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평생교육사 원격교육 교과목기획서"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지식기반사회와 원격교육의 발전
1.2. 원격교육의 정의와 역사
1.3. 원격교육의 필요성 및 목적
2. 원격교육 프로그램의 분석과 기획
2.1. 원격교육 프로그램의 분석 과정
2.2. 교과목 기획서 수립 단계
2.3. 요구분석
2.4. 교과목의 필요성 및 목적 수립
2.5. 교과내용 분석
2.6. 교수-학습목표 설정
2.7. 교수-학습모형 설정
3. '원격교육론' 교과목 기획서
3.1. 요구분석
3.2. 교과목의 필요성 및 목적
3.3. 교과내용 분석
3.4. 교수-학습목표 설정
3.5. 교수-학습모형 설정
4. 결론
4.1. 원격교육 기획의 중요성
4.2. 향후 원격교육의 발전 방향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지식기반사회와 원격교육의 발전
현대사회는 정보화와 지식 중심의 사회로 변화하고 있다. 이에 따라 교육 분야에서도 원격교육의 필요성과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지식기반사회에서 원격교육은 시간과 공간의 제약을 넘어 교육의 기회를 확대하고 효과적인 평생학습을 지원할 수 있다. 원격교육은 정보통신기술의 발달과 더불어 지속적으로 발전해왔으며, 다양한 매체와 교육방법이 활용되고 있다. 현대사회에서 원격교육은 평생교육의 수단으로 자리잡아 가고 있으며, 코로나19와 같은 사회적 위기 상황에서도 그 필요성이 더욱 부각되고 있다. 이처럼 지식기반사회에서 원격교육은 교육의 패러다임 변화를 이끌며 지속적으로 발전하고 있다.
1.2. 원격교육의 정의와 역사
원격교육은 교수자와 학습자가 시공간적으로 분리되어 수업이 이루어지는 교육방식이다. 원격교육은 1833년 스웨덴에서 우편을 활용한 작문교육으로 시작되었으며, 한국에서는 1950년대부터 라디오와 텔레비전을 통해 실시되어 왔다. 현대에는 대부분의 원격교육이 인터넷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러한 원격교육은 교수자와 학습자 간 비대면 상태에서 이루어진다는 본질적인 특성을 가지고 있다. 이에 따라 원격교육의 효과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효율적인 교육체제와 구성요소의 개발이 매우 중요하다. 원격교육은 시대와 기술의 발전에 따라 지속적으로 변화하고 발전해왔으며, 오늘날 지식기반사회와 평생학습사회에서 그 중요성과 필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다.
1.3. 원격교육의 필요성 및 목적
정보화시대와 지식기반사회가 도래하면서 교육의 기회를 확대하고자 하는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또한 평생학습사회로의 전환으로 누구나 언제든 새로운 지식을 습득할 수 있어야 할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에 따라 시간과 공간의 제약 없이 교육이 가능한 원격교육이 주목받고 있다.
원격교육은 교수자와 학습자가 대면하지 않은 상태에서 교육이 이루어지므로 보편적인 교육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인터넷, 온라인 매체 등을 통해 다양한 교수-학습 방법을 활용할 수 있어 교육의 질적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특히 코로나19와 같은 재난 상황에서 대면교육이 어려운 상황에서도 원격교육을 통해 교육을 지속할 수 있다는 점에서 그 필요성이 더욱 대두되고 있다.
이처럼 원격교육은 시간과 공간의 제약을 극복하고 보편적인 교육기회를 제공함으로써 평생학습사회 구현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교수-학습 방법의 활용을 통해 교육의 질적 향상을 도모할 수 있으며, 재난 상황에서도 교육을 지속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원격교육은 정보화시대와 지식기반사회, 평생학습사회의 요구에 부응하는 교육 패러다임이라고 할 수 있다.
2. 원격교육 프로그램의 분석과 기획
2.1. 원격교육 프로그램의 분석 과정
원격교육 프로그램의 요구를 분석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요구분석은 교육의 이념과 학습자의 교육, 자기계발에 대한 요구, 교육과정 체계, 로드맵 등을 고려하여 이루어진다. 요구분석의 핵심은 교과목이 나아갈 방향성을 확립하는 것이며, 이를 통해 '과목의 필요성 및 목적 수립' 단계에 필요한 기초자료의 역할을 하게 된다.
교과목의 필요성 및 목적 수립 단계는 요구분석의 내용들을 기반으로 하여 해당 교과목의 필요성과 목적을 수립하는 단계이다. 이 과정에서 중요한 것은 교육과정의 체계와 교육이념에서 이탈하지 않는 범위 안에서 해당 교과목의 특성이 잘 드러나야 한다는 것이다.
교과내용 분석 단계에서는 해당 교과목이 어떤 흐름으로 진행되고, 난이도는 어떻게 설정되는 것이 적합한지를 분석한다. 이 과정에서는 교과목의 주요 지식을 핵심으로 삼아 분석을 진행하는 것이 중요하다.
교수-학습목표 설정 단계에서는 교과내용 분석을 기반으로 학습자들이 어떤 목표를 성취해야 하는지를 기술, 지식, 태도 등을 포괄적으로 반영하여 작성한다.
마지막으로 교수-학습모형 설정 단계를 통해 해당 교과목을 구체적으로 어떠한 교수-학습 모형을 수단으로 하여 진행할 것인지를 결정한다. 이는 앞선 1~4단계를 통해 교과목의 방향성과 기본 틀을 잡고, 최종적으로 교과목을 구체화하는 단계라 할 수 있다.
원격교육 프로그램의 분석 과정은 이처럼 체계적이고 세부적인 단계를 거쳐 이루어지며, 이를 통해 교과...
참고 자료
위키백과, ‘원격 교육’, https://ko.wikipedia.org/wiki/
위더스평생교육원 원격교육론 교안
“원격교육은 시대의 흐름, 관련 법안 만들어야”, 2020년 8월 24일, 2020년 10월 8일 접속, http://www.hani.co.kr/arti/society/schooling/959169.html.
대구한의대학교 프레이리성인학습센터
(https://blog.naver.com/dhu_futurelife/222408593865)
김용덕, 최동연(2020)사이버대학 성인학습자의 디지털 리터러시 격차와 지원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분석 : 활동이론을 바탕으로
김용덕, 최동연(2020) 사이버대학 성인학습자의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 모델링
심미자(2016)사이버대학 성인학습자의 학습역량 강화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사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