 혼자서 살았어요. 어느 날 할머니가 팥 밭을 매고 있는데 글쎄, 집채만한 호랑이가 산에서 내려오더니 "할멈, 할멈, 나하고 밭매기 내기하자. 할멈이 이기면 그만이고, 내가 이기면 할멈을 잡아먹고." 이러지 않겠어요? 호랑이가 억지를 써서 어쩔 수 없이 할머니는 밭매기 내기를 했어요. 하지만 호랑이가 그 큰 발톱으로 밭을 매 나가니 할머니는 따라갈 수 없었어요. 밭을 다 맨 호랑이가 입을 딱 벌리고 "내가 이겼으니까 잡아먹어야지." "아이고 호랑아, 내가 이 팥 밭 매느라 무진 고생했는데, 이 팥을 다 키워서 팥죽이나 쑤어놓거든 잡아먹어라." 호랑이가 가만 생각하니 그러면 팥죽도 빼앗아 먹고 할머니도 잡아먹고 좋지 않겠어요? 그래서 호랑이는 그러자하고 산으로 올라갔어요. 할머니가 팥을 다 가꾸어서 거두고 있는데 호랑이가 내려왔어요. "할멈 잡아먹으러 왔다." "이 팥을 거두어서 팥죽이나 쑤어 놓거든 잡아먹어라." 호랑이는 팥죽 먹을 욕심으로 다시 산으로 돌아갔어요. 할머니가 팥을 다 거두어서 키(곡식 껍질을 바람에 날려 보내는 틀)에 담아 까부는데 호랑이가 찾아왔어요. "할멈 잡아먹으러 왔다." "그래, 이 팥을 다 까불어서 내일 저녁에 팥죽 쑤어 놓거든 와서 잡아먹어라." 그래서 호랑이는 또 그냥 돌아갔어요. 이튼날 할머니가 팥죽을 쑤어서 한 동이 퍼놓고는 앉아서 울고 있는데 달걀이 데굴데굴 굴러와 "할멈, 할멈, 왜 울우?" "오늘 저녁에 호랑이한테 잡아먹히게 돼서 운다." "팥죽 한 그릇 주면 내 당하지." 그래서 팥죽 한 그릇을 줬어요. 팥죽을 먹은 달걀은 부엌 아궁이로 갔어요. 할머니가 또 엉엉 울고 있는데 자라가 엉금엉금 기어와 "할멈, 할멈, 왜 울우?" "오늘 저녁에 호랑이한테 죽게 돼서 운다." "팥죽 한 그릇 주면 내 나서지." 그래서 또 팥죽 한 그릇을 줬어요. 자라는 팥죽을 먹고 물두멍(물을 길러 담아두는 큰 항아리)에 들어갔어요. 할머니가 또 엉엉 울고 있는데 맷돌이 왈캉달캉 굴러와 "할멈, 할멈, 왜 울우?" "오늘 저녁에 똑 죽게 돼서 운다." "팥죽 한 그릇 주면 내 맞서지." 할머니는 팥죽을 또 한 그릇 줬어요. 팥죽 먹은 맷돌은 부엌 천장으로 가 매달렸어요. 할머니가 또 엉엉 울고 있는데 송곳이 팔딱팔딱 뛰어와 "할멈, 할멈, 왜 울우?" "오늘 저녁에 죽게 돼서 운다." "팥죽 한 그릇 주면 내 거들지." 또 줬더니 송곳은 부엌 바닥으로 가 섰어요. 이번에는 망석이 둘둘 굴러와 "할멈, 할멈, 왜 울우?" "오늘 저녁에 죽게 돼서 운다." "팥죽 한 그릇 주면 내 도와주지." 또 주니까 멍석은 마당가에 가 누웠어요. 그러고 나니 지게가 어쩡어쩡 걸어와 "할멈, 할멈, 왜 울우?" "죽게 돼서 운다." "팥죽 한 그릇 주면 내 살려주지." 그래서 남은 팥죽 한 그릇을 퍼주었더니 지게는 대문간으로 갔어요. 할머니가 방에 앉아 있는데 호랑이가 썩 들어왔어요. 근데 불이 뚝 꺼지지 않겠어요? 호랑이는 불을 밝히려고 아궁이로 갔어요. 그 때 아궁이 속에 있던 달걀이 탁 튀어나와 호랑이 눈을 때렸어요. "앗 뜨거, 앗 뜨거!" 호랑이가 눈을 씻으려고 물두멍에 손을 넣었더니 이번에는 자라가 손을 꽉 물었어요. "아이고 아야, 아이고 아야!" 그 때 천장에서 맷돌이 뚝 떨어지면서 호랑이 머리를 내리쳤어요. 호랑이가 "아이쿠!"하고 주저앉으니까 바닥에 서있던 송곳이 엉덩이를 찌르고 마당가의 멍석이 호랑이를 뚜르르 말았어요. 그리고 지게가 와서 호랑이를 짊어지고 갔어요. 그래서 할머니는 팥 밭을 계속 일구면서 오래오래 살았어요.
1.2. 비언어 활동
1.2.1. 움직임 활동
(1) 일인 활동
▶ 일인 팬터마임
▷ 달걀이 팥죽을 먹는다면, 어떠한 모습으로 먹는지 팬터마임으로 표현해 보자.
달걀이 팥죽을 먹을 때는 작은 크기 때문에 한 입에 다 집어넣어 먹어야 할 것이다. 작은 몸을 구부리고 팥죽을 조심스럽게 움켜쥐어 입으로 가져가며 맛있게 먹는 모습을 팬터마임으로 표현할 수 있다"
▷ 송곳이 팥죽을 먹을 때 어떤 점이 곤란할지 팬터마임으로 표현해 보자.
송곳은 뾰족한 형태 때문에 팥죽을 담기 어려워 팥죽을 아래로 떨어뜨리거나 흘리는 모습을 팬터마임으로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뾰족한 송곳으로는 팥죽을 품격 있게 먹기 힘들어 보이므로 불편해하며 먹는 모습을 표현할 수 있다."
▷ 호랑이는 할머니를 잡아먹으려고 하다가 팥죽을 먹기 위해 할머니가 팥죽을 다 쓴 다음 할머니에게 가기로 한다. 할머니에게 찾아가는 순간을 기다리면서 호랑이는 어떻게 시간을 보내고 있을지 상상하여 표현해 보자.
호랑이는 할머니가 팥죽을 다 먹을 때까지 참을성 있게 기다리다가 할머니가 팥죽을 다 쓰는 것을 보고 즐겁게 기다리는 모습을 표현할 수 있다. 시간이 지나면서 점점 배가 고파지는 호랑이는 침을 삼키며 기다리다가 마침내 할머니에게 가는 모습을 팬터마임으로 보여줄 수 있다."
▷ 할머니는 호랑이와 밭매기 내기를 하고 있다. 할머니는 이 내기에서 이겨야만 한다. 밭을 매는 할머니를 팬터마임으로 표현해 보자.
할머니는 호미를 힘차게 휘둘러 밭을 열심히 매는 모습을 표현할 수 있다. 호랑이에게 지지 않으려고 온 힘을 다해 밭을 갈아엎는 모습을 보여줌으로써 할머니의 필사적인 모습을 나타낼 수 있다."
▶ 해설이 있는 무언극
▷ 여러분은 할머니의 집 아궁이에 있는 달걀이다. 몸을 뜨겁게 하여 호랑이의 눈을 맞추려고 준비 중이다. 아궁이 속의 온도가 점점 올라가고 있다. 몸을 골고루 잘 데워 보아라. 데우는 중에 너무 뜨겁다면 자세를 다시 잡으면서 몸을 식혀라. 좋다. 지금 호랑이가 오고 있다. 뛰어 나갈 준비를 한다.
달걀은 아궁이의 뜨거운 열기 속에서 점점 몸을 데우다가 호랑이가 다가오자 힘차게 튀어나가 호랑이의 눈을 때리는 모습을 표현하는 것이다. 이때 해설자의 구술이 동작을 이끌어갈 수 있도록 한다."
▶ 빠른 움직임 팬터마임
▷ 여러분은 멍석이다. 호랑이가 송곳에 찔리는 순간 호랑이가 도망가지 못하도록 빠르게 호랑이를 말아야 한다. 송곳에 찔린 호랑이가 집밖으로 달려 나가려고 한다. 음악을 틀면 달려 나가려는 호랑이를 뚜르르 마는 동작을 빠르게 해 보...
참고 자료
선주원 저, 아동문학교육론, 박이정 2013
이성훈 저, 동화론, 건국대학교출판부 2014
이성훈 저, 아동교육매체로서 동화, 건국대학교출판부 2014
이송은 저, 유아 문학교육의 이론과 실제, 창지사 2013
장영희 저, 아동문학교육의 이론과 실제, 공동체 2015
박선희, 김현희 공저, 아동문학 (2020),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박선희, 아동문학 멀티미디어 강의 11 , UKNOU 캠퍼스
고대영, 그림책으로 행복해지기 중 일부 내용 참고
박혜인. 2020 "만 4세 유아의 상상력 발달을 위한 환상 동화 그림책 읽기 실행연구." 국내 석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서울
박선희, 김 허의 공저 아동문학 KNOUPRESS 한국방송통신대학교 교재
보리출판사 www.boribook.com/books/57 책소개 인용
성미영 외. 2016 아동문학 교육 출판사 학지사
신현재, 권력준, 곽 춘 옥 2009; 03; 26 아동문학의 이해 (P.196~202)
엄격·근엄·진지 http://www.childbook.org/notes/0102/12.html 내용 부분 인용
2019 개정 누리과정 사회관계 영역 -국가 법령 정보센터 https://www.law.go.kr
『팥죽할멈과 호랑이』, 1997 서정도 저/ 박경진 그림, 출판사 보리
『도서관 생쥐 』,2007 다니엘 꼭지 글, 그림 /신우석 역 푸른 날개
『강아지똥』 ,2014 권정생 저/ 정승 각 그림 길벗 어린이
『지각 대장 샘』 ,2018 이루리 글/ 주앙 바츠 드 카발류 그림 북극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