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성인간호학 뇌경색 실습 케이스"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2. 뇌경색의 정의와 발병원인
1.3. 뇌경색의 증상 및 합병증
2. 본론
2.1. 진단검사
2.1.1. 혈액검사
2.1.2. 영상검사
2.2. 치료
2.2.1. 급성기 치료
2.2.2. 예방적 치료
2.3. 간호중재
2.3.1. 신경학적 증상 관리
2.3.2. 합병증 예방
2.3.3. 재활 및 일상생활 관리
3. 결론
3.1. 연구 결과 요약
3.2. 간호사의 역할 및 제언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심혈관계 질환에는 다양한 증상들이 있으며, 그중에서도 뇌혈관의 문제로 인해 발생하는 뇌졸중 환자들이 점점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뇌출혈과 뇌경색 증상이 뇌졸중에 포함되며, 이러한 뇌혈관 질환들이 한국에서 늘어나는 근본적인 원인은 식습관과 생활습관의 서구화로 인한 것이다. 뇌경색은 우리나라뿐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허혈성 심장질환, 암 등과 함께 3대 주요 사망 원인 중 하나이며, 고령인구 증가에 따라 뇌혈관질환으로 인한 사망 및 장애 발생도 더욱 증가할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따라서 뇌경색에 대한 충분한 연구가 필요하다.
1.2. 뇌경색의 정의와 발병원인
뇌를 관류하는 동맥에 협착이나 폐색이 일어나며 뇌순환장애가 발생해서 뇌기능장애를 초래하는 것을 허혈성 뇌혈관장애 또는 동맥폐색성 뇌혈관장애이다. 이로 인해 뇌에 일어나는 기능장애를 뇌경색이라고 하며 혈관이 지배하던 부위의 뇌가 괴사하여 지속적인 증상이 남는다.
동맥경화증, 동맥염 등으로 혈관벽에 찌꺼기가 생겨 혈류장애를 가져오는 경우와 심장 등에서 혈괴가 떨어져서 뇌혈관을 갑자기 폐쇄되어 혈류장애가 나타나는 경우가 있다. 동맥경화나 죽종에 의한 동맥협착, 폐색이나 협착부 혈전형성에 의한 폐색이 가장 많은 허혈성 뇌혈관장애의 원인이다. 또한 심방세동, 심장판막증 등에 의한 심내혈전이 색전으로 되어 뇌혈관을 폐색하기도 한다. 게다가 경부 척추증에 의한 경추변형이나 굴곡에 의한 후골 동맥 압박, 외상성 경부 경동맥혈전, 당뇨병성 혈관장애, 대동맥중증후군, 혈관염 등도 뇌경색을 유발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뇌동맥류파열에 의한 지주막하 출혈 후에 주로 발생되는 뇌혈관연축도 뇌경색의 원인이 된다.
1.3. 뇌경색의 증상 및 합병증
뇌경색은 뇌혈관이 막혀 뇌 조직에 손상이 생기면서 다양한 증상이 나타나게 된다. 반신부전과 반신마비는 뇌피질의 운동영역이나 추체로의 손상으로 인해 발생하며, 우측 뇌의 경색은 신체의 좌측반쪽에, 좌측 뇌의 경색은 우측반쪽에 일으킨다. 이는 추체로가 연수에서 교차하여 척수로 내려가기 때문이다. 그 외에도 병변 부위에 따라 반신감각마비, 반맹증, 실행증 등 국소적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실어증 및 구음장애는 말의 상징을 사용하거나 해석하는 데 어려움이 생기는 것을 말한다. 실어증에는 운동성실어증과 감각성실어증이 있는데, 운동성실어증은 언어 산출에 어려움이 있고, 감각성실어증은 언어 이해에 장애가 있다.
두정엽과 측두엽의 병변으로 인해 발생하는 시야 장애는 동측성 반맹증과 같은 형태로 나타나며, 이로 인해 운동 수행에 문제가 생길 수 있다. 대상자는 지각장애를 인식하지 못하여 행동이 과장된 것처럼 보이고 사고 위험이 높다.
어지럼증과 의식 소실과 같은 증상도 나타날 수 있다.
이처럼 뇌경색은 다양한 신경학적 증상을 유발하며, 이는 뇌 손상 정도와 위치에 따라 달리 나타난다. 이러한 증상들은 환자의 일상생활과 재활에 많은 장애를 초래하게 된다.
2. 본론
2.1. 진단검사
2.1.1. 혈액검사
혈액검사를 통해 다양한 뇌경색 관련 지표를 확인할 수 있다. 백혈구(WBC) 수치가 증가하는 경우 세균감염이나 백혈병을 의미하며, 감소하는 경우 재생불량성 빈혈을 시사한다. 적혈구...
참고 자료
질병관리청 국가건강정보포털 : 뇌혈관질환 - 뇌졸중에 대해서 = 문헌고찰
약학정보원 : 의약품 검색 = 투약 기록지
양선희, 2019, 기본간호학Ⅰ, 현문사, 제 3판, 363~365, 325
황옥남, 2019, 성인간호학(하), 현문사, 제 7판
강수지, 2020, 노인간호학, 한미의학, 제 4판
원종순, 2018, 간호과정과 비판적 사고, 제 2판
약학정보원 www.health.kr/searchDrug/result_drug.asp?drug_cd=A11A0341A0029
서울아산병원 의료정보 의약품정보 http://www.amc.seoul.kr/asan/healthinfo/druginfo/drugInfoDetail.do?odcd=OA-MUC4ML
서울아산병원 의료정보 질환백과 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19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