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가족조각법"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사티어의 경험적 가족치료 모델
2.1. 모델의 세계관과 기본 전제
2.2. 주요 개념과 개입 기법
3. 가족조각
3.1. 개념 및 활용 목적
3.2. 가족조각의 실연 과정
4. 가족조각 활용 사례
4.1. 갈등을 겪는 부부의 상담 사례
5. 결론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가족상담 및 치료에 대한 공부를 하는 학생이라면 누구나 한 번쯤 혹은 그 이상 사티어의 이름을 들어보았을 것이다. 버지니아 사티어는 미국의 작가이며 심리치료사이고 의사소통 전문가이다. 가족치료의 어머니라고 평가를 받을 정도로 가족치료와 가족상담의 개념을 고안하고 이것을 대중화하는 데 기여한 학자이다. 1960년대는 즉시적인, 지금, 여기에서 일어나는 일과 경험을 중요하게 하는 인본주의 심리학이 크게 유행하던 시기였으며, 개인의 심리 상태를 파악하는 데 있어서 그의 경험만큼 중요한 것이 없다고 보았고, 그렇기 때문에 심리와 치료적인 개입은 개인의 경험에 대한 분석에서 출발한다고 믿었다. 또한 경험적 가족치료를 옹호한 학자들은 가족이 하나의 유기체라거나 체계로 보지 않고 개인의 총합 내지 개인의 집합이라고 보았기 때문에 가족 그 자체보다는 가족 구성운 개개인에 관심을 두고, 구성원들의 변화를 통해서 가족이 처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고 이해했다는 특징이 있다. 이들은 가족구성원이 개인적인 성장과 발전을 이루면 가족 체계도 그만큼 성장하고 변화, 발전하기 때문에 가족의 문제는 자연스럽게 해결될 것이라고 믿었다. 경험적 가족치료의 기법을 시도한 학자로는 사티어만 있는 것이 아니며, 오히려 칼 휘태거가 먼저 고안한 개념이었다. 그러나 사티어는 휘태거와 달리 카리스마적인 경험적 가족치료를 추구했으며, 가족치료 상담사가 역동적이고 카리스마를 가지며 가족이 의사소통을 명확하게 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개입해서 행동해야 한다고 보았다. 사티어는 상담사가 과거에 얽매어 있는 클라이언트들에게 '지금 여기'에 초점을 두도록 촉구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하에서는 사티어가 구체적으로 어떤 방법으로 경험적 가족치료 모델을 활용했는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특히 '가족조각'이 무엇이며, 이것은 어떻게 활용되는지에 대해 알아보기로 하겠다.
2. 사티어의 경험적 가족치료 모델
2.1. 모델의 세계관과 기본 전제
사티어 모델의 세계관과 기본 전제이다. 사티어는 기존의 치료 모델들이 옳고 그름, 건강과 병듦처럼 이분법적인 인간관을 가지고 치료에 접근하며, 여기에는 문제가 있다고 본다. 사티어는 기존의 관점을 '계급 모델'이라고 정의하고, 자신의 모델은 평등을 강조하는 모델이라고 정의한다. 모든 사람은 동일한 가치를 가지며, 인간은 동등한 위치에서 관계를 맺는다고 본다. 사람의 정체성은 역할이나 지위로 인해 규정되는 것이 아니고, 사람의 역할은 단지 특정한 시간과 관계의 기능을 ...
참고 자료
최연실, 기쁘다, 성미애, 가족상담및치료(2020),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김유숙, 가족상담(2022), 학지사
김유숙, 가족치료 이론과 실제 3판, 2014.
정문자, 사티어 경험적 가족치료, 2007.
정은아, 「결혼초기 부부갈등에 대한 사티어변형체계치료 적용 사례연구」, 단국대학교 행정법무대학원 가족상담학과 석사학위논문, 2012.
사이터 가족조각을 바탕으로 한 집단상담의 상담효과 요인/김수연/부산대학교/2000
경험적 가족치료를 통한 역기능 가정의 치료/채수경/명지대학교/2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