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1.1. 연구 필요성
추간판 탈출증은 목 디스크, 뇌졸중과 유사한 증상을 보이는 질환이다. 서서히 진행되고 증상이 다양하므로 다른 질환으로 오인되어 진단이 늦춰지면 심각한 신경 손상으로 이어질 수 있다. 최근 일자목 자세로 스마트폰이나 모니터를 보는 현대인들과 노년 인구의 증가로 추간판 탈출증 환자가 지속적으로 늘어나는 추세이다. 따라서 이 질환에 대한 이해와 조기 치료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대상자에게 적합한 간호 진단과 중재를 제공하기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
1.2. 연구 목적
연구의 목적은 추간판탈출증 환자의 효과적인 간호 관리를 위해 질병의 정의, 원인 및 위험 요인, 병태생리, 증상 및 징후, 진단 방법, 치료 방법, 간호 중재 등을 포괄적으로 살펴보는 것이다. 추간판탈출증은 척추 추간판의 이상으로 인해 신경이 압박을 받아 발생하는 질환으로, 장기간 방치할 경우 심각한 신경 손상을 일으킬 수 있다. 따라서 추간판탈출증에 대한 이해와 적절한 간호 관리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이를 바탕으로 대상자에게 적합한 간호 진단과 중재를 제공하고자 한다.
2. 본론
2.1. 추간판탈출증의 정의
추간판탈출증이란 척추뼈 사이에 있는 추간판이 파열되어 밖으로 튀어나오는 것이다. 추간판이 파열되면 주변의 신경을 압박하여 통증, 운동 장애, 감각 장애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추간판탈출증은 대표적인 척추 질환으로 흔히 발생하며, 부적절한 자세와 일자 목 등으로 인한 디스크 돌출 등의 원인으로 척수가 지나가는 관이 좁아져 발생한다. 서서히 진행되고 증상이 뇌졸중, 목 디스크와 비슷해 다른 질환으로 오인되어 진단이 늦어지면 심각한 신경 손상에 의한 하반신 마비까지 발생할 수 있는 질환이다. 최근 조사된 유병률은 없지만, 국민건강보험공단의 건강보험 빅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2011년부터 2016년까지 경추 질환으로 진료받은 전체인원은 2011년 239만7000명에서 2016년 269만6000명으로 늘어 연평균 2.4% 증가했다.
2.2. 원인 및 위험 요인
추간판 탈출증의 원인 및 위험 요인은 다음과 같다.
경추간판 탈출증은 척추뼈 사이에 있는 '디스크(추간판)'에 무리한 힘이 가해져서 밖으로 돌출되어 주변의 신경을 압박하는 질환이다. 후종인대 골화증은 척추 뒤쪽의 인대가 뼈처럼 단단하게 굳어져 척추관을 좁아지게 하는 질환이다. 황색인대 골화증은 척추 뒤쪽의 노란색 인대가 석회화되어 두꺼워져 척수신경을 압박하는 질환이다. 경추관 협착증은 척추관이 노화나 반복적인 사용으로 인해 좁아지는 질환이다. 이러한 원인들로 인해 척수가 압박을 받게 되어 추간판탈출증이 발생한다.
즉, 노화에 따른 디스크의 퇴행과 추간판 탈출, 후종인대 및 황색인대의 석회화, 경추관의 협착 등이 추간판 탈출증의 주된 원인이자 위험 요인이라 할 수 있다. 이 외에도 부적절한 자세, 일자목 등도 추간판 탈출증의 위험 요인이 된다.
2.3. 병태생리
주로 디스크의 노화에 의한 퇴행성 질환으로 추간판 탈출증, 후종인대 골화증, 황색인대 골화증, 경추관 협착증 등의 원인으로 척수가 압박을 받는다. 7개의 뼈와 디스크로 이루어진 경추 중심에는 척수가 지나고 있다. 척수는 뇌와 말초신경의 중간다리 역할을 하는 신경계로 운동, 감각신경을 담당하는 곳이자 일부 자율신경을 담당하는 곳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