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대전과기대"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대학생에게 기업분석과 전략이 필요한 이유
2. 본론1 - 기업분석의 방법 소개 / '단국대병원' 기업분석
2.1. 기업분석의 방법은 무엇이 있는가?
2.2. '단국대병원'의 기업분석
3. 본론2 - '단국대병원' 이력서 및 자기소개서
4. 결론 - 취업의 관점을 옮겨라! : '나' 중심에서 '기업' 중심으로!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대학생에게 기업분석과 전략이 필요한 이유
대학생에게 기업분석과 전략이 필요한 이유는 취업 준비 시간이 한정되어 있지만, 잘못된 목표 설정으로 시간을 허비하는 실수를 저지르곤 하기 때문이다. 조직문화의 이해를 간과하거나 요구역량을 벤치마킹하지 못해 취업 실패의 고배를 마시기도 한다. 따라서 취업성공을 위해서는 '기업분석', '연계', '적합성'에 주목해야 한다. 이는 단순 스펙싸움이 아니라 기업의 문화를 이해하고 성과를 낼 수 있는 역량을 갖춰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2. 본론1 - 기업분석의 방법 소개 / '단국대병원' 기업분석
2.1. 기업분석의 방법은 무엇이 있는가?
기업분석의 방법은 크게 3가지가 있다. 첫째, '조직문화' 분석이다. 이는 조직 구성원이 공유하는 가치관, 신념, 사고방식, 행동양식, 규범, 관습의 총체를 의미하며, 불변하는 사명론적 성질을 가진다. 기업의 '경영이념', '핵심가치', '인재상'에 집중하고 '행동양식'을 관찰하여 조직문화 유형을 파악한다. 둘째, '경영환경' 분석이다. 기업 경영활동에 직접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경제적·기술적·사회문화적·정치법률적·윤리적·자연적 요인들을 분석한다. 기업 홈페이지 투자정보, 3C분석, FAW분석, 5대 경쟁요인 분석 등을 통해 기업 외부환경을 파악한다. 셋째, '요구역량' 분석이다. 해당 기업이 실제 업무에서 성과를 내기 위해 필요한 직무수행능력을 말한다. 공통역량, 직무역량, 리더십역량으로 구분하여 기업이 요구하는 역량을 분석한다. 이처럼 기업분석은 조직문화, 경영환경, 요구역량의 3가지 핵심 요소를 중심으로 이루어진다.
2.2. '단국대병원'의 기업분석
단국대병원은 충청남도 유일의 권역외상센터를 보유하고 있으며, 우수한 전문의료기술과 장비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 특색 있는 환자중심의 의료환경 조성에 힘쓰고 있다. 그러나 4차 산업기술에 대한 대비가 상대적으로 부족하며, 의료인의 매너리즘과 고객 서비스 질 저하가 나타나고 있다.
단국대병원의 조직문화는 주로 규정과 절차를 중시하는 위계지향적 문화를 지향한다. 불확실성 회피 경향이 강하고 안정성을 중시하지만, 최근 이런 문화가 급변하는 환경 대응에 적절치 못하다고 판단하여, 조직몰입증진과 인적자원의 개발에 역점을 두고 있다. 현재 간호조직은 내부지향/통합, 유연성/자율성을 지향하는 관계지향 문화를 강조하고 있다.
경영환경 분석 결과, 단국대병원은 고령화와 저출산의 영향으로 인한 건강염려와 의료 수요 증가, 포스트코로나 시대의 변화, 4차 산업혁명의 기술 발전 등에 대응해야 하는 상황이다. 특히 외국인 의료관광 시장 유치 및 해외진출을 위한 노력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요구 역량 분석 결과, 단국대병원은 간호사에게 공통 역량, 직무 역량, 리더십 역량을 모두 강조하며, 특히 실질적인 직무능력과 인성을 가장 높이 평가하고 있다. 이를 토대로 이력서와 자기소개서 작성, 면접 등에서 요구하는 역량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종합적으로, 단국대병원은 변화하는 의료 환경 속에서 경쟁력 확보를 위해 4차 산업혁명 기술 대응, 고객 서비스 질 향상, 간호 인력 관리 등의 과제를 해결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3. 본론2 - '단국대병원' 이력서 및 자기소개서
미래의 내 이력서에서 강조할 점은 '높은 전문성과 직무능력', '신의, 원칙, 변화를 중시하는 인성', '소통, 공감, 촉진의 리더십'이다.
따라서 나는 4.0의 학점을 유지할 것이고, 지원부서와 연관성이 있는 '호...
참고 자료
비전B&P, 이범상, 2014, 『기업분석으로 통하는 취업의 정석』
단국대학교 홈페이지, 19-06-27게시, 『신규간호사 모집 공고-‘응시지원서’』
단국대학교 홈페이지, 『병원소개-‘병원소개’, ‘병원장인사말’, ‘미션&비전’, ‘주요현황’, ‘20년사’』
강순정, 『병원간호사의 관계지향 간호조직문화와 이직의도 간의 관계에 있어서 임파워먼트,
직무 스트레스, 조직몰입의 매개효과』, 간호행정학회지 제19권 제3호(2013)
박병태, 『국내 보건의료환경 변화와 병원경영 인사이트』, 병원경영학회지 제22권 제1호(2017)
행정안전부, 2020년 10월, 『주민등록인구현황』
한국고용정보원, 2019년 상반기, 『고용허가제 고용동향(외국인근로자 수)』
중앙일보, 한애란 기자, 2018-04-18수정, 『위기 몰린 머스크 반성문 “과도한 공장 자동화는 실수였다”』
하이닥, 최은경 건강의학기자, 2015-12-07수정, 『이것만 알아도 편하다! 병원 초보에게 어려운 ‘병원 용어’』
헬스조선 뉴스, 김현정 편집장, 2014-11-11수정, 『간호사의 잦은 라운딩 필요 없는 ‘미래의 입원실’』
네이버 블로그, 작성자 아이디어 래빗’, 2020-03-29수정, 『간호사 업무를 도와줄 수 있는 똑똑한 로봇 'Moxi'』,
https://m.post.naver.com/viewer/postView.nhn?volumeNo=27854326&memberNo=339226
건강보험심사평가원, 2012-12수정,『수가제도개요』
최재원, 2010,『의료산업 과거와 현재』
현문사, Beth Perry Black저(홍은영 외 13인 엮음), 2017,『간호학개론』(8판)
산업연구원, 2017, 스마트헬스케어 산업 2017]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2020, 2020년 신개발 의료기기 전망 분석 보고서
산업통상자원부, 2015,『스마트 헬스케어산업 활성화 방안』
통계청, 2019,『장래인구특별추계:2017~2067년』
한국보건산업진흥원, 2018,『2017.11 국민보건의료실태조사』
한국보건산업진흥원, 2018,『2018 외국인환자 유치실적 통계분석보고서』
보건복지부, 2019,『OECD Health Statistics 2019』
보건복지부, 2019, 『보건복지통계연보』
보건의료빅데이터개방시스템, 2019,‘의료정보통계-주요의료통계-총진료비 현황’
한국고용정보원, 2017, ‘기술변화에 따른 일자리 영향 연구’
약학정보원, 약학정보원 학술정보센터, 「[PHARM REVIEW] 코로나바이러스의 이해」
한국 위키피디아, 「SARS-CoV-2」, 2021-02-03 수정, https://ko.wikipedia.org/wiki/SARS-CoV-2#%EA%B3%84%ED%86%B5%ED%95%99%EA%B3%BC_%EB%B6%84%EB%A5%98%ED%95%99
BIOSECTATOR, 「첫 전사체 분석 ‘사스코로나바이러스-2’의 주요 특징은」, 2020-04-10 게시, 장종원 기자, http://m.biospectator.com/view/news_view.php?varAtcId=10040
동아사이언스, 「코로나19 일으키는 바이러스는 어떻게 증식할까...게놈 총정리」, 윤신영기자, 2020-04-17 게시, http://dongascience.donga.com/news.php?idx=36029
Margaret H. Manning rodriguez, 「미생물과 감염관리(2판)」, 정담미디어(20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