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대구 담석증 케이스"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문헌고찰
2.1. 담낭염의 정의 및 원인
2.2. 담낭염의 병태생리
2.3. 담낭염의 증상 및 징후
2.4. 담낭염의 진단방법
2.5. 담낭염의 치료와 간호
3. 간호과정
3.1. 간호사정
3.2. 간호진단
3.3. 간호계획
3.4. 간호중재
3.5. 간호평가
4. 결론 및 제언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담도계는 담낭, 담관, 담낭관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담낭에서 십이지장내로 담즙을 운반하는 기능을 한다. 담낭염은 담낭의 화학적 또는 세균성 급성 염증으로 구별된다. 담석이 존재하는 결석성 담낭염이 대부분을 차지하며, 비결석성 담낭염은 나머지를 차지한다. 대부분의 담석은 무증상이지만, 그중 일부에서 급성 담낭염이 발생하게 된다. 임상적으로 결석성 담낭염, 비결석성 담낭염 및 담성 산통은 구별하여 신속한 진단과 적절한 치료가 필요하다. 실습 병동에서는 대부분의 입원 환자가 담석으로 인한 담낭염으로 인해 담낭절제술을 받은 경우가 많아, 담낭염에 대한 지식과 기술이 필요하다고 느꼈다. 이 사례 연구를 통해 담낭염의 정의, 진단방법, 치료방법, 수술 전·후의 간호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2. 문헌고찰
2.1. 담낭염의 정의 및 원인
담낭염은 담낭벽의 염증으로, 급성 담낭염과 만성 담낭염으로 구분된다. 급성 담낭염은 담석, 수술 후 협착, 종양 등의 원인으로 인해 완전 혹은 불완전한 협착이 발생하여 염증을 일으키는 질환이다. 담석이 지속적으로 담낭벽을 자극할 경우 만성 담낭염이 생길 수 있다.
담석에 의한 담관 폐색은 급성 담낭염의 일반적인 원인이다. 그러나 환자의 5~10%는 비담석성 담낭염으로, 수술 시 담관을 폐쇄시키는 담석이 발견되지 않는다. 급성 담낭염의 주요 위험요인은 비만과 좌식 생활습관이다. 환자의 활동 정도를 증가시키고 저지방식이를 한다면 담낭염의 위험요인이 적어질 수 있다. 만성 담낭염은 급성 담낭염의 결과로 나타나기도 하지만, 대개는 급성 담낭염과는 독립적으로 발병하며 대부분이 담석과 관련이 있다. 만성 담낭염은 주로 중년층이나 비만한 여성에게 나타나며, 여성이 남성보다 3배 이상 높게 나타난다. 담석의 폐쇄작용과 무관하게 발생하는 급성 비결석성 담낭염은 심한 외상, 화상, 수술, 지연된 출산 후 산욕기와 세균성 패혈증, 심혈관질환, 결핵, 육종증 등과 관련되어 발생되기도 한다. 동반되어 나타나는 질환이나 외상 후, 수술 후 상태 때문에 환자와 의사소통을 제대로 할 수 없으면 질병의 인식이 지연될 수도 있다.
2.2. 담낭염의 병태생리
담관의 폐쇄로 인해 나타나는 급성 결석성 담낭염은 담낭 팽만을 유발한다. 이차적으로 정맥성 및 림프성 배액 장애, 세균 증식 유발, 국소적인 피부 자극 또는 침윤, 허혈 부위가 악화될 수 있다. 염증이 있는 담낭벽은 부종이 있고 딱딱하며, 괴사되는 경우도 있다. 담낭에 농이 있는 상태를 담낭축농이라고 하며, 심각한 패혈증이 유발되기도 한다. 급성 담낭염의 재발은 담낭벽의 섬유화를 유발한다.
치료되지 않은 급성 담낭염의 흔한 합병증으로는 패혈증이 있다. 또한 담낭의 허혈, 염증, 유착, 괴사, 천공, 담낭 주위의 농양, 누공 등이 나타나기도 한다. 급성 비결석성 담낭염은 담석의 폐쇄작용과 무관하게 발생되며, 심한 외상, 화상, 수술, 지연된 출산 후 산욕기와 세균성 패혈증, 심혈관질환, 결핵, 육종증 등과 관련되어 발생될 수 있다. 동반되어 나타나는 질환이나 외상 후, 수술 후 상태 때문에 환자와 의사소통을 제대로 할 수 없으면 질병의 인식이 지연될 수도 있다.
2.3. 담낭염의 증상 및 징후
급성 담낭염 환자는 주로 ...
참고 자료
성인간호학 상권, 현문사 p.484~486
간호진단, 중재 및 결과 가이드 수정판, 현문사 <급성 통증>, <불안>
네이버 지식백과
약학 정보원
youtube 담낭(쓸개) 질환에 대한 진단과 치료 https://www.youtube.com/watch?v=a--uyJil5zs
youtube 담관염과 담석증 https://www.youtube.com/watch?v=cIZuO9JnQW8
윤은자 외, 『성인간호학Ⅰ 제9판』, 2019, 수문사, p.548-550.
이노우에 도모코 외, 『근거중심 질환별 간호과정1』, 메디캠퍼스, p. 526-541.
국제간호진단협회, 『NANDA 간호진단 정의와 분류』, 학지사메디컬, p,453.
드럭인포 사이트, https://www.druginfo.co.kr/index.aspx
의학검색엔진 사이트, http://www.kmle.co.kr/
박금주 외, 『비판적 사고와 간호과정』, 계축문화사, p.278-279.
이향란 외 공저 (2011), 성인간호학 여섯째 판 Ⅰ, 수문사
전국대학병원 전국 간호대학편 (2005), 임상간호의 핵심Ⅰ, 한우리
김미향 외 4명공저 (2010), 임상실습지침서 성인간호학, 정담미디어
www.druginfo.co.kr
www.kimsonline.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