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경사지 건축

미리보기 파일은 샘플 파일 입니다.
다운로드

상세정보

소개글

"경사지 건축"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경사지 건축계획의 이론적 고찰
2.1. 경사지 주거건축의 계획배경
2.1.1. 국내 경사지 주거의 현황
2.1.2. 경사지 저층집합주거계획의 필요성
2.2. 경사지 저층형 집합주거의 단지 계획 요소
2.2.1. 경사지형
2.2.2. 경사도 및 방위
2.2.3. 경사지의 주동배치유형
2.2.4. 가로체계

3. 경사지 주거건축 최신 계획안 분석
3.1. 판교지구 운중블록의 개요
3.1.1. 설계경기 일정
3.1.2. 대지현황 및 조건
3.2. 판교지구 운중블럭 사례 분석
3.2.1. 페카 할린 + 아이아크
3.2.2. 야마모토 리켄 + 건원건축
3.2.3. 마크 맥 + 동우건축
3.2.4. 소결

4. 결론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경사지 저층 집합주거의 단지 계획에 관한 연구

1970년대 이후 급격한 경제 성장으로 인해 도시의 인구가 과도하게 집중되는 현상이 일어나 도시의 과밀화를 초래하게 되었다. 이로 인해, 우리 삶의 기본여건인 주택 과부족 현상과 고밀도 집합 주거의 등장, 지역적 특성을 고려치 않은 주거환경의 획일화 등의 여러 가지 문제점이 대두되고 있다. 우리나라는 전 국토의 약 65.7%가 산지인데 반하여 대지는 2.3%에 불과하다. 경사지 집합주택은 기본개념상으로 저층집합주택의 맥락을 유지하면서, 주택난 및 토지공급문제를 해결하고, 흙으로의 회귀성이라는 인간적 욕구를 경사지를 통해 충족시키는 방안으로 계획된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경사지형에 대해 상관관계를 가지면서도 인간의 욕구가 반영된 주거생활을 위한 가족집단의 주거(저층집합주택)계획에 중점을 두고, 양호한 도시경관으로 유도 가능한 경사지주거 유형개발의 합리적 방향성을 모색하고자 한다.


2. 경사지 건축계획의 이론적 고찰
2.1. 경사지 주거건축의 계획배경
2.1.1. 국내 경사지 주거의 현황

우리나라의 경사지 주거는 근대에 들어오면서 형성되기 시작하였다. 최초의 형성 시기는 일제 시대 소수의 토굴이 도시 외곽에서 산재함으로써 출발하였으나 경사지 주거가 수적으로나 규모면에서 확대되기는 8.15해방과 6.25동란등 사회적 혼란기를 거치면서 수많은 난민들의 도시 유입으로 본격화되어 소위 말하는 해방촌과 판자촌이 생겨나기 시작했다. 60년대 이후 불어 닥친 산업화와 도시화는 농촌으로부터 대도시로 인구를 유입하게 되는 요인이 되었다. 건설시기에 따라 1950년대 2층 연립주택 시기, 60년대 저층 아파트 시기, 70년대 고층 아파트 시기, 이후 초고층 아파트시기로 나눌 수 있다. 1970년대 초부터 1980년대 초까지 경사지에 대한 적절한 대응책을 모색하면서 건축된 사례들이 있으나 경사지 집합 주택의 고유한 특성을 반영한 경우는 드물다. 다만 1984년의 이태원 테라스 하우스(설계 : 김춘웅)는 경사지 집합 주택의 가능성을 제시한 훌륭한 예로 평가되며, 부산 망미 단지 계획(대한주택공사, 1986)은 본격적 단지 개발의 예시라 할 수 있다. 이론적으로는 1970년대의 기초적 연구를 거쳐 주로 도시 지역 경사지의 재개발 차원에서 문제가 제기되었고, 80년대부터 구릉지 주택(대한주택공사, 1985), 구릉지택지조사(국토개발연구원, 1987), 구릉지 주거 단지 개발(한국토지개발공사, 1988)등으로 활발한 연구가 전개되어 급박해진 경사지 주택 개발의 현실성을 뒷받침하고 있다.


2.1.2. 경사지 저층집합주거계획의 필요성

고밀도 고층 집합주택의 긴요함에도 불구하고 비계획적인 난개발이나, 경제성만과 효율성만을 고려하여 계획되어짐에 따라 여러 가지 문제점이 대두되고 있다. 단순히 스케일상의 문제만이 아니라 대지로부터 격리되어 거주한 고층 건물에서 거주자의 건강이나 자녀들의 사회성에 직·간접적으로 손상을 받은 연구 결과도 있다. 우리나라는 전 국토의 약 65.7%가 산지인데 반하여 대지는 2.3%에 불과하여 경사지의 택지화가 불가피한 상황이지만, 아직도 서울시 주택 재개발 구역의 66.5%가 경사지 재개발 구역으로 지정되어 있다. 이런 상황을 고려하여 저층집합주택의 맥락을 유지하면서, 고밀도를 유지할 수 있는 주거 형태로서 경사지 집합 주택이 이 문제의 해결에 한 가지 방향이라 생각되며 우리의 주거문화 수준 향상에 따른 수요자 측의 다양한 현대적, 감각 욕구에 대처할 수 있는 주거 유형 중 하나라 생각된다. 경사지 집합주택은 기본개념상으로 저층집합주택의 맥락을 유지하면서, 주택난 및 토지공급문제를 해결하고, 흙으로의 회귀성이라는 인간적 욕구를 경사지를 통해 충족시키는 방안으로 계획된다. 또한 최근에는 주거수준의 향상을 위한 주택지 개발과 자연환경을 중시하고 여유 있는 생활을 지향하는 현대적 욕구에 대처할 필요성이 높아졌다. 경사지는 대부분 볼만한 자연경관과 우수한 환경을 지니고 있으므로, 무분별한 개발은 지역 환경을 훼손하고 거주환경은 열악하게 조성하는 나쁜 결과를 낳게 된다. 따라서 경사지형 및 경사지주택의 특성에 합당한 사전계획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2.2. 경사지 저층형 집합주거의 단지 계획 요소
2.2.1. 경사지형

경사지의 종단면과 등고선은 볼록(凸)형과 오목(凹)형이 있다. 볼록(凸)형 경사지는 경관으로서 상당히 눈에 띄며 주거 단위의 개방, 분리, 분산을 나타내고 단독주택 같은 독립성을 나타내는 것이 가능하다. 오목(凹)형 경사지는 경관으로서는 소극적이지만 집합성을 암시하는 결합성을 갖고 있다.

종단면이 오목(凹)형인 경사면에서는 상·하부 어디에서나 전체를 볼 수가 있으나, 볼록(凸)형에서는 경사면에 근접하면 어느 일부를 볼 수 없게 된다. 등고선이 오목(凹)형인 경우에는 내부에서는 전체를 볼 수 있으나, 외부에서는 시점이 이동함에 따라서 안 보이는 부분이 많아지고, 볼록(凸)형에서는 단면의 경우와 같이 시점에서 접선으로 연결되는 범위에 한정된다.

경사면의 경관성은 집합 주택의 거주성과 집합성에 밀접한 관련성이 있다. 평지에서는 적당한 이동 간격으로 주택이 배치된 경우에도 개방감을 느끼기 어렵지만, 경사지에서는 양호한 개방적 조망을 획득할 수 있다. 오목(凹)형의 특성을 살리면 서로 적당히 바라볼 수 있는 공간으로 계획할 수 있고, 단위 주거의 독립성을 나타내고 싶을 때는 볼록(凸)형의 지형을 이용할 수 있다. 그러나 전체 경관을 고려하게 되면, 볼록(凸)형의 지형은 주변에 대한 큰 경관이 될 가능성이 높고, 오목(凹)형은 경관으로서도 아늑...


참고 자료

건설교통부, 건설교통통계연보, 2006
대한주택공사, 「판교지구 운중블록 공동주택 국제설계경기 도록집」 , 2006
서울시 시정 개발 연구원, 「구릉지 재개발 아파트의 대안적 형태 개발」,1995,
한국토지개발공사, 「지역의 자연특색을 활용한 주택지 개발」, 1987,
한국토지개발공사, 「구릉지 주거단지 개발」, 1988
Kevin Lynch, 주종원 역, 단지계획, 동명사, 1984,
Hubert Hoffman, “One Family Housing” Thames and Hudson, 1967
김진경, 김종인, “저층저밀 공동주거 단지계획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제20권 제2호. 2000
안정표, “경사지의 지형특성을 고려한 환경친화형 주거개발계획에 관한 연구” 숭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0
우동주, “경사지 집합주거 유형개발을 위한 현장연구”, 한국학술진흥재단 연구논문, 1993
이봉현, “경사지 주거건축의 공간구성 방식과 이용방안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2
이신수, “한국도시 연립주거의 유형적 변화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 석사학위논문, 1991,
이준범, “중층․고밀 공동주거 계획기준 연구”, 한양대학교 도시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1
장성주, “경사지 주거건추계획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논, 1989,
전선화, “경사지 특성을 고려한 저층 집합 주택 계획안” 홍익대학교 건설도시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4
조원희, “저층 집합주거 계획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건설도시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1
황인재, 양동양, "경사지 집합주거 계획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제5권 제1호, 1985
현택수, “경사지 주택계획에 있어서 지형유형과 주동형식의 상관성 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제10권 제1호, 1994
현택수, “경사지의 지형특성에 상응하는 저층집합주택의 기본유형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1
황영현, “경사지 주거계획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85
박소현 “경사지 특성을 고려한 저층 집합주거 계획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1
정선옥, “경사지 고층고밀 아파트의 대안으로서 저층고밀 집합주거단지의 계획에 관한 연구”,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8
김창성.르 코르뷔제가 제시한 4가지 구성의 개념과 주택 작품 분석.2022.12.KIEAE Journal, vol.22, no.6, pp.111-118
김선관.시트로앙 주택.2017.1.16.더네이버
우지혜.[세계건축] 20세기 3대 거장 르 코르뷔지에 ‘빌라 사보아’.2020.7.7.문화뉴스
김종훈.새로운 혁신 주거의 전형을 보여주다.2014.8.5.매거진한경
장 장세르, 김교신 역, “르 꼬르뷔지에-인간을 위한 건축”, 시공디스커버리총서 54 시공사 1997.
이호정, ‘근대건축사’, 문운당, 2009,
김도식 외 “Le Corbusier 건축 작품 읽기”, 기문당. 2002
빌리 뵈지거, “르 꼬르뷔지에 작품과 프로잭트” 이관석 옮김 MGH and 맥 그로우힐, 한국에프시에스사, 2001,
안우진, ”현대 건축의 새로운 흐름”, 이문당, 2010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