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슬관절 관절염은 골관절염의 범주 안에 속하는 개념으로, 슬관절의 점진적인 관절연골 소실 및 그와 관련된 2차적인 변화와 증상을 동반하는 질환이다. 관절 연골이 점차 마모되어 천천히 진행되는 퇴행성 질환으로, 대부분 중년 및 노년층에 흔히 나타나게 된다. 40세 인구에서 70%, 65세 이상 인구에서 80% 정도에서 관절의 퇴행성 변화가 나타나 노화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무릎관절 같이 체중부하를 많이 하는 관절의 가장자리에 뼈형성과 더불어 관절연골 표면에서 발생한다. 관절면의 뼈가 과밀하거나 과잉증식됨에 따라 관절간격이 좁아져 구조적 변화가 나타난다. 국소적으로 새로운 콜라겐 합성이 감소하고, 기존의 콜라겐 파괴를 증가한다. 일차성 원인으로는 노화, 유전적 소인, 국소적 감염, 기계적인 힘, 세포와 생화학 과정 등의 복합적인 요인으로 보며, 이차성 원인으로는 선천성 기형, 반복되는 좌상, 염좌 등의 외상, 관절탈구, 골절, 비정상적인 움직임 초래하는 장애, 윤활막의 콜라겐 분해효소 활동을 자극하는 약품 등이 있다.
2. 골관절염의 개요
2.1. 골관절염의 정의
골관절염은 일명 퇴행성관절질환(degenerative join disease, DJD)이라고도 하며, 퇴행성 변화로 인해 관절을 이루는 연골과 뼈에 병적 변화가 일어나서 통증, 기능장애, 변형을 유발하는 질환이다. 특별한 선행 원인 없이 발생하는 일차성 또는 특발성 관절염과 관절 연골에 손상을 줄 수 있는 외상, 질병 및 기형 등이 원인이 되어 발생하는 이차성 또는 속발성 관절염으로 나눌 수 있다. 주로 체중부하 관절에 발생하며, 40세 이상 인구의 70%, 65세 이상 인구의 80% 정도에서 관절의 퇴행성 변화가 나타나 노화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2.2. 골관절염의 병태생리
골관절염은 무릎관절이나 고관절과 같이 체중부하를 많이 하는 관절의 가장자리에서 발생한다. 관절면의 뼈가 과밀하거나 과잉증식됨에 따라 관절 간격이 좁아져 구조적 변화가 나타난다. 국소적으로는 새로운 콜라겐 합성이 감소하고 기존의 콜라겐 파괴는 증가한다. 즉, 1형 콜라겐의 농도는 상대적으로 증가하지만 관절과 연골을 구성하는 2형 콜라겐이 현저하게 감소하여 콜라겐 네트워크가 악화된다. 또한 효소 방출을 자극하는 사이토카인의 방출로 연골조직이 더 심하게 손상된다. 손상을 회복할 수 있는 세포의 능력이 감소되어 관절 구조를 변화시킨다. 결과적으로 관절이 침범받으면 정상 연골이 불투명해지고 노랗게 변화하며, 시간이 경과하면서 연골이 침식되고 깊은 골이 생기면서 연골이 점차 벗겨진다. 이곳에 신생뼈가 형성되면서 골질의 증식과 비후가 일어나게 된다. 이러한 변화로 인해 뼈낭종과 속발성 윤활액낭염이 나타나게 되며, 결국 아탈구와 관절 기형이 생겨 부종, 통증, 근경련과 염증 등을 유발하게 된다.
2.3. 골관절염의 원인
일차성(특발성) 골관절염의 확실한 원인은 밝혀져 있지 않지만 나이, 성별, 유전적 요소, 비만, 특정 관절부위 등이 영향을 주는 것으로 생각된다. 이차성(속발성) 골관절염은 선천성 기형, 반복되는 좌상이나 염좌 등의 외상, 관절탈구, 골절, 비정상적인 움직임을 초래하는 장애(예: 신경계 질환), 윤활막의 콜라겐 분해효소 활동을 자극하는 약품(예: steroid) 등이 원인이 된다. 당뇨병 등의 내분비이상이나 파제트병, 통풍 등의 대사성 질환에서도 퇴행성관절염이 많이 나타나고, 겸상세포빈혈과 혈우병 등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척추의 경우 직업적으로 반복되는 작업이나 생활습관 등의 원인이 될 수 있으며, 엉덩이 관절은 무혈성 괴사와 이형성증 혹은 외상이 많은 원인을 차지한다. 무릎 관절은 나이, 성별(여성) 및 몸무게가 주된 원인 인자로 작용하고, 발목 관절은 골절 또는 주변 인대의 손상이 주된 원인이 된다. 팔꿈치 관절은 육체노동자나 운동선수들에서 같이 직업이 원인이 되는 경우가 많다. 과거에는 노화가 원인으로 여겨졌지만 오늘날에는 관절 통합성의 문제, 유전적 소인, 국소적 감염, 기계적인 힘, 세포와 생화학적 과정 등의 복합적인 요인으로 보고 있다. 중년 이후 나이가 많을수록 발병 빈도가 높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