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급성호흡부전은 폐의 가스교환 기능이 급격히 저하되어 발생하는 생명을 위협하는 중대한 상황이다. 이는 폐포와 모세혈관 사이의 가스 교환 장애에 의해 혈액 내 산소 농도가 낮아지고 이산화탄소 배출이 어려워져 발생한다. 폐 외상, 폐렴, 급성 호흡 곤란 증후군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으며, 신속한 진단과 적절한 치료가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사망으로 이어질 수 있다. 따라서 급성호흡부전의 정의와 원인, 병태생리, 진단 방법, 임상 증상, 그리고 치료 및 간호 방법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이를 통해 효과적인 환자 관리와 예후 개선을 도모할 수 있을 것이다. []
2. 문헌고찰
2.1. 급성호흡부전의 정의 및 원인
급성호흡부전은 폐포 내의 가스와 폐 모세혈관의 혈액 간 산소 및 이산화탄소의 교환장애가 급성으로 발생한 상태이다. 이는 크게 저산소혈성호흡부전, 고탄산혈성호흡부전, 그리고 환기와 산소화 부전의 혼합으로 나눌 수 있다.
저산소혈성호흡부전의 원인에는 급성 폐 외상, 급성 성인 호흡장애증후군, 기흉 등이 있다. 고탄산혈성호흡부전은 과진정, 비만, 횡경막 피로 등으로 인해 발생한다. 또한 경추 손상, Guillain-Barre syndrome, 중증근무력증 등의 신경계 장애로 인한 호흡중추 결함도 급성호흡부전을 유발할 수 있다.
이처럼 급성호흡부전은 폐나 흉벽의 구조적 이상, 뇌의 호흡조절 기능장애, 호흡근의 기능저하 등 다양한 요인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다. 이로 인해 환기 부전이 발생하면 폐포로 들어가는 산소가 불충분하고 이산화탄소는 배출되지 못하게 되며, 산소화 부전이 발생하면 가스교환이 원활하지 않아 저산소혈증이 나타나게 된다.
2.2. 급성호흡부전의 병태생리
급성호흡부전의 병태생리이다.
환기 부전은 폐나 흉벽의 구조장애, 뇌의 호흡조절중추 결함, 호흡근의 기능장애 등으로 인해 폐로 공기가 들어가고 나가도록 하는 흉곽내압이 적절하게 변화하지 못하는 상태이다.이에 따라 폐포에 들어오는 산소가 충분하지 못하고 탄산가스는 남아있게 된다.
산소화 부전은 흉곽압은 정상이고 폐가 공기를 충분히 이동시킬 수 있으나 폐순환이 적절하지 못하여 가스교환이 불충분한 상태이다.즉, 환기는 정상이나 관류가 비정상적인 환기-관류 불균형 상태이다.
환기와 산소화 부전이 혼재된 상태는 폐포-모세혈관막에서의 가스교환이 부적절하여 혈액에 도달하는 산소가 적고 이산화탄소는 배출되지 못하고 남는 상태이다.이 경우 환기부전 또는 산소화 부전 단독보다 더 심한 저산소혈증을 유발한다.
2.3. 진단검사
ABGA 검사에서 pH와 PaCO2는 정상 범위에 있으나, PaO2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저산소혈증을 의미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PFT 검사 결과 남은공기량 증가, 폐활량과 1초 노력날숨폐활량 감소, 1초 노력날숨폐활량/노력폐활량 감소 등 폐기능 저하를 보여주고 있다. 혈액검사 상 빈혈 소견이 있으며, CRP 수치가 높아 감염이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이외 전해질과 기타 검사 항목은 대체로 정상 범위를 유지하고 있다. 요 검사에서는 낮은 요비중과 정상범위의 소견을 보이고 있다. 전반적으로 검사 결과는 급성호흡부전과 관련된 다양한 이상 소견들을 나타내고 있다고 할 수 있다.
2.4. 증상
호흡곤란, 빈호흡, 호흡 시 보조근육 사용, 우발음(악설음, 수포음, 천명음), 호흡음 감소, 흡기, 호기 시 협착음, 기침, 분비물 증가, 좌식호흡이다.
불안, 혼돈, 지남력 상실, 각성 어려움, 졸리움(고탄산혈성 호흡부전), 근육 연축(muscle twitching)이다.
빈맥, 부정맥(심실 변위), 발한, 고혈압 또는 저혈압이다.
폐침윤, 무기폐, 기흉이다.
2.5. 치료 및 간호
산소요법으로 SaO2를 90% 이상, 동맥혈 산소분압을 60mmHg 이상으로 유지한다. 유지가 안 될 경우 기계적 환기를 시행한다. 대상자가 호흡하기 편안한 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돕는다. 이완술, 유도 심상법, 기분전환법과 같은 간호를 제공하여 호흡곤란과 관련된 불안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