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문화예술교육의 의의와 특징
1.1. 감각기관과 소통에 기반한 문화예술교육
감각기관과 소통에 기반한 문화예술교육은 타 교과목과 융합 및 복합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개인의 감각기관은 환경의 변화에 적응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하며, 다양한 자극을 받아들일 수 있게 한다. 감각기관을 이용한 문화예술교육은 외부적인 자극을 활용하여 예술교육의 측면에서 활용할 수 있다. 이러한 감각은 언어를 포함한 다양한 문화예술로 표현될 수 있기에 교육적으로 활용이 무궁무진하다. 감각에 대한 느낌을 실제로 표현하는 활동을 통하여 학습자는 감각에 대한 구체적인 인식이 가능하며, 이를 교육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일반적인 교과목은 해당 교육의 목적에 따라 구체적인 교육 목표와 내용을 가지고 있으며, 문화예술교육은 학습자가 교육 목표를 보다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문화예술교육이 융합된 교과목은 감각기관을 통한 자극이 가능하며, 그러한 자극을 교육적 내용과 함께 체화할 수 있고, 새로운 문화예술의 차원에서 표현할 수 있다.
1.2. 다른 교과목과의 융합 및 복합
다른 교과목과의 융합 및 복합은 문화예술교육의 주요한 특징이다. 문화예술교육은 타 교과목과 연계되어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는데, 특히 감각기관을 활용한 교육방식은 교육의 효과성을 높일 수 있다. 감각기관을 통해 받아들인 자극은 단순한 감각을 넘어 언어, 표현 등 다양한 문화예술 활동으로 이어질 수 있다. 이를 통해 학습자는 보다 구체적이고 체화된 인식을 할 수 있으며, 이를 교육에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일반적인 교과목의 경우 해당 교육 목표를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도록 문화예술교육이 융합될 수 있다. 문화예술교육이 통합된 교과목은 감각기관을 통한 자극을 교육 내용에 결합하여 체험할 수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새로운 형태의 문화예술을 창출해낼 수 있다. 이처럼 문화예술교육은 다른 교과목과의 융합 및 복합을 통해 교육의 효과성을 높이고, 학습자의 폭넓은 경험과 표현 역량을 기를 수 있다.
1.3. 영국 슈타이너 학교의 예술 교육
영국 슈타이너 학교의 예술 교육은 루돌프 슈타이너의 발도르프 교육 철학을 기반으로 한다. 슈타이너는 인간이 육체, 정신, 영혼으로 이루어져 있다고 보았기 때문에 발달 단계에 따라 다양한 예술 교육을 실시한다.
7세까지의 유아기에는 의지의 발달이 중요하므로 몸과 손가락을 많이 사용하는 교육을 한다. 14세까지의 청소년기에는 감정이 발달하는 시기이므로 예술을 통한 교육에 중점을 둔다. 21세까지의 성인 초기에는 이성적 사고 발달을 위해 논리적 교육과 수학적 사고 계발에 초점을 맞춘다.
슈타이너 학교의 학생들은 다양한 예술 활동을 통해 창의성과 자기 표현 능력을 기를 수 있다. 또한 관찰과 활동을 병행하여 학습 기술과 자기 통제력을 습득한다. 이러한 교육과정을 거친 학생들은 타 학교 학생들에 비해 창조성과 자기 표현 가능성이 더 높다.
2. 예술 개념의 범주와 특성
2.1. 개인적 범주
예술 작품은 예술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