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한국어학개론 종속절 부사절 차이점, 언어교수이론 전신반응법 장단점"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한국어학개론 종속절과 부사절의 개념
1.2. 언어교수이론으로서 전신반응 교수법
2. 본론
2.1. 종속절로 이어진 문장의 특징
2.2. 부사절로 안긴 문장의 특징
2.3. 종속절과 부사절의 공통점 및 차이점
2.4. 전신반응 교수법의 개념과 특징
2.5. 전신반응 교수법의 지도 원리 및 절차
2.6. 한국어 교육에서 전신반응 교수법의 장단점
3. 결론
3.1. 종속절과 부사절의 구분에 대한 종합적 논의
3.2. 한국어 교육에서 효과적인 교수법 선택의 필요성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한국어학개론 종속절과 부사절의 개념
문장은 홑문장과 겹문장으로 나뉘며, 겹문장에는 이어진 문장과 안긴 문장이 있다. 이어진 문장은 대등하게 이어진 문장과 종속적으로 이어진 문장으로 구분되고, 안긴 문장은 명사절로 안긴 문장, 관형절로 안긴 문장, 부사절로 안긴 문장, 서술절로 안긴 문장, 인용절로 안긴 문장으로 분류된다. 종속적으로 이어진 문장과 부사절로 안긴 문장에 대해서는 오래전부터 논의가 있어 왔으며, 학자들의 관점에 따라 두 문장의 성격을 같은 것으로 보기도 하고 다른 것으로 보기도 한다. 국어 학교 문법에서도 이견을 보이고 있는데, 제7차 국어과 교육과정에서는 부사절과 종속절을 분리하여 인정하는 반면 2009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에서는 종속적으로 이어진 문장으로 처리할 수도 있고 부사절을 안은 문장으로 처리할 수도 있다고 하였다. 국어 교육의 관점은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의 방향에 큰 영향을 끼치므로, 문장의 종류와 특징을 자세히 살펴보고 종속절로 이어진 문장과 부사절로 안긴 문장의 어떤 교집합이 두 문장의 구분을 모호하게 하는지를 알아보는 것이 필요하다.
1.2. 언어교수이론으로서 전신반응 교수법
전신반응 교수법은 심리학자 Asher가 인본주의 심리학의 원리를 받아들이고 학습의 정의적 측면의 역할을 중요시하여 고안해 낸 방법이다. 이는 신체활동을 활용해 언어를 습득하도록 하는 교수법으로 학습이론, 발달심리학과도 연관성이 있다. 특히 전신반응 교수법은 심리학에서 말하는 기억의 흔적 이론과 관련되어있는데, 이에 따르면 기억 연결이 더 자주 혹은 더 강렬하게 흔적을 남기면 기억 연상이 더 강해질 것이며 그 연상이 더 잘 회상된다. 회상은 구두나 신체 활동과 연계되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신체 활동과 동반된 구두 반복과 같은 혼합된 추적 활동은 성공적 회상의 가능성을 높여준다.
Asher는 아동이 모국어를 습득하는 과정을 관찰하였는데, 아동은 먼저 명령에 대해서 신체적으로 반응하는 것을 학습하며, 청취 능력이 말하기 능력보다 우수하다는 결론을 얻었다. 따라서 어린이가 모국어 습득 시 부모의 말을 듣고 행동으로 반응하는 것과 같이 모국어를 배운다는 원리를 제 2 언어 교수에 적용시켰다. Asher는 단순암기를 바탕으로 하는 언어 학습은 비효율적이며 신체 감각을 활용한 학습이 훨씬 도움이 된다고 강조하였다. 특히, 듣기 능력을 먼저 길러 이해력을 도와야 한다고 주장하였으며 신체를 기반으로 한 체험을 중시하여 말하기, 듣기, 읽기, 쓰기의 4가지 영역 중에서 듣기를 중심으로 지도가 이루어진다. 이렇게 전신반응 교수법은 교사의 명령에 따라서 실제적인 반응을 요구하는데, 처음부터 어려운 외국어의 발음과 문장을 발화해야 하...
참고 자료
김억조(2014), 종속접속문과 부사절을 안은문장의 의미 차이 교육의 필요성 연구교육과정평가연구17, 교육과정평가연구원
김정아(2017), 국어 겹문장 교육 방안 연구, 제주대학교
박영목 외(2014), 고등학교 독서와 문법, 천재교육
윤여탁 외(2014), 고등학교 독서와 문법, 미래엔.
이관규(1999), 국어학 영역 : 대등문 , 종속문 , 부사절 구문의 변별 특성, 선청어문 22, 서울대학교 국어교육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2024),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79629
lululilee(2017), https://blog.naver.com/ms2948/220999027265
김수현. 전신반응 교수법을 활용한 한국어교육 방안 : 성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대진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7
박경자 저. 언어교수학. 박영사. 2011
정에스더. 전신반응교수법을 활용한 한국어학급의 한국문화수업 프로그램에 관한 실행 연구.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20
진흥원격평생교육원〈외국어로서의언어교수이론〉교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