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병원에서의 건강문제해결을 위한 전문분야간 협력관계"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건강문제해결을 위한 전문분야 간 협력관계
1.2. 간호 단위
1.2.1. 간호 단위 관리의 개념
1.2.2. 간호 단위의 궁극적 목표
1.2.3. 간호단위 관리의 기능
1.3. 협력
1.3.1. 협력의 정의
1.3.2. 협력의 특징
2. 본론
2.1. 순천향대학교 부속 서울 병원 간호단위의 협력부서 파악
2.2. 순천향대학교 부속 서울 병원 간호단위의 협력관계 내용
2.3. 건강문제해결을 위한 전문분야 간 협력관계 증진방안
3. 결론
3.1. 느낀점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건강문제해결을 위한 전문분야 간 협력관계
보건의료기관은 건강 관리와 질병 예방, 치료를 위한 중요한 공간 중 하나이다. 이 공간에는 의사, 간호사, 방사선사, 물리치료사, 영양사 등의 다양한 전문분야가 협력하여 환자진료과정에 참여하여 더 나은 치료 결과를 달성한다. 이들 보건의료인들은 각각의 역할 수행과 서로간의 협력을 통해 효율적인 운영을 하는 상호의존성이 높은 집단이다.
병원의 주 고객인 환자에 대한 모든 활동은 간호사를 통해 이루어지기에 간호사들은 환자들의 요구에 대하여 끊임없이 의사, 간호사 및 보건의료인들과 의사소통을 하며 의료 정보를 공유한다. 이러한 의사소통을 통해 정확한 진단과 치료를 제공할 수 있고 환자의 건강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필요한 간호중재를 즉시 취할 수 있기 때문에 환자 중심의 치료가 이루어지는 병원에서는 전문분야 간 협력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가톨릭대 의정부 성모병원의 사례를 보면, 급성심근경색 환자를 위해 순환기내과 교수가 협진이 필요한 관계자들로 구성된 팀을 만들고 각 과정별로 간호중재를 실시하였다. 이러한 다학제간 협력이 잘 이루어짐에 따라 최소 비용으로 큰 효과를 거둘 수 있었다. 이처럼 의료기관에서의 협력은 환자 중심으로 치료되는 병원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며 환자의 생명과도 연결되어있다.
협력이란 조직의 목표달성을 위하여 서로 돕고 힘을 합하여 함께 노력하는 것으로, 동일한 목표를 위하여 요구되는 업무를 각 서비스 제공자와 함께 수행해나가는 과정이다. 결과적으로 의료기관에서 안전하고 양질의 의료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가장 중요하며, 상호의존성이 높은 노동집약적인 조직체의 업무 효율성을 극대화하는 데 기여한다.
1.2. 간호 단위
1.2.1. 간호 단위 관리의 개념
간호 단위 관리의 개념은 다음과 같다. 한 사람의 관리자가 일정한 수의 환자에게 적절한 인력 및 시설을 가지고 최적의 간호를 수행하는 조직 단위이다. 일정 수의 간호대상자와 직원, 시설의 범위를 포함한다.
간호 단위는 대상자의 건강회복을 돕기 위한 간호를 수행하는 조직이다. 간호 단위 관리의 핵심 기능은 환자 관리, 행정 관리, 인사 관리, 감독, 병동 관리, 교육 및 연구, 사무 관리 등이다. 이를 통해 대상자에게 최적의 간호를 제공하고자 한다.
간호 단위 관리자는 이러한 다양한 기능을 종합적으로 수행하며, 간호단위 내에서 구성원들 간의 협력적 관계를 유지하고 관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통해 간호 단위의 궁극적인 목표인 대상자의 건강회복을 달성하고자 한다.
1.2.2. 간호 단위의 궁극적 목표
간호 단위의 궁극적 목표는 대상자의 건강회복을 돕기 위함이다. 간호사는 대상자의 건강회복을 위해 직접간호와 간접간호를 수행함으로써 대상자의 건강회복을 지원한다. 직접간호와 관련된 역할에는 입·퇴원 관리, 환자 순회, 간호업무의 평가 및 감독, 간호계획 및...
참고 자료
순천향대학교 부속 서울병웜 . 지원 부서[Internet] 순천향대학교병원 : Authors: 2021(2021.04.13.) Available from : https://www.schmc.ac.kr/seoul/sport/list.do?key=333
염영희, 고명숙, 김기경, 김보열, 김유정, 신미자 외. 개정 7판 학습성과기반 간호관리학. 제7판, 경기 : 수문사 . 2020. p558-559
이웅현. 2022년 대비 퍼시픽 간호학 개념서 간호관리학. 제1판. 서울 : ㈜ 퍼시픽 도도. 2021. p 355
이대호. (2016). 다학제 통합진료: 문제점과 해결방안. Journal of the Korean Medical Association, 59(2), 95-102. http://dx.doi.org/10.5124/jkma.2016.59.2.95
https://www.medicaltimes.com/Main//News/NewsView.html?ID=1079699 (사례)
개정 8판 간호관리학, 수문사: 528-530p
서문경애 등. 간호관리학. 제 2판. 서울: 현문사: 2020. 680p.